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의 공식 로마자 표기법 | ||||||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F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 중화민국 | 중화인민공화국 | ||||
국어라마자 | 한어병음 | |||||
1928년~1949년 | 1949년~1958년 | 1958년~1986년 | 1986년~2002년 | 2002년~2008년 | 2009년~현재 | |
국어라마자 | 국어 주음부호 제2식 | 통용병음 | 한어병음 | |||
중화민국 | 대만 | }}}}}}}}}}}} |
언어별 로마자 표기법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3492da> 한국어 | 프랑스식 - 한글학회식 - 예일식 - 48년 문교부식 - 59년 문교부식 - M.R. 식 - 00년 문광부식 - 김복문식 - 국립국어원식 한세식 - 유만근식 - 양병선식 - 홍승목식 - 86년 북한식 - 97년 북한식 - ISO/TR 11941 |
일본어 | JSL - 훈령식 - 일본식 - 헵번식 - 포르투갈식 | |
표준중국어 | 우정식 - W.G.식 - 화어통용병음 - 국어라마자 - 주음부호 2식 - 예일식 - 한어병음 | |
광동어 | 월어병음 - 광동어 예일식 표기법 - 광주화병음 - 홍콩 정부식 - 마카오 정부식 | |
민어 | 민남어백화자 - 대라병음 - 대어통용병음 - 조주화병음 - 해남병음 | |
객가어 | 객가어백화자 - 객가어병음 - 객어통용병음 - 객가화병음 | |
아랍어 | BGN/PCGN - UNGEGN - 미국 의회도서관식 - 이슬람 백과사전식 | |
페르시아어 | 미국 의회도서관식 - 이슬람 백과사전식 - UN식 | |
아르메니아어 | BGN/PCGN - 미국 의회도서관식 - ISO 9985 | |
조지아어 | 조지아 정부식 - BGN/PCGN - 미국 의회도서관식 - ISO 9984 | |
그리스어 | ELOT 743 - 미국 의회도서관식 | |
히브리어 | 이스라엘 정부식 - ISO 259 | |
힌디어 | IAST - 헌터식 | |
티베트어 | 와일리 표기법 - 장어병음 | |
타이어 | ISO 11940 - 왕립학회식 | |
벨라루스어 | BGN/PCGN - 벨라루스 정부식 - 라친카 - ISO 9 | |
불가리아어 | 불가리아 정부식 - ISO/R 9 | |
러시아어 | BGN/PCGN - GOST 7.79-2000 - ISO 9 | |
우크라이나어 | BGN/PCGN - 우크라이나 정부식 - ISO/LN 9 | }}}}}}}}} |
한자 | 通用拼音 |
통용병음 | Tong-yòng Pin-yin |
한어병음 | Tōngyòng Pīnyīn |
- 복사용
1. 개요
1998년에 대만의 중국어학자 위보취안(余伯泉)이 고안한 중국어 및 기타 언어의 로마자 표기법이다. 구체적으로는 표준 중국어(관화, 만다린)를 표기하는 화어통용병음(華語通用拼音), 대만어를 표기하는 대어통용병음(臺語通用拼音), 객가어를 표기하는 객어통용병음(客語通用拼音), 대만 원주민 언어들을 표기하는 대만원주민어통용병음(臺灣原住民語通用拼音) 네 가지로 나뉜다. 이 중에서 대표가 되는 것은 화어통용병음이며, 본 문서에도 화어통용병음을 중심으로 다룬다.2002년부터 2008년까지 대만의 공식적인 중국어 로마자 표기법으로, 이전까지의 공식 로마자 표기법이었지만 실제론 잘 안 쓰였던 국어 주음부호 제2식을 이 통용병음으로 대체했다.
2008년 이후로는 공식 로마자 표기법이 한어병음으로 대체되었다. 하지만 가오슝, 타이난 등 대만 남부 지방에서는 아직까지 도로명, 지하철 역 이름 등에 현역으로 사용되고 있으니 배워서 나쁠 건 없다.
2. 역사
대만은 중국과 달리 인명이나 지명 등에 쓰이는 중국어의 로마자 표기 방안이 통일되어 있지 않고 중구난방이었다. 통용병음을 도입하기 전까지 대만에서는 지명 표기에 우정식 병음, 발음의 로마자 표기에 웨이드식 로마자 표기법이 사용되었다. 정부 공식 표기는 1986년에 만들어진 '국어 주음부호 제2식'이었지만 잘 안 쓰였다.1997년에 타이베이 시장이었던 천수이볜은 이렇게 중구난방인 중국어 로마자 표기를 통일하고자 중앙연구원의 학자였던 위보취안에게 새로운 중국어 로마자 표기 방안을 의뢰했으며, 이 때 개발되어 1998년에 발표된 것이 통용병음이다. 통용병음은 중국에서 채용되어 있었던 한어병음방안을 참고하되 로마자 사용자들이 어색하게 느끼는 표기(q, x) 등을 수정한 것이었다. 이 통용병음은 1998년에 타이베이시 시설물의 공식 로마자 표기법으로 확정되었으나, 막상 천수이볜이 그 해 타이베이 시장 선거에서 패배하는 바람에 대대적인 도입은 이뤄지지 못했다.
