오로닉스 Oronyx | |
<colbgcolor=#1A1D23,#010101><colcolor=#B19872> 이름 | 오로닉스 |
성별 | 남성 |
이명 | 영원한 밤의 장막 |
소속 | 티탄 - 운명의 세 티탄 |
언어별 표기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Oronyx [[중국| ]][[틀:국기| ]][[틀:국기|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성우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clearfix]
1. 개요
붕괴: 스타레일의 등장인물. 운명의 세 티탄 중 하나로 「세월」을 관장하는 티탄이다.2. 설정
3. 작중 행적
3.1. 개척 임무
3.1.1. 제4장 - 앰포리어스
3.1.1.1. 제1막: 불을 쫓는 낙목의 영웅기
개척자 일행이 니카도르를 토벌하기 위한 방법을 찾기 위해 야누소폴리스에 있는 그녀를 찾아간다. 그러나 인간들에게 예언 같은 각종 편의를 제공하였음에도 자신의 언니가 있는 야누소폴리스를 멸망시킨다든지 티탄을 사냥하여 불씨를 빼앗는 인간들을 혐오해왔다보니, 자신이 거부하는데도 강제로 시련을 뚫고 온 파이논 일행에게 매우 적대적인 모습을 보여 좀처럼 해답을 얻을 수 없었다.[1] 천칭의 수수께끼는 아예 3번이나 답을 무르면서 답해주기를 거부할 정도.결국 파이논이 '오로닉스를 죽여서라도 당신의 힘을 가져가겠다' 라는 선언을 하던 때에 우연하게 개척자가 사진을 찍느라 꺼낸 Mar. 7th의 사진기를 보고선 '어머니'를 느끼면서 개척자와의 접촉을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 갑작스레 기억의 후리의 시선이 개척자에게 닿으면서 개척자가 망각한 기억을 다시 보게 된다.[2] 이 접촉으로 개척자를 신뢰하게 된 오로닉스는 개척자가 '어머니'를 찾아내고, 세계의 기억을 복구할 것이라고 생각하여 미미를 개척자의 곁으로 보낸다.
4. 여담
- 단항이 평가하기론 어린아이 같다고 한다.
- 개척자와 접촉할 때 후리가 등장하자 그를 천부라 부르는 모습을 보이는데, 어머니로 지칭하는 존재의 정체는 불명이다. 이에 대한 추측은 Mar. 7th라거나, Mar. 7th와 닮은 외형을 한 키레네로 보는 견해가 있다.
- 추정되는 모티브는 닉스. 오로닉스는 시간, 밤, 미래 같은 우주적인 개념들을 상징하기 때문에 세속적인 올림푸스 신격들과는 의미가 약간 동떨어진 닉스 혹은 원초 티탄 신앙[3]의 여신 모티브를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5. 둘러보기
[[티탄(붕괴: 스타레일)|{{{#!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10101><tablebgcolor=#010101> 12 티탄 Titans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운명의 세 티탄 | 기둥의 세 티탄 | |||||
통로 | 율법 | 세월 | 대지 | 바다 | 천공 | ||
만 갈래의 문 야누스 | 공정의 저울 탈란톤 | 영원한 밤의 장막 오로닉스 | 반석의 근간 지오리오스 | 충만의 잔 파구사 | 조석의 눈 아퀼라 | ||
창생의 세 티탄 | 재앙의 세 티탄 | ||||||
부세 | 이성 | 낭만 | 분쟁 | 죽음 | 계략 | ||
세상의 왕좌 케팔 | 분열의 가지 세르세스 | 황금의 고치 네스티아 | 천벌의 창 니카도르 | 어둠의 손 타나토스 | 변화의 동전 자그레우스 |
[1] 그녀의 말은 개척자 일행이 알아들을 수 없기에, 카스토리스가 통역을 해주는데, 몇몇 말은 "들어봤자 불쾌할 뿐"이라며 굳이 통역해주지 않는다.[2] 배경과 등장인물은 은하열차와 무명객 일행이었지만 실은 스텔라론 헌터와 함께했던 시절 기억이었다. 카프카의 암시로 기억을 잊은 개척자는 자신의 기억이 아니라고 여긴다.[3] 그리스 신화는 닉스, 테이아, 등등 수많은 달과 밤과 시간의 개념을 담당하는 티탄 세대 여신격들이 올림푸스의 인격신 이전에 존재했고 올림푸스 시대에도 계속 바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