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4 09:46:00

윌 베나블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 파일:시카고 화이트삭스 엠블럼.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투수 33 소프 · 36 윌슨 · 37 발랜드 · 43 나스트리니 · 46 에더 · 48 캐넌 · 49 레저 · 51 슈스터 · 52 이리아테 · 57 부시 · 59 버크 · 60 앤더슨 · 61 엘라드 · 65 마틴 · 66 베로아 · # 숄텐스 · # 머피 · # 카렐라 · # 곤잘레스 · # 스미스 · # 윌슨 · # 길버트 · # 부저 · # 페레스
포수 26 · # 타이스
내야수 18 아마야 · 20 바르가스 · 25 · 27 볼드윈 · 44 라모스 · 50 소사 · # 몽고메리 · # 로하스
외야수 7 플레처 · 22 콜라스 · 23 베닌텐디 · 88 로버트 Jr. · # 슬레이터 · # 터크먼
'''
감독
파일:미국 국기.svg 윌 베나블'''
벤치코치
파일:미국 국기.svg 워커 맥킨벤
타격코치
파일:미국 국기.svg 마커스 테임즈
보조타격코치
파일:미국 국기.svg 조엘 맥키선
투수코치
파일:미국 국기.svg 이단 카츠
불펜코치
파일:미국 국기.svg 맷 와이즈
1루 주루/외야코치
파일:미국 국기.svg 제이슨 부르주아
3루 주루/내야코치
파일:미국 국기.svg 저스틴 저셸
공격 코디네이터
파일:미국 국기.svg 그래디 사이즈모어
불펜포수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미겔 곤잘레스 ·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루이스 시에라
포수코치
파일:미국 국기.svg 드류 뷰테라
파일:MLB 로고.svg MLB 팀별 40인 로스터 둘러보기
파일:샬럿 나이츠 엠블럼.svg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
윌 베나블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tablebordercolor=#001840><tablebgcolor=#001840>
파일:MLB 로고.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D1D1D,#E2E2E2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내셔널 리그
<colcolor=#FFFFFF> 동부 파일:애틀랜타 브레이브스 로고.svg 파일:마이애미 말린스 로고.svg 파일:뉴욕 메츠 로고.svg 파일:필라델피아 필리스 로고.svg 파일:워싱턴 내셔널스 로고.svg
브라이언 스니커 클레이튼 맥컬러 카를로스 멘도사 롭 톰슨 데이브 마르티네즈
중부 파일:시카고 컵스 엠블럼.svg 파일:신시내티 레즈 엠블럼.svg 파일:밀워키 브루어스 로고.svg 파일:피츠버그 파이리츠 엠블럼.svg 파일: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로고.svg
크레이그 카운셀 테리 프랑코나 팻 머피 데릭 셸턴 올리버 마몰
서부 파일: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엠블럼.svg 파일:콜로라도 로키스 엠블럼.svg 파일: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로고.svg 파일: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엠블럼.svg 파일: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로고.svg
토리 러벨로 버드 블랙 데이브 로버츠 마이크 쉴트 밥 멜빈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동부 파일:볼티모어 오리올스 엠블럼.svg 파일:보스턴 레드삭스 로고.svg 파일:뉴욕 양키스 로고.svg 파일:탬파베이 레이스 로고.svg 파일:토론토 블루제이스 엠블럼.svg
브랜든 하이드 알렉스 코라 애런 분 케빈 캐시 존 슈나이더
중부 파일:시카고 화이트삭스 엠블럼.svg 파일:클리블랜드 가디언스 로고.svg 파일:디트로이트 타이거스 엠블럼.svg 파일:캔자스시티 로열스 로고.svg 파일:미네소타 트윈스 엠블럼.svg
윌 베나블 스티븐 보트 A.J. 힌치 맷 콰트라로 로코 발델리
서부 파일:휴스턴 애스트로스 로고.svg 파일: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엠블럼.svg 파일:애슬레틱스 엠블럼.svg 파일:시애틀 매리너스 로고.svg 파일:텍사스 레인저스 엠블럼.svg
조 에스파다 론 워싱턴 마크 캇세이 댄 윌슨 브루스 보치
}}}}}}}}}}}}}}} ||

윌 베나블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텍사스 레인저스 2023 월드 시리즈 우승 엠블럼.svg
MLB 월드 시리즈
우승코치
2023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000000> 파일:시카고 화이트삭스 엠블럼.svg시카고 화이트삭스
역대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ddd
1대
클락 그리피스
파일:미국 국기.svg

(1901~1902)
2대
지미 칼라한
파일:미국 국기.svg
(1903~1904)
3대
필더 존스
파일:미국 국기.svg

(1904~1908)
4대
빌리 설리반
파일:미국 국기.svg
(1909)
5대
휴 더피
파일:미국 국기.svg
(1910~1911)
2대
지미 칼라한
파일:미국 국기.svg
(1912~1914)
6대
팬츠 롤랜드
파일:미국 국기.svg

