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1 22:36:35

워 썬더/항공 병기/소련 트리/회전익기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워 썬더/항공 병기/소련 트리
워 썬더의 등장 병기 둘러보기
공군 육군 해군
워 썬더의 항공 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808080> 파일:워 썬더 미국 국기.png 미국 요격기 | 육군 항공대 · 공군 | 해군 항공대 | 공격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독일 국기.png 독일 메서슈미트 · 서독 계열 | 포케불프 · 동독 계열 | 중전투기 | 공격기 · 요격기 | 폭격기 · 스위스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소련 국기.png 소련 야크 계열 | 미그 계열 | 라보츠킨 · 수호이 계열 | 공격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영국 국기.png 영국 호커 계열 | 슈퍼마린 · 글로스터 계열 | 해군 항공기 | 중전투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일본 국기.png 일본 해군 항공대 | 육군 항공대 | 중전투기 · 요격기 · 태국 | 경폭격기 | 중형 · 중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중국 국기.png 중국 국민당 | 공산당 | 공격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이탈리아 국기.png 이탈리아 레지아네 계열 | 피아트 · 마키 계열 | 공격기 | 폭격기 | 헝가리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프랑스 국기.png 프랑스 자국산 | 공여 전투기 · 공격기 | 공격기 | 폭격기 | 베네룩스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스웨덴 국기.png 스웨덴 전투기 | 전투기 · 폭격기 혼합 | 폭격기 | 핀란드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이스라엘 국기.png 이스라엘 전투기 | 전투기 · 공격기 혼합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

파일:워 썬더 소련 국기.png 소련 항공 병기
야크 계열 | 미그 계열 | 라보츠킨 · 수호이 계열 | 공격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 연구 가능 장비 ]
## -↓- 5랭 -↓- ##
V 랭크
## ↓ 1행 ↓ ##
파일:WT_Mi-4AV(USSR).png
## ↓ 2행 ↓ ##
## ↓ 3행 ↓ ##
## ↓ 4행 ↓ ##
파일:WT_Mi-8TV(USSR).png
파일:WT_Mi-24A(USSR).png
## ↓ 5행 ↓ ##
## -↓- 6랭 -↓- ##
VI 랭크
## ↓ 1행 ↓ ##
파일:WT_Mi-24V(USSR).png
## ↓ 2행 ↓ ##
## ↓ 3행 ↓ ##
파일:WT_Mi-8AMTSh(USSR).png
파일:WT_Mi-24P(USSR).png
## ↓ 4행 ↓ ##
## ↓ 5행 ↓ ##
## ↓ 6행 ↓ ##
파일:WT_Mi-35M(USSR).png
파일:WT_Ka-29(USSR).png
## ↓ 7행 ↓ ##
## -↓- 7랭 -↓- ##
VII 랭크
## ↓ 1행 ↓ ##
파일:WT_Mi-8AMTSh-VN(USSR).png
파일:WT_Mi-28N(USSR).png
파일:WT_Ka-52(USSR).png
## ↓ 2행 ↓ ##
## ↓ 3행 ↓ ##
파일:WT_Mi-28NM(USSR).png
## ↓ 4행 ↓ ##
## -↓- 구분선 -↓- ##
[ 프리미엄 장비 ]
## -↓- 장 비 -↓- ##
## -↓- 5랭 -↓- ##
V 랭크
## ↓ 1행 ↓ ##
파일:WT_Mi-24D(USSR).png
## ↓ 2행 ↓ ##
## -↓- 6랭 -↓- ##
VI 랭크
## ↓ 1행 ↓ ##
파일:WT_Ka-50(USSR).png
## ↓ 2행 ↓ ##
## -↓- 7랭 -↓- ##
VII 랭크
## ↓ 1행 ↓ ##
파일:WT_Mi-35P_USSR.png
## ↓ 2행 ↓ ##
,타 국가 항공 장비,
파일:워 썬더 미국 국기.png 미국 | 파일:워 썬더 독일 국기.png 독일 | 파일:워 썬더 영국 국기.png 영국 | 파일:워 썬더 일본 국기.png 일본 | 파일:워 썬더 중국 국기.png 중국 | 파일:워 썬더 이탈리아 국기.png 이탈리아 | 파일:워 썬더 프랑스 국기.png 프랑스 | 파일:워 썬더 스웨덴 국기.png 스웨덴 | 파일:워 썬더 이스라엘 국기.png 이스라엘



1. 개요

1.81 "The Valkyries" 패치로 추가된 회전익기이다.

2. 5랭크

2.1. Mi-4AV

Mi-4AV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소련 헬리콥터 트리
파일:Mi-4AV.png
이전 헬리콥터 현재 헬리콥터 다음 헬리콥터
- Mi-4AV Mi-24A
Mi-8TV }}}}}}}}}
성능 카탈로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필요 RP - 가격 390,000 파일:19px-Sl_icon.png 전환 훈련 비용 110,000 파일:19px-Sl_icon.png
<colcolor=#373a3c> 랭크 V 최대속도 190 km/h
BR 8.7 / 8.0 / 8.3 상승률 11 m/s
승무원 3명 최대 상승한도 6,000 m
무장 12.7 mm TKB-481 기관총 × 1 (탄약 적재량:200) [스톡]
폭장종류
지상 표적용 S-5K × 96 [스톡]
FAB-250M-46 × 4 + 9M17 팔랑가 × 4
FAB-250M-46 × 4
FAB-100 × 6
대장갑용 9M17 팔랑가 × 2 [스톡]
9M17 팔랑가 × 4
그 외 각종 커스텀 무장 프리셋 }}}}}}}}}

소련의 초창기 헬리콥터이다. 원래 본체가 미국과 같이 수송임무를 담당하던 기체인데 그래서인지 콕핏을 열면 뒤쪽 탑승구가 열리는 것을 볼 수 있다.

엔진이 터보샤프트 엔진이 아닌 피스톤 엔진이라 가속력도 느리고 주행속도 모든 면에서 타국의 터보샤프트 헬리콥터보다 뒤떨어진다.

참고로 항속 주행할 때 기체가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기우는 이유는 메인 프로펠러가 한쪽 방향으로 회전할때 발생하는 토크때문에 그렇다.
이 문제는 동축 메인 프로펠러에 와서 고쳐진다.

기관총 1정이 포탑 형태로 달리며 이걸로 항공기를 상대할 수는 있지만 위력이 약하고, 감으로 리드를 잡아야 하기 때문에 기대는 하지 않는 것이 좋다.

