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룽 중화 자이언트판다원 선수핑 기지 卧龙中华大熊猫苑神树坪基地 Wolong China Giant Panda Garden | ||
<colbgcolor=#15a98d> 국가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 |
이명 | 중국 자이언트판다 보호 연구 센터 워룽 선수핑 기지 Wolong Shenshuping Base of CCRCGP | |
개관일 | 2016년 5월 12일 ([age(2016-05-12)]주년) | |
위치 | 쓰촨성 아바 티베트족 창족 자치주 원촨현 워룽 | |
링크 | 자이언트판다 보호연구센터 공식 웨이보 |
[clearfix]
1. 개요
워룽 중화 자이언트판다원 선수핑 기지는 2016년 5월 12일 개관한 자이언트판다 보호 연구 센터이다. 약 70여 마리의 판다를 관리 중에 있으며, 이는 전 세계 사육판다의 절반 가량을 차지한다고 한다.
이름 그대로 워룽특별행정구(卧龙特别行政区)[1] 산하에 위치한다.
2. 거주 중인 판다
누락 및 오기재 발견 시 수정 바람.- 푸바오
- 샤오치지
- 위안위안
- 비리[2]
- 난샤오위에(南小月)[3] 2018 F
- 따바이투(大白兔) 2010 F
- 따바이투 아이 2023
- 티엔티엔 아이(田田仔) 2023
- 루루(禄禄) 2014 F
- 링랑(玲琅) 2018 F
- 메이메이(美美) 2018 F
- 메이메이 아이 2024
- 바오바오(宝宝)[4] 2013 F
- 바이지(白吉)[5] 2021 F
- 빙바오(冰宝) 2021 M
- 빙즈(冰仔) 2021 M
- 빙청(冰成) 2014 M
- 션빙(绅宾) 2009 F
- 션빙 아이 2024
- 셩란(胜兰) 2021 M
- 쉬슈(水秀)[6] F
- 쉬슈 아이 2024
- 슈친(淑琴) 2009 F
- 쑤린(苏琳) 2005 F
- 쑤린 아들 1 2023
- 쑤린 아들 2 2023
- 쓴쓴(森森) 2013 M
- 씨씨(禧禧) 2014 M
- 씨더우(喜豆) 2006 F
- 씬씬(鑫鑫)[7] 2023 F
칭링(青灵)[8]2023 F- 양양(阳阳) 2000 F
- 양화(阳花) 2010 F
- 왕지아(汪佳)[9] 2007 F
- 왕지아 딸 1 2023
- 왕지아 딸 2 2023
- 요우요우(优悠) 2021 F
- 요우요우(酉酉) 2017 M
- 이바오(依宝)[10] M
- 이창(怡畅) 2012 F
- 자오양(骄阳) 2021 M
- 전란(珍兰) 2021 M
- 전전(珍珍) 2007 F
- 전전 아이 2024
- 찬찬(璨璨) 2018 F
- 챠오쓴(乔森) 2019 M
- 챠오이(乔伊) 2016 F
- 챠오챠오(乔乔)[11] 2009 F
- 천시(辰汐) 2018 F
- 츠이츠이(璀璀)[12] 2018 M
- 츠이츠이(翠翠) 2006 F
- 치엔치엔(芊芊) 2006 F
- 치엔치엔 아이 2024
- 칭칭(青青) 2015 M
- 타이샨(泰山) 2005 M
- 판위에(盼月) 2016 F
- 판위에 아들 1 2023
- 판위에 아들 2 2023
- 판칭(盼青) 2016 F
허허(和和)[14] 2018 M- 화양(华阳)[15] 2013 M
3. 상세
- 홍콩 신분증을 제시하면 무료로 입장할 수 있다.
- 2018년부터 매년 센터의 판다들은 이곳에서 태어나고 있다.
- 개장한 지 얼마 안 된 기지이기에 내실은 깨끗한 편이지만 야외 방사장은 역사가 긴 다른 기지에 비해 자연물이 부족하다. 푸바오가 비전시 구역으로 이동하기 전 쓰던 방사장의 나무는 모두 가늘었으며, 아크릴로 감싸두었기 때문에 푸바오가 나무에 오를 수 없었다.[16]
- 기지 위치 상 타 기지에 비해 외곽이라 다른 판다 기지에 비해 혼잡도는 덜하며, 주변 시설도 식당과 숙박 시설이 전부라 판다 기지에 방문하지 않는 이상 심심하다는 평이 많다. 그러나 푸바오가 들어 오면서 입장객이 늘어났다고 한다.
