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2 17:04:38

크레이그 카운셀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0e3386> 파일:시카고 컵스 엠블럼.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e3386><colcolor=#fff> 투수 16 보이드 · 18 이마나가 · 24 실바 · 32 브라운 · 33 모건 · 35 스틸 · 36 윅스 · 37 호지 · 38 포팃 · 39 로버츠 · 43 리틀 · 45 킬리언 · 46 할로웰 · 47 닐리 · 48 팔렌시아 · 49 밀러 · 50 타이욘 · 54 페스타 · 56 피어슨 · 58 자스트리즈니 · 66 메리웨더 · 71 톰슨 · 72 아사드 · # 레이
포수 9 아마야 · 15 켈리
내야수 2 호너 · 5 워크맨 · 7 스완슨 · 12 바스케스 · 29 부시 · # 카울스 · # 브루한 · # 버티
외야수 4 카나리오 · 8 · 13 알칸타라 · 27 스즈키 · 30 터커 · 52 크로우-암스트롱 · # 케이시
'''''' 파일:미국 국기.svg 크레이그 카운셀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언 플래허티 파일:미국 국기.svg 토미 하토비 파일:미국 국기.svg 더스틴 켈리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호세 하비에르 파일:미국 국기.svg 퀸틴 베리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후안 카브레하 · 파일:미국 국기.svg 존 메이리 파일:미국 국기.svg 케이시 제이콥슨 파일:미국 국기.svg 마크 스트리트매터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조나단 모타 파일:미국 국기.svg 알렉스 스미스 파일:미국 국기.svg 개럿 로이드
파일:MLB 로고.svg 다른 MLB 팀 40인 로스터 보기
파일:아이오와 컵스 엠블럼.svg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
크레이그 카운셀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콜로라도 로키스 등번호 4번
넬슨 리리아노
(1993~1994)
<colbgcolor=#000><colcolor=#FFFFFF> 크레이그 카운셀
(1995)
크리스 섹스턴
(1999)
콜로라도 로키스 등번호 7번
트렌트 허버드
(1996)
크레이그 카운셀
(1997)
커트 애벗
(1998~1999)
플로리다 말린스 등번호 30번
맷 위즈넌트
(1997)
크레이그 카운셀
(1997~1999)
크리스 클라핀스키
(1999)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등번호 30번
마크 그루질라넥
(1998)
크레이그 카운셀
(1999)
브렌트 쿡슨
(1999)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등번호 4번
단테 파월
(1999)
크레이그 카운셀
(2000~2003)
도니 새들러
(2004)
밀워키 브루어스 등번호 30번
지미 오스팅
(2002)
크레이그 카운셀
(2004)
릭 헬링
(2005~2006)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등번호 4번
퀸턴 매크래컨
(2004)
크레이그 카운셀
(2005~2006)
도니 새들러
(2007)
밀워키 브루어스 등번호 30번
릭 헬링
(2005~2006)
크레이그 카운셀
(2007~2011)
타일러 손버그
(2014~2015)
밀워키 브루어스 등번호 30번
타일러 손버그
(2014~2015)
크레이그 카운셀
(2015~2023)
결번
시카고 컵스 등번호 30번
에드윈 리오스
(2023)
크레이그 카운셀
(2024)
카일 터커
(2025~)
시카고 컵스 등번호 11번
드류 스마일리
(2022~2024)
크레이그 카운셀
(2025~)
현역
}}} ||
파일:컵스기자회견카운셀.jpg
<colbgcolor=#0e3386><colcolor=#ffffff> 시카고 컵스 No.11
크레이그 카운셀
Craig Counsell
본명 크레이그 존 카운셀
Craig John Counsell
출생 1970년 8월 21일 ([age(1970-08-21)]세)
인디애나 주 사우스 벤드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학력 화이트피시 베이 고등학교 - 노터데임 대학교
포지션 내야수
투타 우투좌타
프로입단 1992년 드래프트 11라운드 (전체 319번, COL)
소속팀 콜로라도 로키스 (1995~1997)
플로리다 말린스 (1997~1999)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1999)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2000~2003)
밀워키 브루어스 (2004)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2005~2006)
밀워키 브루어스 (2007~2011)
지도자 밀워키 브루어스 감독 (2015~2023)
시카고 컵스 감독 (2024~)
프런트 밀워키 브루어스 단장 특별보좌 (2012~2015)
계약 2024 - 2028 / $40,000,000
연봉 2025 / $8,000,000
1. 개요2. 선수 경력3. 연도별 성적4. 프런트 경력5. 지도자 경력6. 감독 성적7. 여담8. 관련 문서9.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前 내야수. 現 시카고 컵스 감독. 선수 시절에는 한 두 해 주전 가깝게 활동하기도 했지만, 많은 경우 주전보다는 한발짝 물러난 준주전으로 2루수/유격수/3루수를 골고루 맡으며 정상급 수비를 보여주는 상급의 유틸리티 내야요원이었다. 2001년 이후에는 은퇴한 2011년까지, 한 해만 빼고 매해 100경기 이상 출장했다. 준수한 수비와 선구안에 비해 장타력은 약했지만 결정적인 홈런을 때려낸 적도 많았다.