(1915~1918)
7대
키드 글리슨
파일:미국 국기.svg

(1919~1923)
8대
자니 에버스
파일:미국 국기.svg
(1924)
9대
에드 월시
파일:미국 국기.svg
(1924)
10대
에디 콜린스
파일:미국 국기.svg
(1924)
8대
자니 에버스
파일:미국 국기.svg
(1924)
10대
에디 콜린스
파일:미국 국기.svg
(1925~1926)
11대
레이 샬크
파일:미국 국기.svg
(1927~1928)
12대
레나 블랙번
파일:미국 국기.svg
(1928~1929)
13대
도니 부시
파일:미국 국기.svg
(1930~1931)
14대
류 폰세카
파일:미국 국기.svg
(1932~1934)
15대
지미 다익스
파일:미국 국기.svg
(1934~1946)
16대
테드 라이온스
파일:미국 국기.svg
(1946~1948)
17대
잭 온슬로우
파일:미국 국기.svg
(1949~1950)
18대
레드 코리덴
파일:미국 국기.svg
(1950)
19대
폴 리차즈
파일:미국 국기.svg
(1951~1954)
20대
마티 마리온
파일:미국 국기.svg
(1954~1956)
21대
알 로페즈
파일:미국 국기.svg

(1957~1965)
22대
에디 스탠키
파일:미국 국기.svg
(1966~1968)
23대
레스 모스
파일:미국 국기.svg
(1968)
21대
알 로페즈
파일:미국 국기.svg
(1968)
23대
레스 모스
파일:미국 국기.svg
(1968)
21대
알 로페즈
파일:미국 국기.svg
(1968~1969)
24대
돈 거터리지
파일:미국 국기.svg
(1969~1970)
25대
빌 아데어
파일:미국 국기.svg
(1970)
26대
척 태너
파일:미국 국기.svg
(1970~1975)
19대
폴 리차즈
파일:미국 국기.svg
(1976)
27대
밥 레몬
파일:미국 국기.svg
(1977~1978)
28대
래리 도비
파일:미국 국기.svg
(1978)
29대
돈 케신저
파일:미국 국기.svg
(1979)
30대
토니 라 루사
파일:미국 국기.svg
(1979~1986)
31대
더그 레이더
파일:미국 국기.svg
(1986)
32대
짐 프레고시
파일:미국 국기.svg
(1986~1988)
33대
제프 토버그
파일:미국 국기.svg
(1989~1991)
34대
진 라몬트
파일:미국 국기.svg
(1992~1995)
35대
테리 베빙턴
파일:미국 국기.svg
(1995~1997)
36대
제리 마누엘
파일:미국 국기.svg
(1998~2003)
37대
아지 기옌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2004~2011)
38대
돈 쿠퍼
파일:미국 국기.svg
(2011)
39대
로빈 벤추라
파일:미국 국기.svg
(2012~2016)
40대
릭 렌테리아
파일:미국 국기.svg
(2017~2020)
30대
토니 라 루사
파일:미국 국기.svg
(2021~2022)
41대
미겔 카이로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2022)
42대
페드로 그리폴
파일:미국 국기.svg
(2023~2024)
43대
그래디 사이즈모어
파일:미국 국기.svg
(2024)
44대
윌 베나블
파일:미국 국기.svg
(2025~)
파일:시카고 화이트삭스 엠블럼.svg
: 월드 시리즈 우승 / : 월드 시리즈 준우승 / : 첫 월드 시리즈(1903년) 이전 아메리칸 리그 우승
}}}}}}}}}}}}}}}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등번호 25번
랜디 울프
(2008)
윌 베나블
(2008~2015)
제이 잭슨
(2015)
텍사스 레인저스 등번호 30번
네프탈리 펠리즈
(2009~2015)
<colcolor=#ffffff> 윌 베나블
(2015)
노마 마자라
(2016~2019)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등번호 25번
칼 크로포드
(2013)
윌 베나블
(2016)
롭 세게딘
(2016~2017)
시카고 컵스 등번호 25번
데릭 리
(2004~2010)
<colbgcolor=#cc3433> 윌 베나블
(2018~2019)
조나단 루크로이
(2019)
시카고 컵스 등번호 99번
다구치 소
(2009)
윌 베나블
(2019)
결번
시카고 컵스 등번호 25번
조나단 루크로이
(2019)
윌 베나블
(2020)
오스틴 로마인
(2021)
보스턴 레드삭스 등번호 86번
결번 윌 베나블
(2021~2022)
결번
텍사스 레인저스 등번호 83번
커티스 테리
(2021)
윌 베나블
(2023~2024)
결번
시카고 화이트삭스 등번호 1번
잭 레밀라드
(2024)
윌 베나블
(2025~)
현역
}}} ||
}}} ||
파일:화이트삭스구장베나블.jpg
<colbgcolor=#000><colcolor=#ffffff> 시카고 화이트삭스 No.1
윌 베나블
Will Venable
본명 윌리엄 디온 베너블
William Dion Venable
출생 1982년 10월 29일 ([age(1982-10-29)]세)
캘리포니아 주 그린브래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산라파엘 고등학교 - 프린스턴 대학교
신체 190cm | 92kg
포지션 외야수
투타 좌투좌타
프로입단 2004년 드래프트 15라운드 (전체 439번, BAL)
2005년 드래프트 7라운드 (전체 218번, SD)
소속팀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2008~2015)
텍사스 레인저스 (2015)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16)
지도자 시카고 컵스 1루 주루코치 (2018~2019)
시카고 컵스 3루 주루코치 (2020)
보스턴 레드삭스 벤치코치 (2021)
보스턴 레드삭스 벤치/외야코치 (2022)
텍사스 레인저스 수석코치 (2023~2024)
시카고 화이트삭스 감독 (2025~)
가족 아버지 맥스 베나블 , 동생 윈스턴 베나블
1. 개요2. 선수 경력3. 지도자 경력4. 연도별 성적5. 감독 성적6. 여담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텍사스 레인저스,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선수이며, 시카고 컵스, 보스턴 레드삭스, 텍사스 레인저스 코치이자, 現 시카고 화이트삭스 감독.