통용병음은 한어병음방안과의 유사성이 85%에 달하며, 그 제정과정을 볼 때 한어병음을 수정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3] 하지만 통용병음은 대만인들이 정한 최초의 공식적인 표준중국어 로마자 표기법이라는 점에서 제정 당시부터 정치적 함의를 지녔다.[4] 비록 한어병음방안을 많이 참고하였다고는 하나 한어병음방안과는 조금 다르고, 그렇기에 통용병음은 어찌되었건 대만 고유의 것(?)으로서 제정 당시부터 대만 민족주의, 타이완 독립운동과 연결지어졌다. 앞으로 설명될 논란은 거의 대부분 통용병음이 지닌 정치적 함의에서 비롯되었다.
천수이볜은 2000년에 총통에 당선되었고, 이 때부터 통용병음을 국가 표준으로 채택하자는 의견이 정부에서 제기되었다. 그리고 2002년에 중화민국 교육부에서 중문역음사용원칙(中文譯音使用原則)을 제정하여 통용병음을 로마자 표기의 원칙으로 삼기로 하였다. 다만 대외적으로 잘 알려진 외국어 표기조차 한어병음으로 대체한 중국과는 달리 대만에서는 일부 지명이나 인명을 번역할 때(어떤 언어로 번역할 때인지는 명시하지 않았으나 누가 봐도 영어임을 알 수 있다) 통용병음 원칙을 따르지 않는 경우들을 다양하게 언급하였다. 가령 臺北를 Taipei로 쓴다든지.[5] 물론 표준중국어 발음을 통용병음으로 제시하고자 할 때에는 Taibei 식으로 적어야 하지만 외국어로 제시할 땐 기존 표기인 Taipei를 따른다는 뜻이다.
하지만 그 교육부에서조차 통용병음에 대한 지지도는 높지 않았다. 2000년에서 2002년까지 교육부장(교육부장관)이었던 쩡즈랑(曾志朗)은 한어병음방안을 주장할 정도로 내각 안에서도 통용병음에 대한 반대가 있었다. 당시 유시쿤 내각은 교육부장을 갈아치우면서까지 통용병음을 밀었으나, 국어추행위원(國語推行委員)[6] 27명 중 13명 출석에 고작 10명 찬성으로 통과되었을 정도로 찬성률이 저조했다. 관련 기사 정치적인 함의가 아니고서라도, 대만인들은 생소하기 짝이 없는 새로운 표기법을 그리 반기지 않았다.
결국 2008년에 국민당의 마잉주가 총통이 되자 통용병음은 표준 지위를 잃었다. 국민당 정권은 대만의 표준 로마자 표기법을 대륙과 동일하게 한어병음으로 지정하였다.[7] 물론 대만인들 입장에서 이것도 통용병음이나 마찬가지로 생소하기 짝이 없는 표기인 것은 매한가지다.
통용병음이 국가 표준 지위를 잃을 때 민진당 인사들을 중심으로 엄청난 반발이 일어났는데, 역설적이지만 대만에서 통용병음의 도입은 민진당 지지자들이 싫어하는 한어병음의 정착을 수월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통용병음과 한어병음은 85%가 일치하기 때문에, 웨이드-자일스식 등 다른 로마자 표기에서 한어병음으로 바꾸는 것보다 통용병음에서 한어병음으로 바꾸는 것이 더 쉬웠던 것이다.
차이잉원은 마잉주의 한어병음 수용을 비판하며 2018년 들어서 슬며시 통용병음 부활 이야기를 꺼냈다. 대만이 중국의 속국 내지는 영토로 보일 거리를 주어서는 안된다는 주장이었다.
