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7-21 06:49:56

대남대로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e8340b><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e8340b>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e8340b;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각화대로 대남대로 동문대로 무진대로 북문대로
빛고을대로 상무대로 서문대로 서암대로 어등대로
임방울대로 죽봉대로 필문대로 하남대로
광주광역시의 도로 틀 둘러보기 }}}}}}}}}


대남대로
台南大路 | Daenam-daero (Tainan Blvd)
시점 방면
서문대로
종점 방면
죽봉대로
시점 방면
상무대로
종점 방면
남문로
시점 방면
서문대로
종점 방면
필문대로
기 점
종점 방면
죽봉대로
[서구]
[남구]
노선 번호
1번 국도
22번 국도
60번 지방도
28번 광주광역시도
기점
광주광역시 동구 학동 남광주교차로
종점
광주광역시 서구 농성동 농성교차로
연장
4.916km
관리
광주광역시
왕복 차로 수
8~11차로
주요 경유지
남광주교차로 ↔ 백운광장 ↔ 운진각사거리[3] ↔ 농성교차로

台南大路 / Daenam-daero

1. 개요2. 특징3. 주요 구간4. 대체도로5. 대중교통6. 교통량7. 주요 시설8. 기타

[clearfix]

1. 개요

광주광역시 동구 학동에 있는 남광주교차로부터 광주광역시 서구 농성동에 있는 농성교차로까지 이어지는 길이 4.916km, 왕복 8~11차로의 도로. 1번 국도, 22번 국도, 60번 지방도의 일부이다.

2. 특징

도로 이름은 1968년광주광역시와 자매결연한 대만의 대남(타이난시)의 시명에서 유래되었다.

이 길에 주한 중국 광주 총영사관이 있다. 원래 한국-대만 수교 시절 대만의 광주 총영사관[4]이었으나, 한국과 대만단교하면서 철수한 부지를 중국이 차지한 것이다. 대만 측에서는 광주 총영사관을 지키기 위해 한국과 협의했으나, 중국하나의 중국 논리로 서울 대사관에 이어서 부산, 광주 총영사관까지 강탈했다.[5] 이후 대만은 광주에는 사무처를 설치하지 않았다. 부산에만 사무처를 설치했다. 이렇게 해서 대만의 지명을 딴 대남대로변에 중국의 총영사관이 위치하게 된 것이다.[6] 참고로 주 대만 부산 총영사관은 중국이 접수하고 나서 다른 곳으로 이전했다.

3. 주요 구간

22번 국도
지상 : 필문대로와 직결 (동광주IC, 조선대학교 방면)
고가도로 : 필문대로와 직결 (동광주IC, 조선대학교 방면)
제봉로
전남대학교병원, 병무청 방면
남광주 교차로 남광주고가도로 남광주 교차로
22번 국도 · 29번 국도
남문로
화순, 학운IC 방면
천변우로
남광주시장 방면
남광주고가 교차로[참고] 남광주고가 교차로[참고] 천변우로[좌회전불가]
남광교 (광주천) 남광교 (광주천)
천변좌로 [우회전불가] [참고] [참고] 천변좌로
화순, 증심사 방면
남광주고가도로 종점
정율성로
양림역사문화마을 방면
[좌회전불가] 오방로
남부경찰서 방면
백운로
기독병원, 양림역사문화마을 방면
봉선중앙로
남부경찰서, 용산IC 방면
독립로
금남로, 문화전당(구도청) 방면
백운교차로 봉선로
남부경찰서 방면
1번 국도
서문대로
나주, 노인건강타운 방면
1번 국도 · 22번 국도
회재로
기독병원 방면[14]
주월교차로 회재로
서광주역, 월드컵경기장 방면[15]
금화로
서구청 방면
운진각사거리가칭 금화로
광주월드컵경기장 방면
화정로
서구청 방면[16]
건강관리협회교차로 화정로
시교육청 방면
상무대로
서구청, 금남로 방면
농성교차로[17]
22번 국도
상무대로
시청, 상무지구 방면
죽봉대로와 직결 (서광주IC, 버스터미널 방면)
1번 국도

4. 대체도로

농성교차로 - 백운광장 구간은 서쪽으로 한 블럭을 옆에 두고 군분로와 두 블럭을 옆에 두고 있는 화운로-주월로-회서로 (셋 다 직결됨)가 실질적인 대체도로가 될 것이다. 특히 화운로-주월로-회서로 구간으로는 계속 쭉가면 서문대로로 바로 갈 수 있어서 서문대로 방면으로 가야되는 경우 대체도로로 이용하기에 많이 유용하다.

