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5 21:10:50

옹진군/경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옹진군
1. 개요
1.1. 산업1.2. 상권
2. 금융

1. 개요

산업구조의 비중은 서비스업을 기반으로 하는 3차산업이 가장 크고, 전통적으로 섬 주민들의 생업의 기반이 되어 온 수산업의 비중도 크다. 지역내 총생산(GRDP)은 2018년을 기준하여 6,944억 원으로 인천시 전체 GRDP의 0.8%에 그쳐 10개 군·구 가운데 가장 비중이 낮다. 경제활동별 부가가치의 비중은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업(3,054억원)이 47%를 차지하여 가장 크고, 이밖에 건설업(10.8%), 금융·보험업(9.5%), 부동산업(8.6%), 교육서비스업(4.4%), 보건업·사회복지 서비스업(4.4%), 사업서비스업(3.1%). 숙박·음식점업(2.9%) 등의 순이다.

2018년을 기준하여 사업체 수는 1,984개로 인천시 전체 사업체의 약 1%를 차지하여 10개 군·구 가운데 가장 적다. 사업체별로는 관광업에 기반하는 숙박·음식점업체(51.4%)와 도소매업체(14.5%)가 전체 사업체의 2/3를 차지하고, 이밖에 협회·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체(5.9%), 운수·창고업체(4.7%), 건설업체(4.2%), 제조업체(3.5%) 등의 순이다. 지역별로는 영흥면(35.5%)과 백령면(23.2%)에 전체 사업체의 약 60%가 분포한다. 전체 사업체의 81.5%가 개인 사업체이고, 종사자 5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체가 90% 가까이 차지한다.

사업체 종사자는 6,765명으로 인천시 전체 종사자의 2.9%를 차지하여 10개 군·구 가운데 가장 적다. 업종별로는 숙박·음식점업 종사자(1978명)가 29.2%로 가장 많고, 이밖에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업(12.5%), 건설업(11.6%),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11.5%), 도소매업(7.8%%) 등의 순이다. 주요 공기업으로는 영흥면 외리에 한국남동발전(주) 영흥발전본부가 있다.

1.1. 산업

"농업"은 예로부터 수산업과 더불어 옹진 지역 주민들의 주요한 생업의 하나로서 반농반어(半農半漁)의 형태를 이룬다. 도서 지역의 특성상 평야는 적지만 백령면의 북포·솔개 지구와 덕적면의 서포 지구, 영흥면의 외리 지구 등지에서 간척사업이 이루어져 농경지가 확장되었고, 비옥한 토양과 청정한 환경에서 농산물을 생산하고 있다.

2018년을 기준하여 경지면적은 2,076ha로 군 전체 면적의 약 12%를 차지하며, 인천시 전체 경지면적의 11.3%를 차지하여 10개 군·구 가운데 강화군 다음으로 비중이 크다. 논밭의 비중은 밭(1,155ha)이 약 56%를 차지하여 밭농사가 우세하다. 농가 인구는 6,585명으로 군 전체 인구의 31%를 웃돌고, 겸업 농가가 72%를 웃돈다. 2018년 농업을 포함한 농림어업의 부가가치는 약 158억 원으로 인천시 농림어업 총부가가치의 6.3%를 차지하여 서구·강화군·중구 다음으로 비중이 크다.

"수산업"은 섬들로 이루어져 예로부터 수산업이 활발하였다. 특히 연평도에서는 조기가 많이 잡히는 5~6월이면 전국에서 배들이 모여들어 대규모 조기파시(波市)가 형성되었으며, 연평도 인근의 대청도·백령도 등의 근해에서도 조업하였다. 구한말을 거쳐 일제강점기 말기에 최고조에 달하였던 연평도 조기파시는 1950년대까지 이어지다가 마구잡이 어획으로 조기가 급격히 사라지면서 사양길에 접어들었다. 오늘날에는 꽃게를 비롯하여 까나리·조피볼락(우럭)·새우·바지락··전복·소라류··다시마·낙지·주꾸미 등이 주요 수산물로 꼽히며, 까나리를 가공한 까나리액젓도 유명하다. 이밖에 백령도와 시도에 천일염을 생산하는 염전이 있다.