2. 선수 경력

인디애나 주에서 태어나 위스콘신 주에서 성장했다. 그의 아버지 존은 밀워키 브루어스의 프런트에서 일했다.

노터데임 대학교를 졸업하고 1992년 드래프트에 참가하여 11라운드에 콜로라도 로키스의 지명을 받았다. 그러나 로키스에서는 1995년 데뷔 이래 단 3경기 출장에 그쳤고, 1997년 시즌 중 플로리다 말린스로 트레이드되어 주전 2루수로 활약했다. 특히 1997년 월드 시리즈 7차전에서 9회말 동점 희생플라이, 그리고 연장 11회말에 에드가 렌테리아의 끝내기 안타 때 결승득점을 올리면서 플로리다 말린스의 극적 우승에 기여했다.

1999년 시즌 중에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로 트레이드되었으나 2000년 스프링 캠프 이후 방출되어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에 새 둥지를 튼다.

2001년 시절이 그의 커리어에서 제일 화려한 모습이었다. 당시 유격수는 토니 워맥, 2루수는 제이 벨, 3루수는 강타자 맷 윌리엄스였는데 세 선수들이 돌아가면서 부진/부상에 시달리면서 카운셀은 골고루 자리를 채워주면서 좋은 활약을 했고, 포스트시즌에서는 부진했던 제이 벨을 대신하여 주전 2루수로 주로 나섰다. 치열했던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와의 2001 내셔널 리그 디비전 시리즈 3차전에서는 승부를 결정짓는 3점 홈런을 때려냈고, 이어진 2001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에서 21타수 8안타로 맹활약하며 MVP 타이틀을 차지. 이어 벌어진 뉴욕 양키스와의 월드 시리즈에서는 1차전 마이크 무시나를 상대로 친 선제 홈런 및 7차전 9회말 마리아노 리베라를 상대로 얻어 낸 힛 바이 피치 볼로 이후 루이스 곤잘레스의 결승타를 만드는 데 일조를 하는 등 팀의 우승에 크게 기여했다.

2003 시즌을 끝으로 그는 애리조나를 떠나 밀워키 브루어스로 이적하여 2004년 밀워키의 유격수로 출장하였으며, 2004 시즌 후 애리조나와 2년 FA 계약을 맺고 복귀한다. 2006 시즌을 끝으로 애리조나와 재계약하지 않고 밀워키와 계약하여 내야 유틸리티로 활약했으며, 2011 시즌을 끝으로 은퇴했다. 2011년에는 디백스가 우승 10주년 행사를 성대하게 열 때 일정이 겹치지 않아 참석은 못하고 영상메시지를 보내는데 그쳤지만 포스트시즌에 밀워키가 애리조나와 만나면서 승부와는 별개로 방울뱀 팬들의 열렬한 환대를 받기도 했다.

통산 성적은 1624경기 5488타석 4741타수 1208안타 390타점 647득점 42홈런 타율 .255.