2. 선수 경력


2012년 메이저리그에 데뷔한 베나블은 우익수로 플래툰으로 나와 주로 우완투수를 상대해 80경기에서 타율 .270을 기록했다. 5월 15일 워싱턴 내셔널스를 상대로 안타 2루타 3루타를 기록했지만 홈런이 없어서 사이클링 히트는 무산되었다. 3루타 8개로 리그 9위를 기록했다.

다만 실책을 7개나 범하며 가장 실책을 많이 범한 선수로 남게 된것은 흠이였다.


2013년에 또한 우익수로 플래툰 나올 것으로 예상했지만 주전 카메로 메이빈과 좌익수 카를로스 퀀틴의 부상으로 그의 출장시간이 늘어났고 151경기나 출장하였다. .268의 타율로 22개의 홈런과 .268의 타율과 .796의 출루율과 장타율을 기록하며 모두 새로운 커리어 최고 기록을 세웠다. 도루는 22개 3루타 8개.

2015년에 마커스 그린 추후 지명선수를 묶어서 윌 베나블은 텍사스 레인저스로 트레이드 되었다. 텍사스에서는 82타석에서 단 3개의 2루타와 타율 .182를 기록하며 부진한 성적을 보였다.

2016년 필라델피아 필리스와 마이너리그 계약에는 성공했지만 메이저리그로 콜업되지는 못하고 방출당했고 곧바로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 계약을 맺으면서 19타수 1안타를 기록하고 은퇴를 선언하였다.

3. 지도자 경력

2024년 10월 31일, 시카고 화이트삭스의 새로운 감독으로 부임했다.

1982년생 40대 초반의 젋은 감독으로 KIA 타이거즈 이범호 감독보다도 어리다.


4. 연도별 성적

역대 성적
연도 소속팀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fWAR
2008 SD 28 124 29 4 2 2 16 10 1 13 21 .264 .339 .391 .730 0.8
2009 95 324 75 14 2 12 38 38 6 25 89 .256 .323 .440 .763 0.9
2010 131 445 96 11 7 13 60 51 29 45 128 .245 .324 .408 .732 2.7
2011 121 411 91 14 7 9 49 44 26 31 92 .246 .310 .395 .704 1.9
2012 148 470 110 26 8 9 62 45 24 41 94 .264 .335 .429 .765 1.9
2013 151 515 129 22 8 22 64 53 22 29 118 .268 .312 .484 .796 3.5
2014 146 448 91 13 2 8 47 33 11 33 107 .224 .288 .325 .613 1.1
연도 소속팀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fWAR
2015 SD/TEX 135 390 85 13 3 6 40 33 16 37 94 .244 .320 .350 .669 0.5
연도 소속팀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fWAR
2016 LAD 12 19 1 1 0 0 2 0 0 0 5 .056 .105 .111 .216 -0.3
<rowcolor=#373a3c> MLB 통산
(9시즌)
967 3146 707 118 39 81 378 307 135 254 748 .249 .315 .404 .719 13.3


5. 감독 성적

역대 감독 전적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경기수 승률 정규시즌 포스트시즌
2025 CHW . 지구 위
<rowcolor=#373A3C> 총계 .

6. 여담

  • 그의 아버지 맥스 베나블은 2013년 KBO 리그 SK 와이번스에서 타격코치를 역임한 바 있으며 그의 동생 윈스턴 베나블은 NFL 선수이다.

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