폭장으로는 기본적으로 S-5k 로켓 96발과 9M17M 팔랑가 대전차 미사일 2발이 달리는 로드아웃을 주며, 업그레이드 시 9M17M을 4발 달 수 있다. 9M17M은 사정거리 4.0km와 관통 650mm로 낮은 랭크를 감안하면 괜찮은 성능을 가지고 있으나 사격할 수 있는 범위가 좁기 때문에 독일의 알루에트처럼 마구 사격하기는 쉽지 않다. 이 외에도 폭탄을 달 수 있지만 쓸모는 없다.

처참한 기동성과 가속력, 끊임없이 한쪽으로 기우는 기체와 느려 터진 속력으로 인해 소련 헬기들이 탑티어에서 악명이 매우 높은 것과는 달리 Mi-4는 모든 트리 통틀어서 가장 성능이 나쁜 헬리콥터 중 하나로 취급당하고 있다. 최대한 빠르게 넘기자.

2.2. Mi-8TV

Mi-8TV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소련 헬리콥터 트리
파일:WT_Mi-8TV.png
이전 헬리콥터 현재 헬리콥터 다음 헬리콥터
Mi-4AV Mi-8TV Mi-8AMTSh }}}}}}}}}
성능 카탈로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필요 RP 150,000 파일:13px-Rp_icon.png 가격 490,000 파일:19px-Sl_icon.png 전환 훈련 비용 140,000 파일:19px-Sl_icon.png
<colcolor=#373a3c> 랭크 V 최대속도 260 km/h
BR 9.0 / 8.3 / 8.7 상승률 11.5 m/s
승무원 3명 최대 상승한도 4,950 m
무장 12.7 mm A-12.7 기관총 × 1 (탄약 적재량:700) [스톡]
폭장종류
지상 표적용 9M17 팔랑가 × 2 + S-5K × 192 [스톡]
OFAB-250M-46 × 6
FAB-250M-62 × 6
FAB-500M-62 × 2
FAB-500M-54 × 2
ZB-500 × 2
S-5K × 192 [스톡]
OFAB-100 × 6
S-5K × 96 [스톡]
대장갑용 9M17 팔랑가 × 4
그 외 각종 커스텀 무장 프리셋 }}}}}}}}}

2023년 9월 27일 'Sons of Atila' 업데이트를 통해 추가되었다.
Mi-8TV: 좋은 벗

Mi-8은 Mi-4와 같은 수송용 헬리콥터로, Mi-8TV는 Mi-8의 무장용 버전이다. 비록 수송용 헬기 베이스긴 하지만 Mi-4와는 달리 엔진의 힘이 강력해서 최대 260km/h의 속도를 낼 수 있다.

Mi-8TV의 장점은 바로 엄청난 양의 무장 탑재능력으로, S-5K 로켓을 무려 192발을 장착할 수 있고, 거기에 9M17M 팔랑가 미사일을 4발 더 달 수 있다! 이외에도 100, 250, 500kg 폭탄과 소이탄을 장착할 수 있다. 무장 탑재량을 최대한 살려 로켓런을 하는 것을 추천한다.

다만 수송헬기의 한계로 기동성이 그리 좋지 않기 때문에 대공사격을 회피하기 어렵다.

2.3. Mi-24A

Mi-24A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소련 헬리콥터 트리
파일:WT_Mi-24A.png
이전 헬리콥터 현재 헬리콥터 다음 헬리콥터
Mi-4AV Mi-24A Mi-24V }}}}}}}}}
성능 카탈로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필요 RP 150,000 파일:13px-Rp_icon.png 가격 490,000 파일:19px-Sl_icon.png 전환 훈련 비용 140,000 파일:19px-Sl_icon.png
<colcolor=#373a3c> 랭크 V 최대속도 335 km/h
BR 9.3 / 8.7 / 9.0 상승률 11.2 m/s
승무원 2명 최대 상승한도 4,950 m
무장 12.7 mm A-12.7 기관총 × 1 (탄약 적재량:900) [스톡]
폭장종류
지상 표적용 OFAB-250 × 4
FAB-500M-54 × 2
S-5K × 128 [스톡]
23 mm GSh-23L 기관포 × 4 (탄약 적재량:1000)
대장갑용 9M17 팔랑가 × 4
그 외 각종 커스텀 무장 프리셋 }}}}}}}}}

Mi-24 하인드의 초기양산형이다.

일반적인 하인드들이 가지는 둥글둥글한 콕핏 형상과는 다르게 각이 진 콕핏 형상이 특징이며, 수송 헬기인 Mi-4보다는 확연히 비행 성능이 강화되었으며 Mi-4와 마찬가지로 12.7mm 기관총을 기본 무장으로 가진다. 공격헬기와 수송헬기의 목적을 겸하는 하인드의 특성답게 기동성은 타 공격헬기들보다 떨어지는 편이며, Ka-52나 Mi-28같은 최종스펙 공격헬기에 도달할 때까지 이 묵직한 기동에 익숙해질 필요가 있다.

무장으로는 이전 Mi-4와 거의 비슷하게 9M17M 팔랑가 미사일을 최대 4발까지 장착할 수 있으며 추가로 S-5K 로켓 128발을 장착할 수 있다.

3. 6랭크

3.1. Mi-8AMTSh

Mi-8AMTSh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소련 헬리콥터 트리
파일:WT_Mi-8AMTSh.png
이전 헬리콥터 현재 헬리콥터 다음 헬리콥터
Mi-8TV Mi-8AMTSh Mi-8AMTSh-VN }}}}}}}}}
성능 카탈로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필요 RP 360,000 파일:13px-Rp_icon.png 가격 980,000 파일:19px-Sl_icon.png 전환 훈련 비용 280,000 파일:19px-Sl_icon.png
<colcolor=#373a3c> 랭크 VI 최대속도 285 km/h
BR 10.0 / 9.7 / 9.7 상승률 11.5 m/s
승무원 3명 최대 상승한도 4,950 m
무장 7.62 mm PKT 기관총 × 1 (탄약 적재량:1750) + 기만체 × 128 [스톡]
폭장종류
공중 표적용 9M39 × 8
9M39 × 4
지상 표적용 S-8KO × 120 [스톡]
9M114 슈트름 × 4 + S-8KO × 120 [스톡]
FAB-250M-62 × 6
FAB-500M-62 × 2
ZB-500 × 2
OFAB-100 × 6
23 mm GSh-23L 기관포 × 6 (탄약 적재량:1500)
12.7 mm YaK-B 기관총 × 2 (탄약 적재량:1500) + 7.62 mm GShG-7.62 기관총 × 4 (탄약 적재량:7200)
대장갑용 9M114 슈트름 × 8
그 외 각종 커스텀 무장 프리셋 }}}}}}}}}

"Kings of Battle" 업데이트로 추가된 Mi-8 수송헬기를 베이스로 한 무장 버전이다.