3. 연도별 성적

역대 성적
<rowcolor=#c4ced4> 연도 소속팀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fWAR
1995 COL 3 2 0 0 0 0 0 0 0 1 0 .000 .500 .000 .500 0.0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fWAR
1997 COL/FLA 52 189 49 9 2 1 20 16 1 18 17 .299 .376 .396 .773 1.2
1998 FLA 107 400 84 19 15 4 43 40 3 51 47 .251 .355 .373 .729 2.0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fWAR
1999 FLA/LAD 87 195 38 7 0 0 24 11 1 14 24 .218 .274 .259 .532 -0.5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fWAR
2000 ARI 67 177 23 8 1 2 23 11 3 20 18 .316 .400 .421 .821 1.1
2001 141 535 126 22 3 4 76 38 6 61 76 .275 .359 .362 .721 1.7
2002 112 491 123 22 1 2 63 51 7 45 52 .282 .348 .351 .699 1.6
2003 89 351 71 6 3 3 40 21 11 41 32 .234 .328 .304 .631 0.3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fWAR
2004 MIL 140 551 114 19 5 2 59 23 17 59 88 .241 .330 .315 .645 1.0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fWAR
2005 ARI 150 670 148 34 4 9 85 42 26 78 69 .256 .350 .375 .726 5.5
2006 105 415 95 14 4 4 30 56 15 31 47 .255 .327 .347 .674 2.6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fWAR
2007 MIL 122 334 62 12 2 3 24 31 4 41 47 .220 .323 .309 .632 0.6
2008 110 302 31 14 1 1 31 14 3 46 42 .226 .355 .302 .658 1.5
2009 130 459 115 22 8 4 61 39 3 42 54 .285 .357 .408 .766 2.5
2010 102 230 51 8 0 2 21 16 1 21 29 .250 .322 .319 .640 1.0
2011 107 187 28 2 1 1 9 19 2 20 21 .178 .280 .223 .503 0.2
<rowcolor=#373a3c> MLB 통산
(16시즌)
1624 5488 1208 218 40 42 390 647 103 589 663 .255 .342 .344 .686 22.4

4. 프런트 경력

은퇴 후 2012년 밀워키 브루어스의 단장 특별보좌로 임명되어 활동하였다.

5. 지도자 경력

5.1. 밀워키 브루어스

2015 시즌 초 론 로니키 감독이 성적 부진으로 경질당하자 후임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계약기간은 3년이다.
파일:Craig_Counsell.jpg

감독 선임 때 코칭스태프 경력이 전무한 초보 감독이라는 점에서 우려를 낳았으나, 감독 데뷔전인 5월 4일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를 상대로 8회말 대역전승을 거둔 것을 비롯, 잔여경기에서 61승 76패로 선전하며 신시내티 레즈를 제치고 탈꼴찌에 성공하며 초보치고는 성공적으로 시즌을 마감했다.

이 후 2016년은 리빌딩 작업 때문에 주춤했지만, 리빌딩 마무리 단계에 들어선 2017년에는 161차전까지 콜로라도 로키스와일드 카드 2위 경쟁을 벌이면서 가능성을 보여주더니, 2018년에는 리빌딩이 잘 된 브루어스의 전력을 최대한으로 잘 활용하면서 시카고 컵스와 줄곧 중부지구 선두를 놓고 경쟁하다가 9월 26일 일찌감치 플레이오프 진출을 확정짓는다. 9월 30일 정규시즌 마지막까지 시카고 컵스와 공동 1위가 되어 10월 1일 추가 경기를 펼쳐 3-1 승리를 거두며 부임 3년만에 팀을 지구 우승까지 이끈다.

포스트시즌에서는 체이스 앤더슨의 후반기 붕괴, 잭 데이비스의 부상 여파로 인한 부진 등으로 인해 시즌 막판에 선발 로테이션이 무너지면서 강력한 불펜진을 위시로 한 불펜야구로 밀어붙이고 있고, 2018 내셔널 리그 디비전 시리즈 스윕과 2018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1차전과 3차전 승리의 원동력이 됐지만 이 과정에서 불펜진의 체력이 떨어지며 2차전과 4차전, 5차전을 내주는 부작용도 나오게 되었다. 여기에 웨이버 데드라인에 영입한 선발투수 지오 곤잘레스마저 발목 부상으로 이탈하면서 갈 길이 험난한 상황이다. 어찌저찌 7차전가지 갔지만 결국 불펜 야구가 무너지면서 눈앞에서 로스앤젤레스 다저스2018년 월드 시리즈 진출을 지켜봐야 했다. 다만 그럼에도 7년만의 지구 우승을 이끔과 동시에 데이비드 스턴스 단장이 새롭게 만든 브루어스의 로스터를 한 팀으로 잘 묶어서 성과를 낸 만큼, 2018년 시즌 내셔널 리그 올해의 감독상의 유력한 후보로 낙점될 만한 시즌이 되었다.

