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1 10:07:22

오스카르 오소리오

파일:엘살바도르 대통령 문장.svg
엘살바도르 공화국 대통령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 #0f47af;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후안 호세 구스만 프란시스코 말레스핀 호아킨 에우프라시오 구스만 에우헤니오 아길라르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도로테오 바스콩셀로스 프란시스코 두에냐스 호세 마리아 산 마르틴 라파엘 캄포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미겔 산틴 델 카스티요 헤라르도 바리오스 프란시스코 두에냐스 산티아고 곤살레스 포르티요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안드레스 델 바예 라파엘 살디바르 프란시스코 메넨데스 카를로스 에세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라파엘 안토니오 구티에레스 토마스 레갈라도 로메로 페드로 호세 에스칼론 페르난도 피게로아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마누엘 엔리케 아라우호 카를로스 멜렌데스 라미레스 호르헤 멜렌데스 라미레스 알폰소 키뇨네스 몰리나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피오 로메로 보스케 아르투로 아라우호 막시밀리아노 에르난데스 마르티네스 살바도르 카스타네다 카스트로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오스카르 오소리오 호세 마리아 레무스 훌리오 아달베르토 리베라 카르바요 피델 산체스 에르난데스
제33대 제34 제35대 제36대
아르투로 아르만도 몰리나 카를로스 움베르토 로메로 알바로 마가냐 호세 나폴레온 두아르테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알프레도 크리스티아니 아르만도 칼데론 솔 프란시스코 플로레스 페레스 안토니오 사카
제41대 제42대 제43대
마우리시오 푸네스 살바도르 산체스 세렌 나이브 부켈레 }}}}}}}}}

1. 개요2. 생애3. 대통령

1. 개요

파일:오소리오.jpg
엘살바도르의 제 32대 대통령이자 독재자1948년부터1950년
1950년 부터 1956년 까지 두번의 임기를 거쳤다

2. 생애

오소리오는 1910년에 엘살바도르 손소나테주에서 태어났다
그는 두 번 결혼했으며, 첫 번째 아내는 레티시아 로살레스(Leticia Rosales)로, 그녀와 사이에서 아나 마야(Ana Maya), 리나(Rhina), 오스카(Oscar) 세 자녀를 두었다. 두 번째 아내는 에스페란사 예레나(Esperanza Llerena)였으며, 그녀와 사이에서 세실리아(Cecilia)와 움베르토(Humberto) 두 자녀를 두었다.[출처 필요]

그는 초등 교육을 손소나테(Sonsonate), 산타아나(Santa Ana), 산살바도르(San Salvador)에서 마쳤으며, 수도에 있는 헤라르도 바리오스(Gerardo Barrios) 장군 군사학교에서 일했다.[출처 필요]

그는 국내외 여러 기관에서 고등 교육을 받았으며, 특히 이탈리아 토리노(Turin)에 있는 전쟁 대학(War College)에서 3년간 공부한 후 1943년 10월에 귀국했다.

1948년 12월 14일, "젊은 군인들"이 당시 대통령이었던 살바도르 카스타네다 카스트로(Salvador Castaneda Castro)에 대한 쿠데타를 일으켰다. 결국 그는 소령 계급으로 멕시코 주재 엘살바도르 외교 사절단에 배속되었으나, 혁명위원회 정부(Revolutionary Council Government)의 지도자로 소환되었다. 이 정부는 소령 오스카 볼라뇨스(Oscar Bolaños)와 민간인 레이날도 갈린도 포엘(Reynaldo Galindo Pohl), 움베르토 코스타(Humberto Costa)로 구성되었다.[출처 필요]

1950년 헌법에 따라 대통령 선거가 실시되었다. 그는 1945년에 창당된 민주통합혁명당(Revolutionary Party of Democratic Unification)의 후보로 출마했으며, 유일한 야당 후보였던 행동당(Acción Renovadora)의 호세 멘데스 아센시오(José Menéndez Ascencio) 대령을 누르고 당선되었다

3. 대통령

그는 1950년 엘살바도르의 헌법상 대통령직을 맡았으며, 그의 정부 시기는 커피와 면화 가격이 크게 상승하면서 비교적 안정된 시기와 맞물렸다. 그의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도시 노동자를 위한 사회보장제도의 도입, 도시 주택 연구소(IVU) 설립, 제한적인 산업화를 포함한 사회 개혁 계획을 추진했다.

커피 수출세를 통해 확보한 재원을 바탕으로 수많은 공공사업을 진행했으며, 특히 항만 집행 위원회(ECA) 설립, "11월 5일" 수력발전 댐 건설, 렘파 강의 "황금 다리(Golden Bridge)" 및 해안 고속도로 건설, 수많은 학교 및 다가구 주택 단지 건립 등이 이루어졌다. 또한 1948년 12월 14일 발생한 쿠데타(공식적으로 ‘1948년 혁명’으로 명명됨)의 기념일을 성대하게 축하하기도 했다. 이러한 경제 개혁은 주로 중산층과 도시 거주민에게 많은 혜택을 주었다.[1]

예술 분야에서도 강한 지원을 제공했으며, 예술가들이 해외에서 공부할 수 있도록 장학금 제도를 도입했다.

그러나 민주적 개방과 동시에, 오소리오는 개인과 집단의 기본권을 제한하는 법률인 **헌정 질서 방어법(Law on Defense of the Constitutional Order)**을 제정하여 국가의 통제력을 강화했다. 1952년부터 임기 종료까지 그는 선택적 탄압 정책을 시행하며 노동 지도자 및 학생들을 탄압했다. 이는 1944년 막시밀리아노 에르난데스 마르티네스(Maximiliano Hernández Martínez) 장군을 축출하는 과정에서 등장한 대중 운동의 성장에 대한 대응이었다.

오소리오는 살바도르 카예타노 카르피오(Salvador Cayetano Carpio)와 그의 아내 툴라 알바렝가(Tula Alvarenga), 학생 지도자 가브리엘 가예고스 발데스(Gabriel Gallegos Valdés), 학자 셀레스티노 카스트로(Celestino Castro) 등 엘살바도르 좌파의 핵심 인사들을 체포하여 정치적 실종으로 처리했다. 이들은 국가경찰(National Police)에 의해 심문 및 고문을 당했으며, 이는 1956년 처음 출간된 **《납치와 복면(Abduction and Hood)》**에서 문서화되었다.

오소리오가 ‘48년 혁명’이라 명명한 그의 정부의 특징은 다음과 같았다.

1932년 이후 계속된 과두정 및 제국주의의 대변인 역할 수행
커피 가격 상승으로 인한 국가 경제 호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