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table align=center><table width=600><table bgcolor=white,#1f2023><table bordercolor=black><colbgcolor=gray><colcolor=white><bgcolor=black>
||
게임 플레이 | 시스템 | 맵 팁 |
등장 병기 | 항공 병기 | 지상 병기 | 해상 병기 |
기타 | 평가 | 사건 사고 | 업데이트(마이너 업데이트) | 템플릿 |
원작 | 워 썬더 |
워 썬더 모바일의 등장 병기 둘러보기 | ||
| 육군 | 해군 |
워 썬더 모바일의 지상 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px -10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808080> | |
| ||
| 일반 차량 | 프리미엄 차량 | 이벤트 보상 차량 | |
| ||
| ||
| 일반 차량 | 이벤트 보상 차량 | |
| ||
| ||
| 스웨덴 트리 | |
| 이스라엘 트리 | |
| }}}}}}}}} |
1. 개요
워 썬더 모바일 지상 병기 영국 트리에 대해 서술한 문서이다.본가와 마찬가지로 남아공 계열 차량들도 포함하는 테크트리로, 테크트리 내에 유저들이 자주 플레이하는 4[1], 7[2], 8랭크[3]대 차량들이 아예 존재하지 않는 대신, 최초로 9/10랭크 차량을 받은 국가 중 하나다. 다만 테크트리에 존재하지 않는 랭크대 차량들 중, 적어도 7/8랭크는 이벤트 보상 차량으로 출시되었기 때문에 영국이라는 국가 자체에 7/8랭 기갑이 없진 않다.
공통적으로 6랭크까진 몇몇 예외를 빼면 무작약 철갑탄이 주력인 국가로, 이 때문에 타 국가 대비, 또는 구경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관통력을 갖췄지만, 그 대신 관통 후 피해량을 희생한 기갑이 대다수다. 7랭크까지 고관통탄 포지션은 APDS가 맡는데, APDS는 APDS/APCR 피해량을 억까하는 가이진 특성상 약점부 근처에 맞지 않으면 제대로 된 피해를 넣지 못하며, 이 때문에 영국 전차들의 체감상 살상력은 영 좋지 못한 편에 속한다. 그나마 무작약 철갑탄들은 관통력이 평범 내지 괜찮은 편이면서 피해량도 작약 철갑탄 수준에는 미치지 못해도 그럭저럭 쓸만한지라, 바늘포라는 악명에 비하면 공격력이 전혀 못 써먹을 건 아니다.
장갑의 경우 전차 계열은 보통 포탑만 내놓는 "헐다운" 전술에 의존하는 영국군 기갑 운용 특성상 포탑이 튼튼한 편인데, 9랭크부턴 이 특성이 극대화되어 아예 랭크대 최상급 포탑 방호력을 발휘하며, 5~7랭크대에도 타 국가 또는 체급 대비 포탑이 튼튼한 전차들이 꽤 많다. 다만 평지 맵이 많고 헐다운할 공간이 제한적인 워 썬더 모바일 맵 구조 특성상, 이로부터 오는 이득은 적거나 거의 없으며, 오히려 포탑을 강화하기 위해 차체 장갑을 깎은 전차들이 꽤 있어, 방호력과 생존성 모두 딱히 좋다고 느껴지는 전차는 거의 없다. 장갑차는 보통 남아공 계열이 많고, 하나같이 생존성은 개나 줘버린 것들 뿐이다. 그나마 화력은 못 써먹을 수준은 아닌 편.
몇몇 기갑들은 "영국치고" 살상력이 높은 편이고, 그 중에서도 몇몇은 "영국치고" 전반적인 성능이 균형잡혀 고평가받기도 하지만, 이런 기갑들도 보통은 나름의 하자가 있기 마련이라, 영 좋은 국가라고 하기엔 어폐가 있다. 정규 테크트리 내에서 랭크 대비 성능이 좋다고 평가되는 기갑이 두 손, 아니 한 손에 꼽을 정도(...)로 적은 국가이며, 따라서 레벨업을 쉬이 하고자 한다면 보통은 영국보단 다른 국가 기갑을 고르는 게 편할 것이다. 타 국가와 비교해도 성능이 나쁘지 않아 추천되는 정규 소대는 4레벨의 Comet I, 10레벨의 FV4202 단 둘 뿐이며, 이들 소대의 성능도 주력 기갑인 Comet I[4] / FV4202[5]의 캐리력에 상당히 의존하는 편이다.