2019년 2년 연속 MVP에 도전하면서 좋은 활약을 보인 크리스티안 옐리치의 활약과 여전히 좋은 활약을 해준 조시 헤이더, 팀의 1선발로 자리잡은 브랜든 우드러프와 FA로이드를 잔뜩 빨아재낀 야스마니 그랜달, 마이크 무스타커스의 활약에 힘입어 비록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에 밀려서 지구 우승은 실패했지만, 와일드카드 2위로 2년 연속 가을야구에 진출하는 데 성공했다. 워싱턴 내셔널스와의 2019 내셔널 리그 와일드카드 게임에서는 에릭 테임즈의 홈런에 힘입어 게임을 리드해 갔지만, 믿었던 헤이더가 무너지고 트렌트 그리샴의 치명적인 실책이 겹치면서 역전패. 와일드 카드 탈락으로 가을 야구를 마무리했다.

2020년은 전력 유출과 중심타자 옐리치의 부진, 그외에도 전체적인 타선의 부진으로 단 한번도 5할 승률 이상을 기록하지 못했지만, 와일드 카드 막차를 타고 3년 연속 가을야구 진출에 성공했다. 2020 내셔널 리그 와일드카드 시리즈 상대는 2년전 패배의 쓴맛을 안겨준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하지만, 너무나도 큰 전력차이 때문에 2경기를 내리패하면서 허무하게 포스트시즌을 마감했다.

2021년에도 옐리치는 여전히 부진에 시달렸지만, 코빈 번스브랜든 우드러프, 프레디 페랄타아드리안 하우저, 에릭 라우어가 모두 선발진에 성공적으로 연착하면서 그 어느 팀도 부럽지 않을 정도의 선발투수진을 필두로 안정적인 투수력을 시즌 초반부터 끝까지 잘 끌고 왔으며, 타선도 옐리치만 빼면 그럴대로 나쁘지 않은 모습을 보이면서 9월 26일 뉴욕 메츠를 8:4로 물리치고 포스트시즌 진출을 확정했다. 2021 내셔널 리그 디비전 시리즈에서는 애틀랜타와 맞붙게 되었으나, 1승 3패로 탈락해서 시즌을 마감했다. 그 이후 2022년과 2023년에도 팀을 준수하게 이끌었다.

하지만 2023 시즌 막바지부터 구단과의 재계약 협상이 이뤄지지 않았고 밀워키에서 오랫동안 함께 했던 데이비드 스턴스 사장이 뉴욕 메츠 사장에 부임하면서 그를 진지하게 노린다는 이야기가 돌아 시즌 종료 후 메츠 유니폼을 입을 것으로 보였는데..

5.2. 시카고 컵스

11월 6일 5년 4,000만 달러의 역대 감독 최고 계약으로 시카고 컵스 감독에 선임되었다는 놀라운 소식이 전해졌다. #

밀워키 선수단을 비롯해 팬들 역시 메츠로 갈 줄 알았지 같은 지구 라이벌인 컵스로의 이적은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다며 패닉에 빠졌고, 밀워키 구단주인 마크 아타나시오 역시 해당 소식을 접한 후 'Are you kidding me?'라는 짧은 소감을 남겼다.

선임이 발표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밀워키에 있는 본인의 이름을 딴 공원 표지판에 누군가 ASS로 낙서를 하는 테러가 발생했다. #

2024년 5월 27일 밀워키의 홈구장에서 컵스 유니폼을 입고 치르는 첫번째 경기에서 밀워키 구단이 준비한 감사 영상이 전광판에 송출됐는데, 영상이 나오는 동안 밀워키 팬들의 야유가 쏟아졌다. #