- 2024년 바오바오의 아들 바오리가 미국 워싱턴 스미소니언 동물원에 임대가 확정 되었는데 그 과정에서 팬들에게 검역일자를 알리지 않고 9월 13일에 기습적으로 검역을 보냈다. 이후 바오리의 방사장에는 난샤오위에라는 다른 판다가 들어갔으며, 아무것도 모르고 기지에 방문했던 팬들이 바오리가 없어진 사실에 오열하는 일이 있었으며, 기지 측의 대응에 대해 분개하였다.
- 2024년 12월 3일 푸바오에게 경련 증세가 확인되어 전시를 중단하고 내실에서 검사를 받았다. 당일 검사 결과로는 정상이라고 하였지만 바로 다음 날인 12월 4일 선수핑 기지 측은 도로공사 및 시설 보수를 명목으로 갑작스러운 임시 폐원을 공지하며 판다 팬들의 의심을 샀다. 게다가 폐원 기간 동안 웨이보에 올라온 영상에서는 푸바오의 건강 상태가 모두 정상이라고 하였음에도 개원 하루 전인 12월 31일 푸바오의 공개를 재개하지 않고 비전시 구역으로 이동시켰다는 공지를 내어 팬들의 신뢰를 완전히 잃었다.
[1] 홍콩이나 마카오와 같은 성급 특별행정구가 아닌 현급 특별행정구로, 중화인민공화국 민정부의 공식 명칭은 특구(特区)이다. 중국의 국립공원인 다슝마오 국가공원(大熊猫国家公园)의 지휘를 받아 운영된다.[2] 일본 우에노 동물원에서 지내다가 2024년 9월 고혈압 치료를 위해 예정보다 일찍 반환되었다. 비펑샤 기지로 반환 되었다가 2025년 들어 이동하였다.[3] 기존에 바오리가 사용하였던 방사장을 사용하고 있다.[4] 미국 워싱턴 스미스소니언 동물원에서 2013년에 태어난 암컷 판다. 2017년에 반환 되었다. 2024년 10월 미국 워싱턴 스미소니언 동물원으로 간 바오리의 엄마이며, 샤오치지의 누나이기도 하다.[5] 白吉는 강어로 판다라는 뜻이다.[6] 2008년 3월 22일 쓰촨성 몐양시 마을 주민들이 부상당한 쉬슈를 발견했고 이후 구조되어 허타오핑 기지로 보내졌다.[7] 야생 출신인 바이양과 하이즈의 딸으로, 야생 판다 순수 2세대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야생성이 강하다고 한다. 수컷 판다 화양 사이에서 딸 칭링을 두었다.[8] 2025년 2월 두장옌으로 이동[9] 2007년 12월 1일 야생에서 구조되었다.[10] 2006년 12월 10일 야생에서 구조되었다.[11] 현재 푸바오가 사용하였던 방사장을 사용하고 있다.[12] 바오라이(宝来)라고도 불린다.[13] 아기 때 입가가 까맸다. 입가의 까만 털은 성장하면서 점점 사라지고 있다. 입에 짜장을 묻히고 태어난 아기 판다[14] 기존에 살던 방사장이 푸바오가 사용하게 되면서 옆 방사장으로 이전하였다가 2025년 2월 비펑샤 기지로 이동하였다.[15] 아이바오와 어린시절 비펑샤 기지에서 함께 지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판다극장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아이바오의 소꿉친구로 알려졌다. 암컷 판다 씬씬 사이에서 딸 칭링을 두었다.[16] 사육사 피셜로 아크릴로 나무를 감싸는 이유는 나무를 보호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푸바오뿐만 아니라 다른 판다의 방사장의 나무도 아크릴로 감싸놓았는데, 간혹 아크릴로 감싸져있지 않은 경우는 나무가 이미 죽은 상태이거나 어린 아기 판다가 방사장을 사용하는 경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