이전의 Mi-8TV에 비해 엔진 추력이 증가하여 최대 285km/h까지 속도를 낼 수 있다. 최대 장착 가능한 로켓은 192발에서 120발로 줄었지만 발당 위력이 더 강한 S-8KO를 사용하고, 9M114 슈트름 미사일을 최대 8발까지 장착할 수 있다. 이 덕분에 원거리에서 ATGM만으로 다수의 적을 공격하는 플레이를 하는데에 용이하다. 이 외에도 각종 폭탄과 소이탄, 23mm 건포드 6정을 장착할 수 있다. 특이한 무장으로 12.7mm Yak-B 기관총 2정과 7.62mm GShG 기관총 4정을 장착하는 건포드 옵션이 있는데[13], 이게 개틀링 방식이라 단시간에 총알비를 퍼부을 수 있다. 다만 구경이 구경인지라 끽해야 경장갑 차량에 미미한 피해를 줄 수 있는 정도고, 조준하기도 까다롭다.

무장 성능은 준수하지만, 아무래도 수송헬기 기반이고, BR 9.7의 지상 장비라고는 T-64B 한대뿐이라 해당 BR을 중심으로 덱을 편성하는것이 난감하다.[14]

3.2. Mi-24V

Mi-24V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소련 헬리콥터 트리
파일:WT_Mi-24V.png
이전 헬리콥터 현재 헬리콥터 다음 헬리콥터
Mi-24A Mi-24V Mi-24P }}}}}}}}}
성능 카탈로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필요 RP 360,000 파일:13px-Rp_icon.png 가격 980,000 파일:19px-Sl_icon.png 전환 훈련 비용 280,000 파일:19px-Sl_icon.png
<colcolor=#373a3c> 랭크 VI 최대속도 335 km/h
BR 10.0 / 9.7 / 9.7 상승률 11.2 m/s
승무원 2명 최대 상승한도 4,950 m
무장 12.7 mm YaK-B 기관총 × 1 (탄약 적재량:1470) + 기만체 × 192 [스톡]
12.7 mm YaK-B 기관총 × 1 (탄약 적재량:1470) + 기만체 × 192 + HIRSS
12.7 mm YaK-B 기관총 × 1 (탄약 적재량:1470) + 기만체 × 192 + HIRSS + IRCM
폭장종류
공중 표적용 R-60M × 4
R-60 × 4
R-60M × 2
R-60 × 2
지상 표적용 OFAB-250 × 4
FAB-500M-54 × 2
S-24 × 4
S-8KO × 80 [스톡]
23 mm GSh-23L 기관포 × 4 (탄약 적재량:1000)
12.7 mm YaK-B 기관총 × 2 (탄약 적재량:1500) + 7.62 mm GShG-7.62 기관총 × 4 (탄약 적재량:7200)
대장갑용 9M114 슈트름 × 8
9M114 슈트름 × 4
그 외 각종 커스텀 무장 프리셋 }}}}}}}}}

우리가 잘 아는 그 하인드가 맞다. A형의 승무원이 좌/우로 앉던 복좌식 콕핏을 D형처럼 앞/뒤로 앉는 직렬식으로 교체하고 딱총만도 못하던 12.7mm 1정을 12.7mm 4연장 기관총 포탑으로 교체함과 동시에 연사력도 비약적으로 증가하였고, 거기다 전방위 락온이 가능한 R-60M까지 탑재할 수 있어 항공기 대응 능력이 전무하던 Mi-4AV와 Mi-24A에 비해 고정익기에 대한 대응 능력이 크게 증가하였다.

다만 대전차 능력은 좋지 못한데 주력 대전차미사일인 9M114 슈트름[17]은 BR 9점대 AH-1FBO-105의 토우나 HOT 미사일에 비하면 나은 모습을 보이나 대공 능력이 비약적으로 상승한 9.7에서 효과적으로 쓰기에는 어렵다. 그러나 Mi-4AV와 Mi-24A의 S-5K 로켓에 비해 작약량이 증가한 S-8KO 로켓 80발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미사일 캐리어로 쓰기보단 대공장비가 별로 없는 초반에 로켓런으로 쓰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3.3. Mi-24P

Mi-24P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소련 헬리콥터 트리
파일:WT_Mi-24P.png
이전 헬리콥터 현재 헬리콥터 다음 헬리콥터
Mi-24V Mi-24P Mi-35M
Ka-29 }}}}}}}}}
성능 카탈로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필요 RP 370,000 파일:13px-Rp_icon.png 가격 990,000 파일:19px-Sl_icon.png 전환 훈련 비용 280,000 파일:19px-Sl_icon.png
<colcolor=#373a3c> 랭크 VI 최대속도 335 km/h
BR 10.0 / 9.7 / 9.7 상승률 11.2 m/s
승무원 2명 최대 상승한도 4,950 m
무장 30 mm GSh-30-2K 기관포 × 1 (탄약 적재량:250) + 기만체 × 192 [스톡]
30 mm GSh-30-2K 기관포 × 1 (탄약 적재량:250) + 기만체 × 192 + HIRSS
30 mm GSh-30-2K 기관포 × 1 (탄약 적재량:250) + 기만체 × 192 + HIRSS + IRCM
폭장종류
공중 표적용 R-60M × 4
R-60 × 4
R-60M × 2
R-60 × 2
지상 표적용 9M114 슈트름 × 4 + S-8KO × 40
OFAB-250 × 4
FAB-500M-54 × 2
S-24 × 4
S-8KO × 80 [스톡]
23 mm GSh-23L 기관포 × 4 (탄약 적재량:1000)
12.7 mm YaK-B 기관총 × 2 (탄약 적재량:1500) + 7.62 mm GShG-7.62 기관총 × 4 (탄약 적재량:7200)
대장갑용 9M114 슈트름 × 8
9M114 슈트름 × 4
그 외 각종 커스텀 무장 프리셋 }}}}}}}}}

V형의 12.7mm 4연장 기관총 포탑을 30mm 2연장 기관포로 교체한 하인드. 외부에 포탑을 장착한게 아니고 동체에 기관포를 고정시켜두어 직접 기체를 틀어줘서 조준해야 한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으나, 위력과 연사 속도가 우수해 몇 발만으로 항공기나 경차량을 분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외에는 무장 프리셋에 미미한 변경점을 빼면 V형과 동일하다.