6. 감독 성적

역대 감독 전적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경기수 승률 정규시즌 포스트시즌
2015 MIL 137 61 76 .445 지구 4위 중도 부임
2016 162 73 89 .451 지구 4위 -
2017 162 86 76 .531 지구 2위 -
2018 163 96 67 .589 지구 1위 CS 탈락
2019 162 89 73 .549 지구 2위 WC 탈락
2020 60 29 31 .483 지구 4위 WC 탈락
2021 162 95 67 .586 지구 1위 DS 탈락
2022 162 86 76 .531 지구 2위 -
2023 162 92 70 .568 지구 1위 WC 탈락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경기수 승률 정규시즌 포스트시즌
2024 CHC 162 83 79 .512 지구 2위 -
2025 . 지구 위
<rowcolor=#373a3c> 총계 1494 790 704 .529 1CS 1DS 3WC

7. 여담

파일:external/www.ootpdevelopments.com/399253d1430858678-gambo-t_wil1-photopack-counsell.jpg
  • 선수 시절 배트를 하늘을 향해 높게 세우는 타격폼으로 유명했다. 일명 '정의의 이름으로 널 용서하지 않겠다' 타법. 나중에는 본인도 몸을 힘껏 꽈내는 게 조금 힘들었는지, 선수 말엽으로 갈수록 타격폼이 점점 부드러워졌다.

8. 관련 문서

9.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tablebordercolor=#001840><tablebgcolor=#001840>
파일:MLB 로고.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D1D1D,#E2E2E2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내셔널 리그
<colcolor=#FFFFFF> 동부 파일:애틀랜타 브레이브스 로고.svg 파일:마이애미 말린스 로고.svg 파일:뉴욕 메츠 로고.svg 파일:필라델피아 필리스 로고.svg 파일:워싱턴 내셔널스 로고.svg
브라이언 스니커 클레이튼 맥컬러 카를로스 멘도사 롭 톰슨 데이브 마르티네즈
중부 파일:시카고 컵스 엠블럼.svg 파일:신시내티 레즈 엠블럼.svg 파일:밀워키 브루어스 로고.svg 파일:피츠버그 파이리츠 엠블럼.svg 파일: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로고.svg
크레이그 카운셀 테리 프랑코나 팻 머피 데릭 셸턴 올리버 마몰
서부 파일: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엠블럼.svg 파일:콜로라도 로키스 엠블럼.svg 파일: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로고.svg 파일: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엠블럼.svg 파일: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로고.svg
토리 러벨로 버드 블랙 데이브 로버츠 마이크 쉴트 밥 멜빈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동부 파일:볼티모어 오리올스 엠블럼.svg 파일:보스턴 레드삭스 로고.svg 파일:뉴욕 양키스 로고.svg 파일:탬파베이 레이스 로고.svg 파일:토론토 블루제이스 엠블럼.svg
브랜든 하이드 알렉스 코라 애런 분 케빈 캐시 존 슈나이더
중부 파일:시카고 화이트삭스 엠블럼.svg 파일:클리블랜드 가디언스 로고.svg 파일:디트로이트 타이거스 엠블럼.svg 파일:캔자스시티 로열스 로고.svg 파일:미네소타 트윈스 엠블럼.svg
윌 베나블 스티븐 보트 A.J. 힌치 맷 콰트라로 로코 발델리
서부 파일:휴스턴 애스트로스 로고.svg 파일: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엠블럼.svg 파일:애슬레틱스 엠블럼.svg 파일:시애틀 매리너스 로고.svg 파일:텍사스 레인저스 엠블럼.svg
조 에스파다 론 워싱턴 마크 캇세이 댄 윌슨 브루스 보치
}}}}}}}}}}}}}}} ||
크레이그 카운셀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97marlinschampslogo.jpg파일:ARI_2001_WSChampion.gif
MLB 월드 시리즈
우승반지
1997 2001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bordercolor=#12284b> 파일:밀워키 브루어스 엠블럼.svg밀워키 브루어스
명예의 벽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91919,#ffffff
행크 애런 제리 어거스틴 살 반도 크리스 보시오 자니 브릭스
제로미 버니츠 마이크 콜드웰 빌 카스트로 제프 시릴로 짐 콜본
세실 쿠퍼 크레이그 카운셀 척 크림 롭 디어 칼 엘드레드
마이크 페터스 롤리 핑거스 짐 갠트너 무스 하스 빌 홀
대럴 해밀턴 테디 히게라 존 자하 제프 젠킨스 하비 킨
식스토 레즈카노 팻 리스태치 마크 로레타 데이브 메이 밥 맥클루어
폴 몰리터 돈 머니 찰리 무어 하이메 나바로 데이브 닐슨
벤 오글리비 댄 플리잭 대럴 포터 켄 샌더스 조지 스캇
케빈 세이처 버드 셀릭 리치 섹슨 벤 시츠 테드 시몬스
짐 슬래튼 B.J. 서호프 돈 서튼 고먼 토마스 빌 트래버스
밥 우에커 호세 발렌틴 그렉 본 페르난도 비냐 피트 부코비치
빌 웨그먼 밥 위크먼 로빈 욘트 빌 쇼로더 코리 하트
해리 달튼 프린스 필더 더그 멜빈 J.J. 하디 트레버 호프먼
리키 윅스 요바니 가야르도 카를로스 고메즈 프란시스코 로드리게스 라이언 브론
조나단 루크로이
}}}}}}}}}}}} ||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2001년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MVP
마이크 햄튼
(뉴욕 메츠)
크레이그 카운셀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베니토 산티아고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12284b> 파일:밀워키 브루어스 엠블럼.svg밀워키 브루어스
역대 감독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시애틀 파일러츠 시대 (1969)
1대
조 슐츠
파일:미국 국기.svg
1969
밀워키 브루어스 시대 (1970~)
2대
데이브 브리스톨
파일:미국 국기.svg
1970~1972
3대
로이 맥밀란
파일:미국 국기.svg
1972
4대
델 크랜달
파일:미국 국기.svg
1972~1975
5대
하비 킨
파일:미국 국기.svg
1975
6대
알렉스 그라마스
파일:미국 국기.svg
1976~1977
7대
조지 밤버거
파일:미국 국기.svg
1978~1980
8대
벅 로저스
파일:미국 국기.svg
1980~1982
9대
하비 킨
파일:미국 국기.svg