3. 사용
타이난, 가오슝 등의 남부 지방에서는 도로 표지판의 영문 표기에 사용된 통용병음 표기를 수정하지 않고 있다. 이는 지방정부 시설의 로마자 표기는 지자체에서 결정하기 때문이다.타이난시는 라이칭더가 타이난 시장을 지내고 있던 2011년에 한어병음의 사용을 공식적으로 거부한 바 있다. 가오슝은 타이베이와 함께 대륙 수복을 위해 중화민국의 지명으로 길 이름을 많이 지었는데, 가오슝에 있다 보니 중국의 지명인데도 통용병음이 병기되어 있다. 가오슝 지방정부 시설인 가오슝 첩운도 죄다 통용병음 표기를 쓴다.(물론 유명 지명에는 적용하지 않아 가오슝역의 영어 표기는 Gaosyong Station이 아닌 Kaohsiung Station으로 표기) 그러다 보니 일반철도 역 이름을 따서 만든 첩운역(지하철역)과 원래의 철도역의 철자가 다른 상황도 있는데 차오터우역은 통합역사임에도 통용병음인 Ciaotou와 한어병음인 Qiaotou역이 모두 존재한다. 가오슝 첩운의 경우 죄다 통용병음이다. 국민당 출신인 한궈위 전 가오슝 시장이 시장 시절에 한어병음을 도입하려다가 시 내부의 반대와 코로나 19 사태로 인해 유보한 바 있다.
타이중 고속철도역이 있는 우르(烏日)의 경우, 도로 표지판에 통용병음(Wurih)과 한어병음(Wuri) 표기가 혼재해서 외국인들에게 혼란을 준 경우도 있었다. 2019년 현재도 타이중은 한어병음과 통용병음이 뒤섞여 있다. 펑후는 통용병음으로 쓰다가 한어병음으로 바꿨는데, 모르고 미처 못 바꿔서 통용병음이 그대로 있는 경우도 있고, 한어병음으로 바꾸다가 오류를 낸 경우도 있다.
4. 표기 원칙
화어통용병음을 기준으로 설명하되, 한어병음방안과 다른 점은 추가로 설명한다. 표에서 \[ \] 안에 있는 글자들은 국제음성기호(IPA)이고, 괄호 안에 있는 글자들은 주음부호와 한어병음(화어통용병음과 다를 경우에만 기재)이다. 한어병음과 다른 화어통용병음 철자는 굵은 글씨로 표시하였다.4.1. 성모
||<-2><|2><:> ||<-2><:> 양순음 ||<:> 순치음 ||<-2><:> 치경음 ||<-2><:> 권설음 ||<-2><:> 치경구개음 ||<:> 연구개음 ||
무성음 | 유성음 | 무성음 | 무성음 | 유성음 | 무성음 | 유성음 | 무성음 | 유성음 | 무성음 | ||
비음 | m \[m\] (ㄇ) | n \[n\] (ㄋ) | |||||||||
파열음 | 무기음 | b \[p\] (ㄅ) | d \[t\] (ㄉ) | g \[k\] (ㄍ) | |||||||
유기음 | p \[pʰ\] (ㄆ) | t \[tʰ\] (ㄊ) | k \[kʰ\] (ㄎ) | ||||||||
파찰음 | 무기음 | z \[ts\] (ㄗ) | jh \[ʈʂ\] (ㄓ zh) | j \[tɕ\] (ㄐ) | |||||||
유기음 | c \[tsʰ\] (ㄘ) | ch \[ʈʂʰ\] (ㄔ) | c \[tɕʰ\] (ㄑ q) | ||||||||
마찰음 | f \[f\] (ㄈ) | s \[s\] (ㄙ) | sh \[ʂ\] (ㄕ) | r [\ʐ, ɻ\] (ㄖ) | s \[ɕ\] (ㄒ x) | h /x/ (ㄏ) | |||||
접근음 | |||||||||||
설측 접근음 | l /l/ ㄌ |
- 일부 설면음과 설치음은 같은 자모로 표기하되 뒤에 오는 운모를 보고 구분한다.[8]
- ㄑ(한어병음: q)와 ㄘ(한어병음: c)를 모두 c로 표기한다. 어차피 뒤에 오는 운모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구분이 된다.
- ㄒ(한어병음: x)와 ㄙ(한어병음: s)를 모두 s로 표기한다. 어차피 뒤에 오는 운모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구분이 된다.
- 단 ㄐ(한어병음: j)와 ㄗ(한어병음: z)는 서로 구분해서 한어병음과 동일하게 각각 j, z로 구분해서 적는다.
- ㄖr를 제외한 권설음 성모는 h로 끝난다는 점은 한어병음과 같지만, ㄓ(한어병음: zh)만은 한어병음과 달리 jh로 표기한다. r을 제외한 권설음 표기를 설치음 글자에 h를 붙여 나타내는 한어병음과 달리 설면음 글자에 h를 붙인다고 보면 된다.