3.4. Mi-35M

Mi-35M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소련 헬리콥터 트리
파일:WT_Mi-35M.png
이전 헬리콥터 현재 헬리콥터 다음 헬리콥터
Mi-24P Mi-35M Mi-28N }}}}}}}}}
성능 카탈로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필요 RP 390,000 파일:13px-Rp_icon.png 가격 1,010,000 파일:19px-Sl_icon.png 전환 훈련 비용 290,000 파일:19px-Sl_icon.png
<colcolor=#373a3c> 랭크 VI 최대속도 299 km/h
BR 10.7 / 10.7 / 10.3 상승률 12 m/s
승무원 2명 최대 상승한도 5,400 m
무장 23 mm GSh-23L 기관포 × 1 (탄약 적재량:450) + 기만체 × 192 [스톡]
23 mm GSh-23L 기관포 × 1 (탄약 적재량:450) + 기만체 × 192 + HIRSS
23 mm GSh-23L 기관포 × 1 (탄약 적재량:450) + 기만체 × 192 + HIRSS + IRCM
폭장종류
공중 표적용 9M39 × 8
지상 표적용 S-8KO × 80 [스톡]
S-13OF × 10
23 mm GSh-23L 기관포 × 2 (탄약 적재량:500)
대장갑용 9M114 슈트름 × 2 [스톡]
9M120 아타카 × 8
9M114 슈트름 × 8
9M120 아타카 × 4
9M114 슈트름 × 4
그 외 각종 커스텀 무장 프리셋 }}}}}}}}}

하인드의 현대화 개량형. 열상장비가 추가되었고 공대공 미사일로 R-60 대신 9M39 이글라가 장착된다. 이 외에도 9M114 시투름 미사일보다 강력한 9M120 아타카 미사일을 장착할 수 있으며, 기수 하단에 각도 조절 가능한 23mm GSh-23 기관포 포탑으로 교체되는 등 전체적인 부분이 개량되었다.

3.5. Ka-29

Ka-29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소련 헬리콥터 트리
파일:ka_29.png
이전 헬리콥터 현재 헬리콥터 다음 헬리콥터
Mi-24P Ka-29 Ka-52 }}}}}}}}}
성능 카탈로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필요 RP 380,000 파일:13px-Rp_icon.png 가격 1,000,000 파일:19px-Sl_icon.png 전환 훈련 비용 290,000 파일:19px-Sl_icon.png
<colcolor=#373a3c> 랭크 VI 최대속도 280 km/h
BR 9.7 / 9.7 / 9.7 상승률 15.5 m/s
승무원 2명 최대 상승한도 5,400 m
무장 7.62 mm GShG-7.62 기관총 × 1 (탄약 적재량:2000) + 기만체 × 256 [스톡]
7.62 mm GShG-7.62 기관총 × 1 (탄약 적재량:2000) + 기만체 × 256 + HIRSS
7.62 mm GShG-7.62 기관총 × 1 (탄약 적재량:2000) + 기만체 × 256 + HIRSS + IRCM
폭장종류
지상 표적용 S-8KO × 80 [스톡]
23 mm GSh-23L 기관포 × 2 (탄약 적재량:500)
30 mm 2A42 기관포 (탄약 적재량:200)
대장갑용 9M114 슈트름 × 2 [스톡]
9M114 슈트름 × 8
그 외 각종 커스텀 무장 프리셋 }}}}}}}}}

카모프 트리를 타게 되면 공격과 수송을 겸용하던 하인드 시리즈에서 다시 Mi-4AV처럼 수송헬기로 돌아온다. 하인드와 무장의 종류는 동일하지만, 속도가 빠른 대신 방향타 조절이 끔찍한 하인드와는 다르게 방향타 조절이 우수한 대신 속도가 느려졌다.

Ka-50과 Ka-52의 300km/h가 넘는 속도에 비해 한참 못미치다보니 로켓런에 쓰다간 오는 데 한 세월인데다가, 날탄 맞고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

미사일 캐리어로 쓰기에도 슈트름 미사일의 한계가 명확하기 때문에 이도저도 안되는 애매한 헬기. 부품을 연구하면 BMP-2에 쓰이는 2A42 30mm 기관포를 달 수 있지만, 고정식이라 쓸모가 거의 없다.

4. 7랭크

4.1. Mi-8AMTSh-VN

Mi-8AMTSh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소련 헬리콥터 트리
파일:WT_Mi-8AMTSh-VN.png
이전 헬리콥터 현재 헬리콥터 다음 헬리콥터
Mi-8AMTSh Mi-8AMTSh-VN - }}}}}}}}}
성능 카탈로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필요 RP 400,000 파일:13px-Rp_icon.png 가격 1,020,000 파일:19px-Sl_icon.png 전환 훈련 비용 290,000 파일:19px-Sl_icon.png
<colcolor=#373a3c> 랭크 VII 최대속도 300 km/h
BR 10.7 / 11.0 / 10.7 상승률 12.5 m/s
승무원 3명 최대 상승한도 4,950 m
무장 12.7 mm 코르드 기관총 × 2 (탄약 적재량:600) + 기만체 × 192 [스톡]
폭장종류
공중 표적용 9M336 × 4
9M336 × 2
지상 표적용 S-8KO × 80 [스톡]
9M120-1 아타카 × 4 + S-8KO × 40 [스톡]
FAB-250M-62 × 6
FAB-500M-62 × 2
ZB-500 × 2
OFAB-100 × 6
23 mm GSh-23L 기관포 × 2 (탄약 적재량:500)
대장갑용 9M120 아타카 × 8
그 외 각종 커스텀 무장 프리셋 }}}}}}}}}

"Firebirds" 업데이트에서 추가되었다.
Mi-8AMTSh-VN: 하지만 공격 헬기가 출동하면 어떨까?

2017년에 개량된 최신버전 Mi-8로, AESA 레이더가 탑재된다.

기수에 레이더를 달다보니 기총은 익근부위에 코르드 기관총 2정을 탑재하는 것으로 바뀌었고, 무장으로는 아타카 미사일과 베르바 미사일을 사용할 수 있다.

4.2. Mi-28N

Mi-28N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소련 헬리콥터 트리
파일:WT_Mi-28N.png
이전 헬리콥터 현재 헬리콥터 다음 헬리콥터
Mi-35M Mi-28N Mi-28NM }}}}}}}}}
성능 카탈로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필요 RP 400,000 파일:13px-Rp_icon.png 가격 1,020,000 파일:19px-Sl_icon.png 전환 훈련 비용 290,000 파일:19px-Sl_icon.png
<colcolor=#373a3c> 랭크 VII 최대속도 300 km/h
BR 10.7 / 11.0 / 10.7 상승률 12.8 m/s
승무원 2명 최대 상승한도 5,400 m
무장 30 mm 2A42 기관포 × 1 (탄약 적재량:250) + 기만체 × 128 [스톡]
폭장종류
공중 표적용 9M39 × 8
지상 표적용 S-13OF × 20
S-8KO × 80 [스톡]
23 mm GSh-23L 기관포 × 2 (탄약 적재량:500)
대장갑용 9M120-1 아타카 × 4 [스톡]
9M120-1 아타카 × 16
9M120-1 아타카 × 8
그 외 각종 커스텀 무장 프리셋 }}}}}}}}}

1.93 "Shark Attack" 업데이트로 추가.
Mi-28N: 다가오는 대재앙

일명 액체 로켓/물로켓이라 불리던 작약덩어리 S-13DF를 사용했었으나, 실제 S-13DF는 파편이 거의 없는 열압력탄인데 인게임에서는 이 것이 반영되지 않아 지나치게 강한 위력을 보여서[32] 로켓이 일반 고폭탄두인 S-13으로 변경되어 반드시 직격시켜야만 격파가 가능한 수준으로 위력이 크게 약해졌다. 이후 추가적으로 S-13을 포함한 대구경 로켓의 스폰포인트 요구량이 증가해서 로켓런이 불가능해졌기 때문에 현재는 탑승할 메리트가 그닥 없다.