1982~1983
10대
러네 라체만
파일:미국 국기.svg
1984
11대
조지 밤버거
파일:미국 국기.svg
1985~1986
12대
톰 트레벨호른
파일:미국 국기.svg
1986~1991
13대
필 가너
파일:미국 국기.svg
1992~1999
14대
짐 러피버
파일:미국 국기.svg
1999
15대
데이비 롭스
파일:미국 국기.svg
2000~2002
16대
제리 로이스터
파일:미국 국기.svg
2002
17대
네드 요스트
파일:미국 국기.svg
2003~2008
18대
데일 스웨임
파일:미국 국기.svg
2008
19대
켄 마카
파일:미국 국기.svg
2009~2010
20대
론 로니키
파일:미국 국기.svg
2011~2015
21대
크레이그 카운셀
파일:미국 국기.svg
2015~2023
22대
팻 머피
파일:미국 국기.svg
2024~
파일:밀워키 브루어스 로고.svg
: 월드 시리즈 준우승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e3386><tablebgcolor=#0e3386> 파일:시카고 컵스 엠블럼.svg시카고 컵스
역대 감독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20272c,#d3dade
1대
알버트 스팰딩
파일:미국 국기.svg

(1876~1877)
2대
밥 퍼거슨
파일:미국 국기.svg
(1878)
3대
캡 앤슨
파일:미국 국기.svg
(1879)
4대
실버 플린트
파일:미국 국기.svg
(1879)
5대
캡 앤슨
파일:미국 국기.svg
★★★★★
(1880~1897)
6대
톰 번즈
파일:미국 국기.svg
(1898~1899)
7대
톰 로프터스
파일:미국 국기.svg
(1900~1901)
8대
프랭크 셀리
파일:미국 국기.svg
(1902~1905)
9대
프랭크 챈스
파일:미국 국기.svg

(1905~1912)
10대
자니 에버스
파일:미국 국기.svg
(1913)
11대
행크 오데이
파일:미국 국기.svg
(1914)
12대
로저 브레스나한
파일:미국 국기.svg
(1915)
13대
조 팅커
파일:미국 국기.svg
(1916)
14대
프레드 미첼
파일:미국 국기.svg

