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e8340b><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 #555555" | [[자치구|{{{#ffffff 자치구}}}]] | ||||
광산구 | 남구 | 동구 | 북구 | 서구 |
<rowcolor=white> 2단지 주출입구 | 3단지 전경 |
<colbgcolor=#971b2f><colcolor=#fff> 명칭 | 유니버시아드 힐스테이트 | |
영문명칭 | UNIVERSIADE HILLSTATE | |
종류 | 아파트 | |
브랜드 | ||
주소 | <colbgcolor=#971b2f><colcolor=#fff> 1단지 | 광주광역시 서구 화운로 94 (화정동) |
2단지 | 광주광역시 서구 화정로 211 (화정동) | |
3단지 | 광주광역시 서구 화운로 24 (화정동) | |
완공 | 2015년 4월 | |
입주 | 2016년 4월 | |
동수 | 총 35개동 | |
층수 | 지하 2층, 지상 15~33층 | |
세대수 | 1단지 | 763세대 |
2단지 | 776세대 | |
3단지 | 2,185세대 | |
총 3,726세대 | ||
면적 | 84㎡A·B, 112-113㎡A·B·C·D·E·F·G, 132㎡A·B | |
주차 대수 | 1단지 | 953대 (세대당 1.24대) |
2단지 | 942대 (세대당 1.21대) | |
3단지 | 2,663대 (세대당 1.21대) | |
시공사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서구 화정동에 위치한 아파트.옛 화정주공아파트를 재건축한 아파트이자 2015 광주 유니버시아드에 참가하는 선수들을 위한 선수촌으로 사용된 아파트이다.
총 3개의 단지로 나누어져 있으며 3단지가 가장 세대수가 많고 주민공용시설도 3단지에 위치하고 있다.[1] 3개 단지를 모두 합하면 무려 3,726세대로 광주에서 가장 규모가 큰 아파트 단지이다.[2]
25평, 34평, 40평으로 소형 면적부터 대형까지 모두 존재하고 있으며 34평형이 가장 많다. 1, 2단지는 34평형만 있고 3단지는 3가지 평형 모두 있다.
주차장은 거의 지하로 배치되었으며 세 단지 모두 한 가구당 1.2대씩 주차할수 있는 정도의 주차면수를 갖고있다.
2. 과거
<colbgcolor=#00428e><colcolor=#fff> 명칭 | 화정주공아파트 | |
영문 명칭 | Hwajeong Jugong Apt | |
주소 | <colbgcolor=#00428e><colcolor=#fff> 도로명 | 광주광역시 서구 화정로 233 광주광역시 서구 화운로 79 광주광역시 서구 화정로 236 |
지번 | 광주광역시 서구 화정동 635·640·621 | |
완공 | 1982년 12월 | |
철거 | 2012년 8월 | |
동수 | 총 76개동[3] | |
층수 | 지상 5층 | |
세대수 | 2,900세대 | |
면적 | 36㎡, 42㎡, 49㎡, 52㎡, 56㎡, 62㎡ | |
건설 |
원래 이 자리에는 지난 1982년에 완공되어 입주한 화정주공아파트가 있었다.
화정주공은 2005년부터 재건축을 추진하기 시작했고 2008년 10월에 재건축조합을 설립하였으며 2009년에 유치되었던 2015 광주 유니버시아드의 선수촌으로 당시 같은 시기에 재건축을 추진 중이던 염주주공과 함께 거론되었는데, 화정주공이 최종적으로 유니버시아드 대회의 선수촌으로 결정되면서 기한을 맞추기 위해 재건축 사업이 급물살을 타게 되었다.
2012년 6월부터 화정주공의 철거가 시작되었으며, 2012년 9월 착공식을 열고기사 3년에 가까운 공사기간을 거쳐 2015년 4월에 일부 부대시설을 제외하고 완공하였으며 6월 26일 개촌식을 가지고 공식적으로 선수들이 입촌했다.
U대회 기간동안 1, 3단지를 선수촌으로 사용한 뒤 내부 리모델링을 거쳐 2016년 4월 조합원과 일반분양자들이 입주하였다.