어로(漁撈) 활동은 연안복합어업·연안자망어업을 위주로 하는 연안어업과 양식어업·마을어업 등을 영위한다. 어항(漁港) 시설은 용기포항, 연평도항등 2개소, 덕적도항과 울도항, 선진포항 등 국가어항 3개소를 비롯하여 지방어항 8개소, 덕적도의 서포리항을 비롯한 어촌정주어항 18개소, 북도면의 야달항을 비롯한 소규모항 17개소, 등급불명 2개소를 합쳐 총 47개소로 인천광역시에서 가장 많다.

어가(漁家) 및 어가 인구는 2018년을 기준하여 3,278가구 6,148명으로 군 전체 가구의 28%에 해당하며, 겸업 어가가 약 75%를 차지한다. 어선은 480척을 보유하여 인천시 전체 어선의 31%를 웃돌고, 총 톤수는 3,084t에 달하여 인천시가 보유한 어선 총 톤수의 약 20%를 차지한다. 수산물 어획고는 6,661t으로 인천시 전체 어획고의 25%를 웃돌고, 수산물 판매액은 약 647억 원으로 인천시 전체 판매액의 약 34%를 차지한다.

"임업"은 2017년을 기준하여 산림면적은 12,196ha로 군 전체 면적의 70.5%, 인천시 전체 산림면적의 30.5%를 차지한다. 이 가운데 국유림은 1,707ha, 공유림은 374ha이며, 사유림이 83%에 가까운 10,115ha를 차지한다. 임상(林相)별로는 나무들이 자라고 있는 입목지가 11,831ha로 산림면적의 약 92%를 차지하고, 이 가운데 활엽수림이 가장 많은 5,694ha, 침엽수림이 1,703ha, 여러 종류의 나무들이 뒤섞여 자라는 혼효림이 4,434ha를 차지한다. 임산물은 북도면·영흥면의 표고버섯이 특산물로 꼽히고 산양삼·하수오·고사리·산마늘 등이 있다.

"축산업"은 과거에 농사일을 위하여 를 키우거나 부업으로 돼지나 닭을 사육하는 형태로 이루어졌으며, 오늘날에는 사육 농가와 마릿수가 모두 크게 감소하였다. 2018년을 기준하여 주요 축종인 한우육우는 가구당 2.9마리(43가구 125마리), 은 가구당 73.2마리(77가구 5,633마리)를 사육하여 전업화·규모화의 축산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다만 염소는 33가구에서 906마리를 사육하여 인천시 전체 염소 사육의 약 40%를 차지한다.

"광업"은 북도면규석·티탄철·사금·· 광구, 백령면규석 광구, 영흥면규사 광구 등의 광업권이 설정되어 2000년까지 석회석·규사·티탄철·규석·금 등의 광산물이 생산되었으나 양은 많지 않았으며, 2006년 규석이 생산된 것을 끝으로 통계에 나타나지 않는다.

"제조업"은 기반이 매우 취약하여 국가산업단지와 일반산업단지는 고사하고 농공단지도 조차 없다. 2018년을 기준하여 제조업체 수는 69개, 종사자는 205명으로 인천시 전체의 1% 미만으로 10개 군·구 가운데 가장 비중이 낮다. 업종은 식료품 제조업체(37개)가 주류를 이루며, 종사자 10인 이상인 제조업체가 1개에 불과하다. 2018년 제조업의 부가가치는 65억 원으로 10개 군·구 가운데 가장 적다.

1.2. 상권

상업활동은 인구수가 작아 자체적인 발달이 미약하고 관내 식자재마트 한곳도 없다. 그러나 어항 중심으로 소규모 상점이 있을 뿐, 대부분은 인천에 의존하고 있다. 백령면의 진촌장은 이 지역의 유일한 시장이고 각면지역들마다 인천옹진농협과 백령농협의 하나로마트 면소재지쪽 한곳씩 소재할뿐 지역단위수협의 바다로마트와 지역단위조합의 산림마트는 각각 한군데도 없다.

2. 금융

옹진군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제1금융권
국가기관
옹진우체국[2] (8)
제2금융권(상호금융) [괄호]
농업협동조합
인천옹진농협 (6) 백령농협 (2)
수산업협동조합
경인서부수협 (6) 영흥수협 (2)

낙후된 섬지역이라 우체국과 지역단위 농협과 수협뿐이라 그외에는 인근지역의 점포로 방문해야 한다. 또한 옹진부천산림조합도 있지만 소사구 부천시청점이 있는 부천시와 달라 옹진군은 아예 한곳도 없다.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2] 백령,대청,백령소청,연평,북도,덕적,자월,영흥[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44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44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