4.2. 운모
||<|2><-2> ||<-15><:> 운미 ||
/∅/ | /i/ | /u/ | /n/ | /ŋ/ | /ɻ/ | |||||||||||
운두 | /∅/ | -ih \[ɻ̩, z̩\] (ㄭ[ㄭ]) | a \[ɑ\] (ㄚ) | e \[ɯ̯ʌ, ə\] (ㄜ) | e \[ɛ\] (ㄝ) | o \[u̯ɔ, o\] (ㄛ) | ai \[aɪ̯\] (ㄞ) | ei \[eɪ̯\] (ㄟ) | ao \[ɑʊ̯\] (ㄠ ao) | ou \[oʊ̯\] (ㄡ) | an \[än\] (ㄢ) | en \[ən\] (ㄣ) | ang \[ɑŋ\] (ㄤ) | eng \[ɤŋ\] (ㄥ) | er \[ɑɻ\][10] (ㄦ) | |
/i/ | (y)i \[i\] (ㄧ) | -ia/ya \[i̯ä\] (ㄧㄚ) | -ie/ye \[i̯ɛ\] (ㄧㄝ) | -io/yo \[i̯o\] (ㄧㄛ) | -iai/yai[11] \[i̯aɪ̯\] (ㄧㄞ) | -iao/yao \[i̯ɑʊ̯\] (ㄧㄠ iao) | -i(o)u/you \[i̯oʊ̯~i̯u\] (ㄧㄡ -iu/you) | -ian/yan \[i̯ɛn\] (ㄧㄢ) | (y)in \[ɪn~i̯ən\] (ㄧㄣ) | -iang/yang \[i̯ɑŋ\] (ㄧㄤ) | (y)ing \[ɪŋ~i̯əŋ\] (ㄧㄥ) | |||||
/u/ | (w)u \[u\] (ㄨ) | -ua/wa \[u̯ɑ\] (ㄨㄚ) | -uo/wo \[u̯o\] (ㄨㄛ) | -uai/wai [u̯aɪ̯\] (ㄨㄞ) | -u(e)i/wei \[u̯i, u̯eɪ̯\] (ㄨㄟ, -ui/wei) | -uan/wan \[u̯än\] (ㄨㄢ) | -un/wun \[ʊn, u̯ən\] (ㄨㄣ) | -uang/wang \[u̯ɑŋ\] (ㄨㄤ) | -/wong \[u̯əŋ\] (ㄨㄥ) | -ong/- \[ʊŋ\] (ㄨㄥ -ong/ong) | ||||||
/y/ | yu \[y\] (ㄩ) | yue \[y̯ɛ\] (ㄩㄝ) | yuan \[y̯ɛn\] (ㄩㄢ) | yun \[ʏn~y̯ən\] (ㄩㄣ) | yong \[i̯ʊŋ\] (ㄩㄥ -iong/yong) |
- 주음부호로 표기하지 않는 ㄓjh(한어병음: zh(i)), ㄔ(한어병음: ch(i)), ㄕ(한어병음: sh(i)), ㄖ(한어병음: r(i)), ㄗ(한어병음: z(i)), ㄘ(한어병음: c(i)), ㄙ(한어병음: s(i)) 뒤의 운모[12]는 ih로 표기한다. 즉, 한어병음으로 zhi, chi, shi, ri, zi, ci, si로 적히는 음절을 통용병음으로는 jhih, chih, shih, rih, zih, cih, sih로 적는다.[13]
- ㄈ(한어병음: f) 뒤에 ㄥ(한어병음: eng)이 오면 ong으로 표기한다. 따라서 ㄈㄥ(한어병음: feng)은 통용병음으로 각각 fong이라고 적는다. ㄈ가 오는 경우 외에는 원래대로 eng으로 표기한다.
- ㄨㄟ(한어병음: 성모 없을 때 wei, 성모 있을 때 ui[14])에서 e를 생략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성모가 있으면 생략하는 것도 허용된다. 마찬가지로 ㄧㄡ(한어병음: 성모 없을 때 you, 성모 있을 때 iu[15])에서도 o를 생략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성모가 있으면 생략하는 것도 허용된다. 따라서 ㄏㄨㄟ(한어병음: hui)와 ㄌㄧㄡ(한어병음: liu)는 통용병음으로 각각 huei(원칙)/hui(허용), liou(원칙)/liu(허용)로 쓴다. 통용병음이 대만의 표준 로마자 표기법이던 당시 지명 등에서는 생략 안 한 원칙적인 표기대로 적도록 규정했었다.
- ㄨㄣ(한어병음: 성모 없을 때 wen, 성모 있을 때 un[16])과 ㄨㄥ(한어병음: 성모 없을 때 weng[17], 성모 있을 때 ong[18])은 한어병음에서 성모의 유무에 따라 철자가 확 바뀌는데, 통용병음에서는 성모가 없을 때 w만 추가되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적힌다.