내부 리모델링 후 2016년에 조합원들과 일반분양자들이 입주를 한거라 2016년 4월 입주라고 나와있으나 1,3단지는 2015년에 선수촌으로 사용된 적이 있어서 실제로 더 빨리 완공된것으로 볼 수 있고 년차를 몇년 더 추가해서 봐야한다 (대략 2016년차 완공 아파트들을 기준으로 벽두께와 관련된 규정이 달라져서 이 규정을 보고 2016년차 이후 아파트를 알아보는 사람들은 주의해서 봐야한다)
참고로 국제대회에서 선수들이 사용하는 선수촌 건설에 오래된 아파트를 허물고 새로 짓는 재건축 방식을 접목한 사례는 유니버시아드 힐스테이트가 세계 최초라고 한다.[4][5]
참고로 분양 당시에는 지금과는 달리 큰 인기는 없었다. 심지어 일부 미분양도 존재했었고 입주 초반에는 옛 화정주공을 대량으로 가지고 있던 공무원연금공단이 단기간에 엄청난 물량을 공매로 쏟아내면서 매매 시세가 주춤하기도 했다. 하지만 금방 회복하면서 2017년부터 2020년대 초반까지 이어진 광주 부동산 상승기를 이끈 주축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3. 특징 및 시설
고풍스러운 스타일의 힐스테이트 클래식 타입 디자인[6]으로 외관이 마감되었으며 흔히 ‘성냥갑’이라고 부르는 판상형 배치가 아닌 타워형으로 배치했다.대기업 브랜드와 좋은 입지,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시설, 조경을 갖추면서 무등산 아이파크, 상무 SK뷰와 함께 광주에서 가장 인기 있는 신축아파트 3대장으로 꼽혔다.
3.1. 주민편의시설
커뮤니티센터는 3단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2층에는 휘트니스센터와 GX룸, 1층에는 수영장과 실내골프연습장이 있다.3.2. 상업시설
주변 상가들은 흥하고 있는 반면 단지 내 상가는 공실이 있는 편.주로 편의점이나 카페, 대리점같은 편의시설이나 학원등이 입점해 있다. 화정주공시절, 상당히 슬럼화되었던 동네라 상권이 완전 침체되어었으나 재건축 소식에 주변 상가건물주들이 이파트 공사기간동안 건물을 새로 신축하거나 리모델링을 거치면서 상권이 활기를 되찾고있다.
다담식자재마트 화정점이 있다
차로 10분 거리 안으로 롯데마트 월드컵점, 유스퀘어, 광주신세계백화점 및 이마트 광주점이 있다.
다만 아파트 규모에 비해 상가시설이 크게 늘어나지 않아 아직도 많이 부족하다. 3단지는 상권이 좋지만 1단지 일부동, 2단지는 상권이 부족하다.
4. 주변환경
4.1. 교통
단지 앞에 주월초교정류장[7]과 광주광역시교육청정류장, 화정중정류장[8]이 있고1단지와 3단지사이의 유니버시아드힐스테이트정류장[9]이 있다.
1단지 정문 기준, 화정역이 도보 10분거리로 도시철도 이용이 가능하다.
상무대로와 대남대로가 가까워 광주전역으로 이동이 편리하다.
4.2. 교육
1단지는 서석중.고교와 맞닿아 있고 2단지는 광덕중.고교를 건너편에 두고 있으며 3단지는 주월초를 품고 화정중를 건너편에 두고있어 초등학교때부터 고등학교때까지 단지주변에서 통학이 가능해 교육면에서는 서구에서 가장 뛰어난 곳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4.3. 공익시설
화정2동 행정복지센터와 광주광역시교육청이 있다5. 관련 문서
[1] 이로 인한 단지 간 분쟁이 있다.[2] 단, 단일 단지로써 가장 규모가 큰 아파트는 무등산자이&어울림 1단지(2,382세대)이다.[3] 4자 금기로 4동을 건너 뛰어 실제로는 77동까지 있었다.[4] 광주시가 U대회에서 자신감을 얻었는지 두번째 사례 역시 광주에서 열린 2019 광주 세계수영선수권대회의 선수촌인 세계수영선수촌 중흥S-클래스 센트럴이다.[5] 다만 선수촌 사용료를 얼마로 해야 하는지에 대해 화정주공재건축조합과 광주시 간의 액수 차이가 너무 커서 이 갈등을 두고 대법원까지 가기도 했다.[6] 여기에는 먼저 광주에 지어진 상무 힐스테이트가 많은 영향을 끼쳤다. 힐스테이트 브랜드를 광주에 처음 선보이면서 고급 단지에 걸맞은 클래식 타입 디자인으로 마감한 것이 매우 평가가 좋았고, 그래서 상무 힐스테이트가 이끌어낸 좋은 이미지를 그대로 유니버시아드 힐스테이트에도 옮겨 심기 위한 결정이었다. 사실 이만한 고층 대단지 아파트에 클래식 타입을 적용시킨건 여기가 유일하다.[7] 운림50번, 진월77번이 정차한다.[8] 매월26번, 송암31번, 서구763번이 정차한다.[9] 금남59번, 매월61번, 송암73번, 송암74번이 정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