기관포가 고정식인 카모프 시리즈와 달리 회전 포탑을 달고있는데, 카모프 시리즈에서 사용하는 기관포와 동일한 기관포이며, BMP-2/3의 관통력 82mm짜리 APDS 탄띠도 사용할 수 있어서 경장갑 전차나 대공전차는 기관포만으로도 격파할 수 있고, 각도가 좋다면 MBT의 상판이나 측면도 관통하여 격파를 시도해볼 수도 있다.

Ka-52보다 조종석 장갑 면적이 넓고 두꺼워서 승무원 생존성이 좋고, 기동성도 훨씬 날렵하며, 회전포탑 기관포를 달고있어서 로켓으로는 MBT를 두들기면서 기관포로는 경장갑 차량을 잡아죽이는데에 용이했었기에, 게임 시작과 동시에 로켓을 장착하고 전차를 잡으러 가는 로켓런 용도로는 Ka-52보다 훨씬 많이 기용되었었다.

ATGM은 Ka-52보다 확연히 밀렸지만 로켓런이라는 나름의 입지가 확고했지만 현재는 S-13의 작약량 너프와 대형 로켓 스폰포인트 너프로 인해 초반 로켓런이 사장되어 탈만한 메리트가 사라진 상태이며, 설상가상으로 완벽한 상위호환인 Mi-28NM이 추가되어 Mi-28N은 부품을 연구해서 보너스 경험치를 받아내거나 장비에 스페이드를 박는게 아니라면 굳이 탈 이유가 없어졌다.

4.3. Mi-28NM

Mi-28NM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소련 헬리콥터 트리
파일:WT_Mi-28NM.png
이전 헬리콥터 현재 헬리콥터 다음 헬리콥터
Mi-28N Mi-28NM - }}}}}}}}}
성능 카탈로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필요 RP 400,000 파일:13px-Rp_icon.png 가격 1,030,000 파일:19px-Sl_icon.png 전환 훈련 비용 300,000 파일:19px-Sl_icon.png
<colcolor=#373a3c> 랭크 VII 최대속도 300 km/h
BR 11.0 / 12.0 / 11.0 상승률 13.5 m/s
승무원 2명 최대 상승한도 5,400 m
무장 30 mm 2A42 기관포 × 1 (탄약 적재량:250) + 기만체 × 128 [스톡]
폭장종류
공중 표적용 9M39 × 16
지상 표적용 FAB-500M-62 × 4
S-13OF × 20
FAB-250M-62 × 4
S-8KO × 80 [스톡]
LMUR × 8
23 mm GSh-23L 기관포 × 2 (탄약 적재량:500)
대장갑용 9M120-1 아타카 × 4 [스톡]
9K127 비효르 × 12
9M120-1 아타카 × 16
9M123M 흐리잔테마-VM × 8
9M120-1 아타카 × 8
그 외 각종 커스텀 무장 프리셋 }}}}}}}}}

2.11"Ground Breaking" 업데이트로 추가된 트리 바로 위에 있는 Mi-28N의 업그레이드 버전. 무기체계를 업그레이드하고 레이더를 장착하여 훨씬 나은 전자장비를 탑재하고 있다. 머리 위 레이더의 동그란 생김새 때문에 종종 코코볼 하복이라고 불린다.

우선 Ka-52가 사용하는 무장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에 추가로 9M123M 흐리잔테마 미사일을 쓸 수 있다. 흐리잔테마 미사일은 10km 사거리에 탠덤 1,200mm 관통력을 지녔지만 작약량은 비효르보다 약간 모자라다. 레오파르트2의 포탑 쇼트아머 정도를 제외하면 거의 못 뚫는 표적이 없는 수준이라 비효르나 아타카보다 사격이 훨씬 쾌적하다. 그러나 탄속과 기동성이 비효르보다 모자라며, 근접신관이 없어 항공기나 헬기를 잡기도 어렵고, 무엇보다 탑재량이 최대 8발에 불과하여 각각 16발, 12발이 달리는 아타카나 비효르에 비해 한참 적다.

Ka-52는 아타카가 12발만 탑재되는데 반해 하복NM은 아타카를 16발 탑재할 수 있다. 또한 Ka-52와 하복NM의 아타카는 SACLOS가 아닌 빔라이딩 유도이기 때문에 동시유도가 가능하여 성능이 상당히 괜찮다. 원래는 비효르를 놔두고 굳이 쓸 이유가 없었으나, 비효르의 SP가 비싸지면서 예전의 저렴한 SP를 유지하고 있으면서 탑재량도 많은 아타카의 경쟁력이 꽤 커졌다.[36]

단점으론 미사일 사격각이 Ka-52보다 훨씬 좁다. 아타카와 흐리잔테마는 좌우로 조금 넓은 대신 위아래로 많이 좁고, 비효르는 위아래로 좀 넓은 대신 좌우로 많이 좁다. 이 때문에 미사일을 쏘기 위해선 기수를 무조건 적 방향으로 칼같이 맞춰야 한다. 대신 조준기 배율이 최대 73.7배율이라 61.4배율인 Ka-52에 비해 장거리 정밀조준이 용이하며, Ka-52는 열상이 1.5세대로 너프되면서 화질이 상당히 흐려졌지만 하복NM은 3세대급 고화질 열상을 탑재하여 색적과 조준이 훨씬 쾌적하다.

대공미사일은 이글라를 16발까지 장착할 수 있지만, 하복NM은 하드포인트가 2쌍 밖에 없어서 이글라를 탑재하려면 공대지 미사일용 파일런 하나를 포기해야 한다. 이글라가 명중률이 그리 높은 편은 아니긴 하지만 양 주익 최외측에 이글라 전용 하드포인트가 있어서 다른 무장을 다 달고도 이글라 8발을 탑재할 수 있는 Ka-52와 비교하면 아쉬운 부분이다.