5. 대중교통

5.1. 철도도시철도

지금은 도로 기종점 부근에 광주 도시철도 1호선 2개역이 전부이지만, 광주 도시철도 2호선 1단계 구간(가칭 백운광장역 ~ 남광주역 구간)이 백운광장 ~ 남광주교차로 구간으로 지어질 예정이다.

5.2. 버스노선

5.2.1.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이 도로에서 다니는 광주광역시 시내버스는 크게 백운광장을 기준으로 노선이 많이 갈라지게 된다. 그리고 이 도로에만해도 급행버스가 무려 3개나 지나가는 것과 꽤나 많은 간/지선 버스가 지나가는 것을 보면 버스 노선에서도 꽤나 중요한 도로이다. 특히 시간제지만 가로변버스전용차로까지 있는 것을 보면, 버스의 통행 고려를 꽤 했다는 것이 보인다.

5.2.2. 나주시 시내버스

나주시 시내버스 중에서는 997번, 998번, 999번 노선이 남광주교차로 ~ 백운광장 구간을 이용한다.

5.2.3. 화순군 농어촌버스

광주광역시를 출발/도착하는 모든 농어촌버스는 화순군을 가기 위해 이 도로의 전 구간[18](농성교차로 ~ 남광주교차로 구간)을 이용한다.

6. 교통량

광주광역시에서도 교통량 많기로 유명한 백운광장(백운교차로)와 농성광장(농성교차로), 그리고 남광주역(남광주교차로)으로 무려 3개의 주요 교차로를 지나는 광주에서도 매우 중요한 도로이다. 애초에 광주 도심을 감싸는 광주제1순환도로가 다 그러지만.

7. 주요 시설

8. 기타

2020년 6월 4일부터 대남대로 연선의 백운고가차도 철거가 시작되었다. 광주 도시철도 2호선 공사와 연계돼서 실시되는 것이며, 2020년 11월 30일에 철거가 완료되었다. 6월에 지하철과 지하차도 공사를 시작해 현재 공사를 하고 있다

타이난시에도 광주로(光州路)가 있다. 광주처럼 시내 한복판에 위치한 간선도로도 아니고 거리도 짧지만, 대만의 국가고적인 억재금성(億戴金城) 앞 도로를 광주로로 지정하였다. 2010년대 초반까지는 현재도 타이난에서 지정한 공식 로마자 표기인 통용병음으로 Guangjhou st.였으나 이후 광주광역시의 공식 영문명인 Gwangju st.로 변경하였다. #
==# 둘러보기 #==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광역시 제1순환도로
동운고가 서암대로 서방사거리
죽봉대로 광주광역시 원도심 필문대로
농성교차로 대남대로 남광주교차로


[서구] 서구 구간[남구] 남구 구간[3] 대남대로와 금화로가 교차하는 곳이다. 과거 운진각이라는 여관이 있어 운진각사거리라는 별명이 붙었으나 현재 여관은 폐업했다.[4] 1887년 청나라 시절에 설치했었다. 1992년까지 주 광주 중화민국 총영사관이었다.[5] 청나라 시절에 설치된 것이므로 청나라에서 이어오는 국가가 중화인민공화국이라는 논리에 의해 가져간 것. 이는 타국에서도 비슷한 논리를 적용했다. 1949년 국부천대 이후의 대만에서 신규로 설치한 해외 공관은 이 논리를 적용하지 않았다. 사우디아라비아 소재 대만 대사관이 그 케이스로 단교 이후에도 대만 소유로 남았다.[6] 중화인민공화국은 대만도 자국의 영토로 간주하기 때문에 자국의 도시 이름을 딴 도로가 된다. 도로 이름의 변경을 요구한다면 이는 오히려 타이난이 자국의 도시가 아니라는 이야기가 되니 하지 않을 수밖에.[참고] 도로 특성상 좌, 우회전이 제한[참고] [좌회전불가] [우회전불가] [참고] [참고] [좌회전불가] [14] 교차로 특성상 통행이 불가능하다. 백운교차로 방면에서 오는 경우 고가도로 아래에서 오는 차량만 진입할 수 있고, 농성교차로 방향에서 오는 경우는 좌회전 금지돼 있다.[15] 백운교차로 고가도로 아래에서 오는 경우 좌회전 불가[16] 교차로 특성상 농성교차로에서 오는 경우 좌회전 불가[17] 이 교차로 아래로 농성지하차도가 지나간다.[18] 단, 318번은 도곡온천 경유를 위해 농성교차로 ~ 백운광장까지만 이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