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31 23:13:22

윔피 키드(2010)

윔피 키드 (2010)
Diary of a Wimpy Kid
파일:윔피키드(영화) 포스터.jpg
<colbgcolor=#fff><colcolor=#000> 장르 코미디, 학원, 성장[1]
감독 토어 프로이덴탈
각본 재키 필고, 제프 필고, 제프 주다, 게이브 삭스
원작 제프 키니윔피 키드: 학교 생활의 법칙》
제작 니나 제이콥슨, 브래드 심슨
출연 재커리 고든, 로버트 캐프론 外
촬영 잭 N. 그린
음악 시어도어 샤피로
제작사 파일:미국 국기.svg 20세기 폭스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 20세기 폭스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 2010년 3월 19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년 월 일
상영 시간 92분
제작비 $15,000,000
월드 박스오피스 $76,196,538
북미 박스오피스 $64,003,625
대한민국 총 관객 수 ○○명
국내 스트리밍
[[디즈니+|
Disney+
]]
,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초기.svg 전체 관람가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PG 로고.svg

1. 개요2. 시놉시스3. 등장인물4. 사운드트랙5. 평가 및 흥행6. 수상7. 기타

[clearfix]

1. 개요

2010년 미국 코미디 영화. 소설 윔피 키드 1권을 원작으로 한 실사 영화이자, 최초의 윔피 키드 영화화이다.

2. 시놉시스

중학생이 된 그렉(재커리 고든)에게 학교는 멍청하고도 잔인한 곳이다. 방학 동안 부쩍 자란 친구들과 달리 성장이 느린 그렉은 단짝 친구 롤리(로버트 카프론)와 함께 식당 바닥에서 점심을 먹는 굴욕을 감수하면서 학교 생활을 버텨야만 한다. 그렉의 당면한 목표는 어떤 종목에서든 학교 최고가 되어 학년말 앨범에 실리는 것이다. 이에 가장 자신있는 레슬링에 도전한 그렉은 여학생과의 대결에서 패배한 사실이 학교 신문에 실리면서 망신을 당한다. 그런 그렉에게 유일한 위로는 자신보다 못한 롤리의 존재다. 하지만 그렉이 롤리의 손을 다치게 한 것을 계기로 상황은 역전된다. 깁스를 한 롤리가 아이들의 동정표를 싹쓸이한데 이어 학교신문의 만화가 자리까지 차지하면서 인기가 폭등한 것이다. 절친을 잃은 그렉은 아이들의 관심을 끌어보려고 하다가 반감만 사고 마는데...

3. 등장인물

  • 그레그 헤플리 - 재커리 고든
  • 롤리 제퍼슨 - 로버트 캐프론
  • 로드릭 헤플리 - 데본 보스틱
  • 매니 헤플리 - 코너 필딩 & 오웬 필딩
  • 프랭크 헤플리 - 스티브 잔
  • 수잔 헤플리 - 레이첼 해리스
  • 앤지 스테드먼[2] - 클로이 모레츠
  • 패티 패럴 - 레인 맥닐
  • 프레글리 - 그레이슨 러셀[3]
  • 쉬라그 굽타 - 캐런 브라르
  • 코치 말론 - 앤드류 맥니
  • 노튼 선생님 - 벨리타 모레노[4]
  • 콜린 리 - 알렉스 페리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윔피 키드/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사운드트랙

현대의 중학교를 배경으로 한 작품답게 여러 팝송들이 수록되어 있다.

5. 평가 및 흥행


||<-3><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bgcolor=#333><tablebordercolor=#333>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
메타스코어 56 / 100 점수 6.4 / 10 상세 내용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93208><bgcolor=#f93208> 파일:로튼 토마토 로고 화이트.svg ||
신선도 55% 관객 점수 55%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0><bgcolor=#000> 파일:cinemascore-logo.png ||
등급 A-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bgcolor=#fff><tablebordercolor=#ba9200><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로저 이버트 닷컴 로고.svg ||
별점 3.5 / 4

베스트셀러인 원작과 달리 이 영화는 중학교 유머의 중심에 호감 가는 주인공을 배치하지 못했고, 그 결과 근본적인 메시지가 묻혀버렸습니다.
로튼토마토 총평
1500만 달러의 저예산으로 제작해 전세계에서 7500만 달러를 벌어들이며 제작비의 5배에 달하는 흥행 수익을 거두는 큰 흥행을 했으나 관객들 사이에서는 호불호가 갈리는 부분이 많다. 주로 주인공의 정감가지 않는 행보와 억지 감동 결말이 지적받는다. 반면 사춘기 인간관계를 잘 묘사했다며 호평받기도 한다.

6. 수상

  • 제 32회 영 아티스트 어워드 - Best Performance in a Feature Film - Young Ensemble Cast 부문 수상 (재커리 고든, 로버트 캐프론, 데본 보스틱, 알렉스 페리스, 캐런 브라르, 클로이 모레츠, 레인 맥닐, 그레이슨 러셀)[5]

7. 기타

  • 이 영화의 제작 과정을 간략하게 담은 《윔피키드 무비 다이어리》가 있는데, 본편과 비슷한 카툰 형식에 제작 비하인드와 사진들을 담았다. 읽어보면 저예산 영화라도 많은 노력이 들어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공교롭게도 원작자 제프 키니가 그레그 헤플리라는 캐릭터를 첫 구상한 연도가 주인공 그레그 헤플리를 맡은 배우 재커리 고든의 출생 연도와 동일한 1998년이다.[6]
  • 롤리가 엄마와 아들 댄스에 참가하는 장면에서 롤리 어머니 역은 실제 배우 로버트 캐프론의 어머니이다.
  • 본작과 2,3편에 등장하는 버전의 로드릭(데본 보스틱)이 꽤 인기가 있다.


[1] 영화판에서는 성장물적 요소가 다소 추가되었다.[2] 영화 오리지널 캐릭터. 작중에선 앤지라고만 불리고 풀네임은 나오지 않는다.[3] 영화 제작 과정을 담은 무비 다이어리 번역판에는 개리슨 러셀이라고 잘못 나와있다. Grayson→Garyson으로 잘못 읽은 듯.[4] 아역 배우들의 연기를 지도한 코치들 중 하나라고 한다.[5] 여담으로 같은 부문 수상 후보에는 렛미인나니아 연대기: 새벽 출정호의 항해도 있었는데, 클로이 모레츠가 렛미인에도 출연했던 걸 생각하면 상을 탈 확률이 2/3나 되었던 셈.[6] 이 부분이 위의 무비 다이어리에 나와있다.[7] 연극부 신에서 그레그 앞에 앉아있는 덤불로 분장하고 게임기로 게임을 하는 사람이다. 맡은 역할 이름은 로드니 제임스(Rodney James). 원작에서는 대사가 하나도 없어 연극부 연습 내내 비디오 게임만 한다는 언급이 나온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0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0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