기관포는 Ka-52와 동일한 30mm 2A42를 쓰지만 이 쪽은 회전포탑에 장착되어 있어서 사격각의 제한이 없다. 다만 장탄수가 250발로 Ka-50/52보다 적다.

조작감은 장갑이 꽤 튼튼하게 붙은 만큼 묵직한 편이다. 그래도 메인로터-테일로터를 갖춘 전통적인 헬기 형상이라 이중반전 로터를 쓰는 Ka-52에 비하면 전반적인 기동성이 날렵하고 선회도 좀 더 잘 돈다. 특히 급기동을 하거나 한계속 근처의 고속에서도 Ka-52에 비해 훨씬 안정적이며, 어지간히 막 몰아도 쉽게 RPM이 곤두박질치지 않는다는 것이 장점. 기관포 사격각이 넓다는 점까지 합쳐져서 로켓런 용으로는 Ka-52보다 더 적합하지만, 대구경 로켓의 SP가 증가하여 선스폰이 불가능해진 현재는 로켓런 용도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다만 메인로터-테일로터 구조가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닌데, 테일로터가 만드는 추력으로 인해 혼자 조금씩 기수가 돌아가거나 기체 전체가 한 쪽으로 슬슬 움직이는 문제가 있으며, 피격 시 꼬리가 잘리거나 꼬리 조종계통이 끊어지면 조종이 불가능해지고 그냥 빙빙 돌다 죽기 때문에 꼬리가 아예 뜯겨나가도 비행에 전혀 문제가 없는 Ka-52보다는 생존성이 떨어진다.

Leviathans 업데이트로 LDIRCM이 생겼다. Z-10ME와는 달리 기체 하부 반구 범위에 한해서만 IIR 방식이 아닌 열추적 미사일을 기만시킨다.

Tusk Force 업데이트로 내측 파일런에 이글라를 장착할 수 있게 되었고 LMUR FNF 대전차 미사일도 받아서 Ka-52의 상위 호환이 되었다.

4.4. Ka-52

Ka-52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소련 헬리콥터 트리
파일:ka_52.png
이전 헬리콥터 현재 헬리콥터 다음 헬리콥터
Ka-29 Ka-52 - }}}}}}}}}
성능 카탈로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필요 RP 400,000 파일:13px-Rp_icon.png 가격 1,030,000 파일:19px-Sl_icon.png 전환 훈련 비용 300,000 파일:19px-Sl_icon.png
<colcolor=#373a3c> 랭크 VII 최대속도 310 km/h
BR 11.0 / 12.0 / 10.7 상승률 12.5 m/s
승무원 2명 최대 상승한도 5,400 m
무장 30 mm 2A42 기관포 × 1 (탄약 적재량:460) + 기만체 × 128 [스톡]
30 mm 2A42 기관포 × 1 (탄약 적재량:460) + 기만체 × 128 + HIRSS
30 mm 2A42 기관포 × 1 (탄약 적재량:460) + 기만체 × 128 + HIRSS + MAW
폭장종류
공중 표적용 9M39 × 8
지상 표적용 S-13OF × 20
FAB-500M-62 × 2
OFAB-250 × 4
S-8KO × 80 [스톡]
23 mm GSh-23L 기관포 × 4 (탄약 적재량:1000)
대장갑용 9K127 비효르 × 12
9M120-1 아타카 × 12
9M120-1 아타카 × 4 [스톡]
그 외 각종 커스텀 무장 프리셋 }}}}}}}}}

카모프 시리즈의 최신예 기체이다. Ka-50에서 항전장비가 대폭 업그레이드되었고 무장 탑재량도 증가했으며 조종석이 복좌형으로 변경된 버전이다.

사수 조준기의 배율이 61.4배율로, 23배가 최대였던 Ka-50에 비해 훨씬 높아진데다 열상까지 탑재되어 색적이 훨씬 쉬워졌고, 대지/대공 겸용 레이더도 장착되어 적 항공기와 전차의 대략적인 위치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조준기도 고정식에서 포탑식으로 변경되었기 때문에 조준 범위도 넓어졌다. 다만 열상은 고증화로 인해 본래 3세대였던게 1.5세대로 너프되면서 장거리 색적 시에는 상당히 흐린 편이다.

대전차 미사일은 악명높은 비효르 12발이 달리며, 이외에도 대구경 로켓 S-13OF의 채용이 가능해졌다. 또한 하드포인트가 무려 3쌍이나 되기 때문에 비효르 12발과 이글라 8발, 로켓 40발(혹은 대구경 로켓 10발)을 동시에 장착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 이글라는 최대 탄속이 마하 1.7로 느리고 중력 가속도 상한도 10.2G로 낮지만, 사거리가 약 6km로 상당히 길며 적기가 제대로 회피기동을 하지 않는다면 낮은 기동성에도 불구하고 생각보다 잘 맞추는 편이다.[40]

비효르와 대공미사일은 근접신관이 서로 반응하기 때문에 적 대공전차의 위치만 파악했다면 헬기의 천적인 대공전차라도 잡아볼만하다.

대구경 로켓인 S-13은 대공미사일의 근접신관이 반응해 터지기 때문에 대공과 미사일 싸움을 할 때 CCIP로 대공 방향으로 로켓들을 던지면 대공미사일을 확률적으로 격추할 수 있으며 작약이 잔뜩 들어가다보니 운이 좋으면 킬까지 노려볼 수 있다.

단점은 Ka-50에서 복좌형으로 변하고 장갑과 전자장비가 증설된 탓에 기체가 더욱 육중해졌고, 그에 따라 기동성도 더 나빠졌다. 선회도 굉장히 느리고,[41] 급격한 기동을 하거나 속도가 너무 빨라졌다간 갑자기 RPM이 곤두박질치며 동력을 상실하기 일쑤이며,[42] 특히 고도를 낮추는 것이 굉장히 느려서 언덕을 끼고 있다고 해도 대공미사일을 피하기가 쉽지 않다.

하복NM과 비교하면 기동성이 전반적으로 더 둔하고 열상 화질이 낮으며 아타카의 탑재량이 12발로 적지만, 하복NM에 비해 훨씬 넓은 미사일 발사각과 이중반전로터 특유의 안정성 덕에 전차를 사격할 때 훨씬 편하다. 또한 이글라 8발을 공대지 무장과 동시에 탑재할 수 있어 중거리 항공기 대응이 가능하며, 테일로터가 없는 동축반전 로터를 채택해서 꼬리 조종계통이 끊어지거나 꼬리가 잘려도 비행에 전혀 문제가 없어 피격 시 생존성이 더 뛰어난 것도 장점.