- ㄨㄣ(한어병음: wen, un)은 성모가 있을 때는 한어병음처럼 un으로 적지만, 성모가 없을 때는 wun으로 표기한다. 즉 한어병음에서 wen으로 적히는 음절은 통용병음으로 wun으로 적는다는 뜻.
- ㄨㄥ(한어병음: weng, ong)에서 성모가 있을 때는 한어병음처럼 ong으로 적지만, 성모가 없을 때는 wong으로 표기한다. 즉 한어병음에서는 weng으로 적히는 음절은 통용병음으로 wong으로 적힌다는 뜻.[19]
- ㄩ가 사용되는 운모(촬구호)[20]들을 통용병음으로 표기할 때는 철자에 y를 반드시 포함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 단운모 ㄩ(한어병음: ü[21], 성모가 없을 때는 yu)는 반드시 yu로 고정하여 표기한다. 예를 들어 ㄌㄩ(한어병음: lü)는 통용병음에서 lyu로 적힌다.[22]
- ㄩㄣ(한어병음: ün[23], 성모가 없을 때는 yun)은 앞에 ㄌ이 올 때만 yuen, 그 밖은 모두 yun으로 표기한다. 따라서 ㄌㄩㄣ(한어병음: lün)만은 통용병음에서 lyuen으로 적히지만, ㄩㄣ(한어병음: yun), ㄐㄩㄣ(한어병음: jun) 등은 통용병음에서 yun, jyun 등으로 적힌다. 어느 쪽이든 여기서도 촬구호에서 y를 고정시킨다는 원칙은 지키고 있다.
- ㄩㄝ(한어병음: üe[24], 성모가 없을 때는 yue)도 마찬가지로 항상 yue로 고정시킨다.
- ㄩㄥ(한어병음: iong, 성모가 없을 때는 yong)은 반드시 yong으로 표기한다. 예를 들어 ㄒㄩㄥ(한어병음: xiong)은 통용병음으로 syong으로 적힌다. ㄩ가 들어간 다른 경우는 전부 yu로 적는데 이 경우만 yong이다. 물론 y를 고정시켜 둔다는 원리는 동일하다.
- 표준중국어에서 감탄사, 의성어 등에서 단운모 ㄝ가 쓰이는 경우가 있는데 통용병음에서는 이것을 ㄜ와 구분되게 적을 방법이 없다. 기본적으로 통용병음에서 단운모 e는 ㄜ를 나타내고, er에서는 이 운모 통째로 ㄦ을 나타내며, 복합운모 ie(ye), yue에서는 e가 ㄝ를 나타낸다. 이 점은 국어라마자의 기본형 표기와 비슷하다. 한어병음이나 국어 주음부호 제2식의 경우도 비슷하지만 단운모 ㄝ를 굳이 표기해야 할 경우 이 발음을 ê로 적게 하여 그냥 e로 적히는 단운모 ㄜ와 구분되게 만들었다.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서는 반대로 단운모 ㄜ를 비롯해 \[ɯ̯ʌ, ə, ɤ\] 등으로 발음될 경우 ê로 적고 ㄝ는 단운모든 복합운모든 eh로 적어서 구분한다.[25]
4.3. 성조
- 2, 3, 4성은 한어병음방안의 표기 방식과 동일하다. 1성과 경성은 주음부호의 방식을 따르기 때문에, 1성은 따로 성조를 기재하지 않는 게 원칙이지만 필요할 경우 한어병음에서처럼 기재할 수는 있다. 경성은 가로쓰기로 쓰는 주음부호와 비슷하게 음절 뒤에 올려 쓰는 게 원칙인데 주음부호와 달리 그냥 점보다는 고리점을 올려 쓰는 게 원칙인 듯(예: ma˚).[26] 다만 인터넷에서는 가로로 쓰는 주음부호처럼 그냥 음절 뒤에 점을 올려 쓰는 경우나(예: ma˙), 다른 성조처럼 모음 위에 ˚를 쓰는 경우(예: må)[27]도 보인다.
4.4. 기타
- 음절 사이에는 원칙적으로 이음줄(-)을 긋는다(띄어쓰기를 한 경우는 해당 안 됨). 단 지명을 적을 때는 이음줄을 생략하는 게 원칙이다.