(1917~1920)
15대
자니 에버스
파일:미국 국기.svg
(1921)
16대
빌 킬레퍼
파일:미국 국기.svg
(1921~1925)
17대
래빗 마란빌
파일:미국 국기.svg
(1925)
18대
조지 깁슨
파일:캐나다 국기.svg
(1925)
19대
조 맥카시
파일:미국 국기.svg

(1926~1930)
20대
로저스 혼스비
파일:미국 국기.svg
(1930~1932)
21대
찰리 그림
파일:미국 국기.svg

(1932~1938)
22대
개비 하트넷
파일:미국 국기.svg

(1938~1940)
23대
지미 윌슨
파일:미국 국기.svg
(1941~1944)
24대
로이 존슨
파일:미국 국기.svg
(1944)
25대
찰리 그림
파일:미국 국기.svg

(1944~1949)
26대
프랭키 프리시
파일:미국 국기.svg
(1949~1951)
27대
필 카바레타
파일:미국 국기.svg
(1951~1953)
28대
스탠 핵
파일:미국 국기.svg
(1954~1956)
29대
밥 셰핑
파일:미국 국기.svg
(1957~1959)
30대
찰리 그림
파일:미국 국기.svg
(1960)
31대
루 보드로
파일:미국 국기.svg
(1960)
32대
베디 힘슬
파일:미국 국기.svg
(1961)
33대
해리 크래프트
파일:미국 국기.svg
(1961)
34대
엘 태프
파일:미국 국기.svg
(1961~1962)
25대
루 클라인
파일:미국 국기.svg
(1961~1962)
36대
찰리 메트로
파일:미국 국기.svg
(1962)
37대
밥 케네디
파일:미국 국기.svg
(1963~1965)
38대
루 클라인
파일:미국 국기.svg
(1965)
39대
레오 듀로셔
파일:미국 국기.svg
(1966~1972)
40대
화이티 록맨
파일:미국 국기.svg
(1972~1974)
41대
짐 마셜
파일:미국 국기.svg
(1974~1976)
42대
허먼 프랭크스
파일:미국 국기.svg
(1977~1979)
43대
조이 아말피타노
파일:미국 국기.svg
(1979)
44대
프레스턴 고메즈
파일:쿠바 국기.svg
(1980)
45대
조이 아말피타노
파일:미국 국기.svg
(1980~1981)
46대
리 엘리아
파일:미국 국기.svg
(1982~1983)
47대
찰리 폭스
파일:미국 국기.svg
(1983)
48대
짐 프레이
파일:미국 국기.svg
(1984~1986)
49대
존 부코비치
파일:미국 국기.svg
(1986)
50대
진 마이클
파일:미국 국기.svg
(1986~1987)
51대
프랭크 루체시
파일:미국 국기.svg
(1987)
52대
돈 짐머
파일:미국 국기.svg
(1988~1991)
53대
조 알토벨리
파일:미국 국기.svg
(1991)
54대
짐 에시안
파일:미국 국기.svg
(1991)
55대
짐 르피버
파일:미국 국기.svg
(1992~1993)
56대
톰 트레벨혼
파일:미국 국기.svg
(1994)
57대
짐 리글맨
파일:미국 국기.svg
(1995~1999)
58대
돈 베일러
파일:미국 국기.svg
(2000~2002)
59대
러네 라체만
파일:미국 국기.svg
(2002)
60대
브루스 킴
파일:미국 국기.svg
(2002)
61대
더스티 베이커
파일:미국 국기.svg
(2003~2006)
62대
루 피넬라
파일:미국 국기.svg
(2007~2010)
63대
마이크 퀘이드
파일:미국 국기.svg
(2010~2011)
64대
데일 스베움
파일:미국 국기.svg
(2012~2013)
65대
릭 렌테리아
파일:미국 국기.svg
(2014)
66대
조 매든
파일:미국 국기.svg

(2015~2019)
67대
데이비드 로스
파일:미국 국기.svg
(2020~2023)
68대
크레이그 카운셀
파일:미국 국기.svg
(2024~)
파일:시카고 컵스 엠블럼.svg
: 월드 시리즈 우승 / : 월드 시리즈 준우승 / : 첫 월드 시리즈(1903년) 이전 내셔널 리그 우승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