그러나 Tusk Force 업데이트로 Mi-28NM이 내측 파일런에 이글라를 장착할 수 있게 되었고 LMUR FNF 대전차 미사일도 받아서 상위호환이 되어버렸다.

5. 프리미엄

5.1. 5랭크

5.1.1. ★Mi-24D

Mi-24D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소련 헬리콥터 트리
프리미엄 항공기
파일:WT_Mi-24D.png }}}}}}}}}
성능 카탈로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필요 RP 프리미엄 장비 가격 단종 전환 훈련 비용 10,000 파일:19px-Sl_icon.png
<colcolor=#373a3c> 랭크 V 최대속도 335 km/h
BR 9.3 / 8.7 / 9.3 상승률 11.2 m/s
승무원 2명 최대 상승한도 4,950 m
무장 12.7 mm YaK-B 기관총 × 1 (탄약 적재량:1470) + 기만체 × 28
12.7 mm YaK-B 기관총 × 1 (탄약 적재량:1470) + 기만체 × 28 + HIRSS
12.7 mm YaK-B 기관총 × 1 (탄약 적재량:1470) + 기만체 × 28 + HIRSS + IRCM
폭장종류
지상 표적용 OFAB-250 × 4 + 9M17 팔랑가 × 4
FAB-500M-54 × 2 + 9M17 팔랑가 × 4
S-24 × 4 + 9M17 팔랑가 × 4
OFAB-250 × 4
FAB-500M-54 × 2
S-24 × 4
9M17 팔랑가 × 4 + S-5K × 128
S-5K × 128
9M17 팔랑가 × 4 + 23 mm GSh-23L 기관포 × 4 (탄약 적재량:1000)
23 mm GSh-23L 기관포 × 4 (탄약 적재량:1000)
대장갑용 9M17 팔랑가 × 4
그 외 각종 커스텀 무장 프리셋 }}}}}}}}}

1.81때 판매되었다가 2019년 신년세일 이후 단종된 장비

Mi-24A와 차이점은 IRCM이 추가되었고, S-24, 23mm 건포드를 장비할 수 있다.

5.2. 6랭크

5.2.1. Ka-50

Ka-5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소련 헬리콥터 트리
프리미엄 항공기
파일:ka_50.png }}}}}}}}}
성능 카탈로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필요 RP 프리미엄 장비 가격 프리미엄 번들 전환 훈련 비용 10,000 파일:19px-Sl_icon.png
<colcolor=#373a3c> 랭크 VI 최대속도 310 km/h
BR 10.7 / 11.3 / 10.3 상승률 12.5 m/s
승무원 1명 최대 상승한도 5,400 m
무장 30 mm 2A42 기관포 × 1 (탄약 적재량:460) + 기만체 × 128
폭장종류
공중 표적용 9M39 × 2
지상 표적용 FAB-500M-62 × 2
OFAB-250 × 4
S-8KO × 80
23 mm GSh-23L 기관포 × 4 (탄약 적재량:1000)
대장갑용 9K127 비효르 × 12
그 외 각종 커스텀 무장 프리셋 }}}}}}}}}

1.93 "Shark Attack" 업데이트로 추가된 소련의 프리미엄 회전익기.
Ka-50 “Black Shark”

대함, 대공, 대지상 모두 가능하고, 미사일의 기동성도 준수한데다 사거리도 10km로 매우 길고, 관통력과 작약량까지 준수한 9K127 비효르 미사일을 12발 장착할 수 있다. 이것만 봐도 공방 파괴급 사기장비인데 돈만 있으면 바로 굴릴 수 있는 프리미엄 기체다. 한마디로 적폐.

비효르는 게임 시스템 상 수혜를 매우 많이 받은 미사일이다. 직사라 탄착이 빠르고 조준이 쉬운데다, 빔라이딩이라 연막을 뚫고 사격할 수도 있다.[43] 거기다 직사인데다 유도 성능까지 매우 정밀해서 에이브람스 시리즈의 목을 찌른다거나, 동구권 차량의 명치/하부를 때리는 등의 약점 사격까지 가능하고, 심지어 대공/대지 겸용이라 근접신관까지 달려서 헬기나 항공기까지 격추할 수 있다. 헬파이어 시리즈는 게임 시스템 상 제약만 가득하지만, 비효르는 수혜만 덕지덕지 받아 소련 헬기들을 최강 자리에 올려놓았다.

자체 스펙은 심각한 수준의 OP성능으로 유명한 소련 탑 헬기에서 열상만 뺀 수준으로 좋으나, 여러 가지 특성 때문에 숙련도의 영향을 조금 받는다. 열상이 없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색적능력, 유리한 지형 자리잡기, 적 항공기 상시 관찰, 미사일이나 날탄 회피 능력 등이 있어야 장점을 살릴 수 있으니 주의. 특히 열상의 부재로 빠른 색적이 힘들어서 실력과 시력으로 매꿔야 하며, 안개가 낀 맵에서는 색적이 거의 불가능하다. 또한 기관포도 다른 헬기들과 달리 동체 우측에 반 고정식으로 붙어서 좌우각은 매우 좁고 상하로만 움직이는 방식이라 기관포 사용에 비교적 제약이 있는 것도 단점으로 꼽을만하다.

게임 시스템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한 뉴비가 돈주고 바로 사서 타다가는 그냥 상승하다가 적은 찾지도 못하고 대공미사일에 터져나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조준기가 고정식이라 미사일 발사 조준각이 기체 전방의 좁은 각도로만 제한된다는 점도 있는데, 이는 소련 헬기 전반의 단점이다. 사수 시점에서 하단에 뜨는 네모칸 안 범위에 조준점을 두고 있어야만 ATGM 발사가 가능하고, 발사 범위 밖에 적이 있다면 대부분 일일이 기체를 돌려주는 수고가 필요하다. 다만 발사에만 제한이 있는 것이지, 발사 후 유도는 조준점이 네모칸 밖으로 나가도 가능하다.

헬기 1대만 있어도 끝없이 참여할 수 있는 헬기 지속전을 심각하게 망가뜨린 주범이기도 하다.[44]다른 헬기들은 공격할 엄두도 못 내는 10km 이상의 장거리에서도 수동으로 표적을 잡은 뒤 미사일을 발사하면 99%의 확률로 맞춰서 킬을 따낸다. 광학식 락온에 빔라이딩 미사일이라서 채프와 플레어를 무시하는 건 덤. 저고도나 7~8km급 장거리에 있는 적들은 자동탐지가 안 되므로 수동으로 표적을 잡아줘야 하지만, 이것도 까막눈이 아닌 이상 크게 어렵지는 않다. 의외의 복병은 같은 Ka-50인데, 서로 마주보며 미사일을 쏘면 미사일이 마주칠 때마다 근접신관이 발동해서 폭발하는 탓에, 미사일을 마구 쏴대며 적의 미사일이 먼저 바닥나길 기대하는 미사일 난타전이 되어버린다. Ka-50으로 가득한 헬기 지속전 특성상 의외로 자주 벌어졌던 상황.