5. 통용병음이 남긴 것들
- 마이크로소프트는 Windows Vista를 출시하면서 ClearType 기술을 적용한 새 폰트들을 포함시켰고, 그 이후의 Windows 운영체제들과 Microsoft Office 2007 및 그 이후 버전에 기본적으로 이 폰트들을 탑재하게 되었다. 중국어 정체(번체)용 새 폰트는 '微軟正黑'(웨이롼 정헤이)체인데, 중국어 번체가 시스템 언어가 아닌 운영체제에서는 Microsoft JhengHei로 표시된다.[28] 이 JhengHei가 통용병음 표기이다. Windows Vista가 발매될 당시(2006) 통용병음이 대만의 공식 로마자 표기법이었기 때문에 폰트 이름에도 통용병음이 사용되었다. 물론 당시 MS가 통용병음을 굳이 준수해야 할 의무가 있던 건 아니지만 그냥 따랐다(마케팅상의 이유로 따른 것으로 보인다). 2년 뒤에 대만 정부가 한어병음을 채택했지만 이제 와서 Microsoft ZhengHei로 바꾸면 혼란이 생기기 때문에 지금도 Microsoft JhengHei라는 표기를 유지하고 있다.
그런데 맑은 고딕은 Malgun Gothic이다 - 다만 ZhengHei가 아니라 JhengHei로 쓴 덕분에 YaHei와 JhengHei 중 어떤 게 대륙의 신자형(간체자에 최적화) 글꼴이고 어떤 게 대만 국자 표준 자체(정체자에 최적화) 글꼴인지 헷갈릴 일이 없어서 좋다. jh는 한어병음에서 등장하지 않으므로 JhengHei라는 철자만 보고서도 이게 대만 정체자 글꼴임을 확실히 알 수 있기 때문이다.
- 마이크로소프트 Windows 7 이상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중국어(번체) 입력법은 국어 주음부호 제2식과 통용병음으로 입력할 수 있다. 성조를 숫자로 입력해야 하며, 한어병음으로도 입력이 가능하다. 스마트폰에서는 통용병음 입력기 앱이 없는데, 대만 사람들은 주음부호만으로 입력하기가 편하기 때문에 굳이 만들지 않은 것 같다.
- 대만 어학연수생들이 가장 많이 배우는 중국어 교재 '實用視聽華語(실용시청화어)'에는 주음부호, 통용병음, 한어병음이 함께 기재되어 있다. 미리 보기 이미지에서 볼 수 있다. 본래 통용병음이 앞에, 한어병음이 뒤에 병기되어 있었는데, 개정판에서 순서가 바뀌어 한어병음이 앞에, 통용병음이 뒤에 기재되어 있다. 대만에서 중국어를 배우는 외국인들도 한어병음으로 주로 배우기 때문에 또 개정판이 나오면 통용병음이 없어질지도 모른다.
6. 둘러보기
- [ 역사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역사 ||역사 전반(홍콩)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호 · 백년국치 ||
- [ 사회 · 경제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경제 ||경제 전반(홍콩 · 마카오) · GDP · 경제성장률 · 상무부(투자촉진사무국) · 재정부 · 공업정보화부 · 중국인민은행 · 세무총국 · 중국 위안 · 중국증권 감독관리위원회(상하이증권거래소 · 선전증권거래소 · 베이징증권거래소) · 홍콩증권거래소 ·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 · ECFA · AIIB · FTAAP · 세서미 크레딧 · 차이나 머니 · 아시아의 네 마리 용(홍콩) ||
- [ 문화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문화 전반 ||문화 전반(홍콩 · 마카오) · 문화 검열(검열 사례 · 할리우드 블랙아웃) · 문화여유부(문물국) · 영화(목록) · 홍콩 영화 · 상하이물) · 드라마(목록 · 문제점) · 방송(CCTV · CETV · 라디오 방송 · 홍콩 · 마카오) · 신경보 · 중앙신문(인민일보 · 환구시보 · 광명일보 · 경제일보 · 해방군보) ·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 · 명보 · 미술 · 2021년 중국 규제 · 파룬궁 · 선전물 일람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5%" {{{#!folding [ 정치 · 군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 상징 | 국기 · 국장 · 국가 · 국기가 |