2. 일반
2.1. Avenger 소대 (2랭크)
2.1.1. Avenger
2.1.2. Churchill NA75
2.1.3. Concept 3
2.1.4. Crusader AA Mk II
2.2. Comet I 소대 (3랭크)
2.2.1. Comet I
2.2.2. Churchill VII
2.2.3. Challenger
2.2.4. Crusader AA Mk I
2.3. Black Prince 소대 (5랭크)
2.3.1. Black Prince
2.3.2. Centurion Mk 1
2.3.3. Ratel 90
2.3.4. Ystervark
2.4. FV4202 소대 (6랭크)
2.4.1. FV4202
2.4.2. FV4005
2.4.3. Tortoise
2.4.4. Ratel 20
2.5. Chieftain Mk 10 소대 (9랭크)
2.5.1. Chieftain Mk 10
2.5.2. Olifant Mk.2
2.5.3. ZT3A2
2.5.4. ZA-35
2.6. Challenger Mk.2 소대 (10랭크)
2.6.1. Challenger Mk.2
2.6.2. TTD
2.6.3. Desert Warrior
2.6.4. ZA-35
[1] KV-220/Tiger E/M4A3E2 (76) W 같은 양학용 중전차로 전적 주작을 하는 유저들과, 일반적인 초보 유저들 모두 자주 플레이하는 랭크대다.[2] 10랭크 전까진 방호력이라는 게 마지막으로 유의미한 랭크대이며, 엄청난 떡장의 마우스 같은 전차나 압도적인 관통력의 오비옉트 120 등 기갑들이 매우 다채로우면서, 티거 II/T95/야크트티거 등으로 인해 마찬가지로 유저수가 많은 6랭크대를 양학할 수 있는 랭크대라, 6랭크와 마찬가지로 유저들이 많은 랭크대다.[3] 날탄 죽창메타가 되는 첫 랭크대라 고랭크대 연습용으로 좋고, 기갑들이 그럭저럭 특색도 있으면서, 9랭크와 달리 기존 8랭크 이상 전차들 대비 압도적인 생존성을 갖춘 10랭크 전차랑 만날 일이 없어 9랭크보다 선호된다. 9랭크까진 몇몇 기갑을 빼면 생존성이 거기서 거기라 상당수의 8랭크 전차들은 9랭크 대비 성능이 심각할 정도로 열세지도 않다.[4] 3랭크에선 드문 각 준 티거를 아무 문제 없이 관통 가능한 중형전차라 4랭크전으로 끌려가도 유의미한 화력을 발휘하고, 후진이 처참하고 차체 장갑이 나쁘긴 하지만, 포탑은 그럭저럭 튼튼해 헐다운이 제한적으로 가능하면서 직진 기동성도 준수한지라 이 소대에서 가장 강력한 기갑이다.[5] 6랭크에서 유일하게 2축 스태빌이 달린 중형전차이며, "고증화"로 수직관통만 높은 APDS를 받은 PC판과 달리, 경사관통도 그럭저럭 나쁘지 않은 "너프 전" APDS를 가진지라, 7랭크에 넘쳐나는 T-54 계열 중형전차들을 안정적으로 관통 가능한 유일한 6랭크대 중형전차면서 반응성도 좋고 포탑 장갑도 꽤 튼튼해, 느린 속도만 빼면 6랭크대 중형전차 중에서도 유별나게 강력하다고 평가된다. 애초에 경량화된 센추리온 격의 전차다 보니, 원래같으면 FV4202의 상위호환격이어야 하는 Centurion Action X는 게임상에선 센추리온 차체 특성상 전고가 훨씬 높아 피격 면적이 더 크고, 차체 정면 상단부 경사각에 의한 도탄억까도 없다시피 해서 실질 성능이 FV4202와 최대 동급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