8주년 기념 할인 이후로 헬기 지속전 플레이어 절반 이상이 Ka-50이고 순위표 상위권조차 Ka-50이 모조리 차지하는 Ka-50 강점기가 이어졌었다. 오래 전에 사서 운용이 능숙한 플레이어는 상위권에, 할인 때 뭣 모르고 사서 운용이 미숙한 플레이어들은 하위권에 머무르기는 하지만, 결국 피해를 보는 건 다른 헬기를 모는 플레이어들이다. 다른 헬기들 입장에서, 수 km 밖에서 레이저 유도 미사일을 쏴대는 Ka-50을 대처하는 마땅한 방법이 지형을 이용해서 숨는 것밖에 없기 때문.

헬지속 모드의 삭제로 카모프의 독주가 끝나는듯 했으나, 헬리콥터 장비로만 참여가 가능한 PVE 모드가 출시되어 그 쪽에서도 악명을 계속 떨치는 중이다. 지상 표적을 최대한 많이 격파시켜 연구점수를 벌어들여야 하는데, 같은편에 ka-50이 한대라도 있으면 지상 표적이 스폰하는 족족 구경도 해보기 전에 사라지기 때문에 스톡 헬리콥터를 타고 와서 부품을 연구하려는 유저들 시선에서는 같은편 ka-50이 최대의 적으로 보일정도.

많은 개체수와 뛰어난 성능 때문에 독일의 타이거 UHT나 상위호환인 Ka-52보다도 많은 욕을 들어먹는 헬기다. 현재 소련 헬기 트리가 들어먹는 대표적인 쌍욕인 헬좆이란 멸칭의 온상. Ka-50/52의 가장 큰 장점이자 타국 입장에서의 가장 불합리한 점은 대전차, 대공, 대 지대공 능력이 다 좋다는 것이다. 미사일은 게임 시스템 상 수혜를 많이 받는 직사에다 탄속도 600m/s로 상당히 빨라서 맞추기도 매우 쉽고, 관통력은 탠덤 800mm라 맞았다 하면 운이 좋으면 불구고, 재수가 없으면 그대로 격파다.

일단 시선락온을 걸면 기관포의 명중률도 높고, 비효르에는 근접신관도 장착되어 있어서 항공기도 헤드온을 걸다가는 역으로 죽어나가기 십상이다. 그렇다고 대공전차를 타자니 미사일은 직사에 다중 동시유도까지 가능해서 대공미사일은 비효르에 요격당하고 줄줄이 이어서 날아오는 후속 미사일에 역으로 죽기 십상이다. La Royale 업데이트로 동시유도가 2발로 제한되고, 미사일에 근접신관이 활성화되지 않도록 너프되었으나, 대공전차 미사일들도 기동 로직이 너프당하면서 언덕뒤로 먼저 위치만 확인하면 대공전차에 대한 대처가 쉬운 건 마찬가지. 그렇다고 고정익기로 대처하려 치면 열추적미사일은 AIM-9L등의 전방위 락온 미사일을 써도 락온도 잘 안되는데다 미사일을 발사하는 순간 MAW에 감지되어 자동으로 플레어 사출하기 때문에 미사일은 기만당해 그대로 날아간다. 고정익기로 대처하려면 레이더를 수동으로 끄고 후방이나 머리 위에서 기총으로 암살하거나, AGM-65 등의 TV 유도 미사일로 날려버리는 게 답이다. TV 유도 미사일은 기만체로 기만당하지 않는데다 FnF인지라 발사만 성공하면 회피에 집중해도 되기 때문.

5.3. 7랭크

5.3.1. Mi-35P

"Tusk Force" 업데이트로 추가된 비행대 장비. 비키르 미사일을 쓸 수 있다.


[스톡] [스톡] [스톡] [스톡] [스톡] [스톡] [스톡] [스톡] [스톡] [스톡] [스톡] [스톡] [13] 건포드 중앙에 12.7mm 1정이, 양쪽에 7.62mm 2정이 위치하는데, 이걸 양쪽 끝에 2개 장착한다.[14] 9.7덱에 9.0~9.3 장비를 편성해서 운용하거나, 10.3 이상의 장비들 사이에 9.7 Mi-8을 투입하거나.[스톡] [스톡] [17] 소련 대전차차량 트리에 있는 슈트름 S가 쓰는 그 미사일 맞다.[스톡] [스톡] [스톡] [스톡] [스톡] [스톡] [스톡] [스톡] [스톡] [스톡] [스톡] [스톡] [스톡] [스톡] [32] 대충 근처에만 막던져도 MBT가 한방에 다 터져나가는 수준이었다. #[스톡] [스톡] [스톡] [36] 굳이 비효르를 놔두고 아타카를 쓸 정도는 아니고, 비효르를 달고 스폰하기엔 SP가 조금 모자란 상황에서 유용하다.[스톡] [스톡] [스톡] [40] 이글라와 스팅어는 과거엔 적기가 조종간을 건들지도 않고 직진만 해도 맞출까말까여서 똥막대기 소리를 들을 정도로 평가가 나빴으나, 맨패즈 기동성 일괄 패치가 이루어진 이후로는 천지개벽 수준으로 좋아졌다.[41] 테일로터가 없기 때문에 다른 헬기처럼 러더 키를 눌러 선회하면 엄청나게 느리고, 항공기처럼 돌고 싶은 방향으로 기울여서 선회를 돌아야 한다.[42] RPM이 곤두박질치면 콜렉티브 피치를 낮추어 회복시킬 수 있으나, 회복되기까지 시간이 얼마나 걸릴지는 랜덤이라 고도가 상당히 많이 필요하다.[43] 헬파이어나 Kh-25ML 등 레이저 유도 미사일은 레이저가 연막을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탄착 직전에 상대가 연막을 편 것이 아니라면 연막차장 너머의 적을 공격할 수 없다. 연막을 조준하고 쏜다면 날아가다 자폭한다.[44] 헬기 지속전에서 드물게 Ka-50 혹은 Ka-52가 없는 세션으로 잡혔을시, 각국의 헬기가 현란하게 기동하면서 미사일과 기관포, 맨패즈로 치열하게 정정당당하게싸우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물론, 뉴비가 운용하는 것이라고 하더라도 Ka-50이 1기라도 난입하면 순식간에 전황이 바뀌고 최소 20~100킬 이상을 순식간에 따내는건 일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