정치·행정 | 정치 전반 · 오권분립 · 입법원 · 행정원(조직) · 사법원 · 헌법(중화민국 임시약법 · 동원감란시기임시조관) · 정당(범람연맹 · 범록연맹) · 총통(총통부 · 대총통선거법 · 수정대총통선거법 · 총통 전용기) · 행정구역(성 · 미수복지구) · 행정조직 · 정부총통선거 · 총선 · 지방선거 · 국민대회 | |
국가원수 | 쑨원 · 위안스카이 · 쉬스창 · 차오쿤 · 돤치루이 · 왕징웨이 · 탄옌카이 · 장제스 · 린썬 · 옌자간 · 장징궈 · 리덩후이 · 천수이볜 · 마잉주 · 차이잉원 · 라이칭더 | |
국가원수(명단) · 총통(명단) | ||
기타 정치인 | 옌시산 · 성스차이 · 우페이푸 · 리위안훙 · 장쭤린 · 후웨이더 · 옌후이칭 · 두시구이 · 구웨이쥔 · 펑위샹 · 마부팡 · 마훙빈 · 위유런 · 탕성즈 · 마훙쿠이 · 리쭝런 · 바이충시 · 룽윈 · 장쉐량 · 황싱 · 한궈위 · 장치천 · 주리룬 · 허우유이 · 쑹추위 · 커원저 · 쑤전창 · 셰창팅 · 천젠런 · 샤오메이친 | |
부총통 · 행정원장 · 입법원장 · 감찰원장 · 대성지성선사봉사관 | ||
외교 | 외교 전반 · 여권 · 양안관계(하나의 중국 · 대만 해협 위기 · 92공식 · 양안통일 · 화독 · 대독) · 중화권 · 한국-대만 관계 · 대만-일본 관계 · 미국-대만 관계(타이완 관계법 · 타이완 동맹 보호법 · 대만 보증법 · 2022년 낸시 펠로시 대만 방문 및 중국 군사훈련 사태) · 한국-대만-일본 관계(자코타 삼각지대) · 재외공관 | |
감정 | 친화 · 친대 · 반대 · 중화민국빠 · 대만빠 | |
사법 · 치안 | 사법제도 · 경찰 · 국가안전국 · 소방 · 사형제도 | |
군사 전반 | 국방부(역정서) · 대만군(육군 · 해군 · 공군 · 국민혁명군) · 계급 · 군복 · 보병장비 · 기갑차량 · 군함 · 항공병기 · 병역법 · 체대역 · 성공령 · 핵개발 · 군벌 |
- [ 역사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bgcolor=#fe0000><width=15%> 역사 ||역사 전반(민국사 · 대만사) · 대만의 민주화 운동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명 · 군벌 · 대외 전쟁 및 분쟁 ||
- [ 사회 · 경제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bgcolor=#fe0000><width=15%> 경제 ||경제 전반 · 재정부 · 경제부 · 중화민국중앙은행 · 신대만 달러 · 대만증권거래소 · 타이베이거래소 · 기업(메인보드 제조사) · 이동통신사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ECFA ||
교육 교육부 · 대학 목록 · 재대복교 교통 교통 전반 · 대만의 철도 환경 · 교통부 · 중화민국국도(중산고속공로 · 포모사고속공로) · 타이완 성도 · 공항 목록 · 항공사(중화항공 · 에바항공 · 스타럭스항공) · 타이완철로유한회사(THSR · 쯔창하오 · 구간차) · 대만의 시외버스 · 첩운(타이베이 첩운 · 타오위안 첩운 · 신베이 첩운 · 타이중 첩운 · 가오슝 첩운) · 이지카드 · 아이패스 · 아이캐시 민족 한족 · 본성인(객가) · 외성인 · 대만 원주민(아미족 · 아타얄족 · 따오족) · 인도네시아계 대만인 · 일본계 대만인 · 한국계 대만인 화교 화교(쿨리) · 차이나타운(인천 차이나타운) · 중국계 한국인(재한 화교 · 화교협회) · 중국계 미국인 · 중국계 러시아인(둥간족) · 중국계 브라질인 · 중국계 필리핀인(상글레이) ·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 중국계 베트남인 · 중국계 싱가포르인 · 중국계 태국인 · 중국계 호주인 · 중국계 일본인 · 중국계 캐나다인 · 대만계 한국인 · 대만계 미국인 · 대만계 일본인 · 대만계 캐나다인
- [ 문화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fe0000><width=15%> 문화 전반 ||문화 전반 · 영화(금마장) · 드라마 · TV방송(CTV · CTS · TTV) · 라디오 방송 · 스포츠 · 중국시보 · 빈과일보 · 미술 · 파룬궁 · 등려군 · 거류증 · 중화 타이베이 ||
[1] 유니코드에서는 이 문자를 위한 단독 코드가 할당돼 있지 않아서 점이 있는 소문자 i(U+0069) 다음에 COMBINING RING ABOVE(U+030A)를 입력하여 나타낸다. 이게 유니코드 표준이지만 일부 폰트에서는 비정상적으로 렌더링될 수 있다. 소문자 i나 j에 문자 위에 붙이는 보조 부호가 결합할 경우 i나 j의 점을 지우는 게 정석인데 일부 폰트는 이 원칙을 지키지 않는다. 이런 폰트는 다음 글자를 사용할 것.[2] 유니코드에서 소문자 i의 점을 지운 글자 ı(U+0131) 다음에 COMBINING RING ABOVE(U+030A)를 입력한 문자. 사실 이건 정석대로 입력한 게 아니다. 하지만 일부 폰트에서는 i(U+0069)에 보조 부호를 결합하면 비정상적으로 렌더링될 수 있다. 소문자 i나 j에 문자 위에 붙이는 보조 부호가 결합할 경우 i나 j의 점을 지우는 게 정석인데 일부 폰트는 이 원칙을 지키지 않는다. 이런 폰트를 위해 i 대신 ı를 사용했다. 참고로 ı라는 문자는 튀르키예어 등에서 사용되는 글자이다.[3] 현재 통용병음은 초안에서 일부 수정을 거친 것인데 그 전에는 한어병음과의 유사성이 더 높았다. 한 연구에서는 통용병음을 아예 '한어병음을 수정했다'고 표현했다.[4]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은 영국인들이 만들었고, 국어 주음부호 제2식은 대륙 국민정부 시기의 중국 대륙인들이 만든 것이며, 한어병음방안은 중국공산당 정부에서 만든 것이다.[5] 일단 중화인민공화국에서도 이것은 존중해 주는 편이다. 중화인민공화국에서 나오는 영문 문서에서도 성조 기호를 생략한 한어병음 표기인 Taibei를 고집하지 않는다. 사실 통용병음으로도 Taibei긴 하지만. 반대로 대한민국 정부에서 발행하는 영문 문서에서는 Pyongyang, Kaesong이 아닌 Pyeongyang, Gaeseong으로 표기한다.[6] 대만의 표준 중국어 관련 규범을 제정하는 심의위원들이다.[7] 마잉주는 총통이 되기 전 타이베이 시장이던 2003년에 통용병음이 국가 표준이었음에도 타이베이 내 시설물의 로마자 표기를 한어병음 기준으로 통일한 바 있다.[8] 웨이드-자일스 표기법과 국어라마자 표기법의 경우 일부 설면음과 권설음을 같은 자모로 표기하되 운모를 보고 구분하게 했었다. 통용병음과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서 이렇게 표기상 병합 대상이 된 성모들의 종류는 다르지만, 성모를 통해 구분을 한다는 점은 똑같다. 그리고 한어병음에는 운모를 표기상 병합하고 성모를 통해 구분하는 사례가 있다. 바로 n, l 뒤를 제외하고 ㄨ, ㄩ를 모두 u로 쓰는 것.[ㄭ] 일반적으로 쓰는 주음부호가 아니다. 화어통용병음의 ih나 한어병음으로 zhi, chi, shi, ri, zi, ci, si의 i 부분에 해당하는 발음을 의미한다. 기기에 따라서는 이 문자가 안 보일 수도 있는데 한자 帀과 모양이 같은 문자이다.[10] 의외로 ㄦ의 실제 발음은 '얼'보다는 '알'에 가까운 경우가 더 일반적이다. 다만 음운 체계상 '얼'이라고 보는 것.[11] 본래 중화민국 국어(궈위)에서는 이 발음이 보존돼 있지만, 중화인민공화국에서 국어를 수정한 보통화(푸퉁화)에서는 이 발음이 -ia/ya로 대체되었다. 따라서 한어병음방안 원문에는 iai가 없지만, 국어의 해당 발음을 유추하여 표기할 때 -iai/yai로 적는다. 그리고 이제 중화민국에서도 한어병음을 채택했으니 -iai/yai가 사실상 쓰이고 있다. 화어통용병음에는 당연히 처음부터 이 운모가 포함돼 있었다.[12] 즉 한어병음에서 zhi, chi, shi, ri, zi, ci, si의 i 부분.[13]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의 경우 통용병음의 ih에 해당하는 표기가 두 종류로 구분된다. 다소 복잡하니 자세한 건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문서의 설명을 참고.[14] 원래 uei인데 성모가 없으면 u를 w로 바꾼 wei, 성모가 있으면 e를 생략해서 ui가 된다.[15] 원래 iou인데 성모가 없으면 i를 y로 바꾼 you, 성모가 있으면 o를 생략해서 iu가 된다.[16] 원래 uen이어야 하지만 성모가 없으면 u를 w로 바꾼 wen, 성모가 있으면 e를 생략해서 un이 된다.[17] 원래는 ueng이어야겠지만 어두에서 u가 w로 바뀌는 규칙에 따라 weng으로 바뀜.[18] 단 중국 대륙에서는 의성어, 의태어나 감탄사로 쓰이는 글자는 성모가 없어도 ong으로 적을 수 있다고 취급한다. 예를 들어 중국 대륙의 사전에는 嗡의 발음으로 wēng과 ōng을 함께 기재한 경우들이 있다. 다만 두 발음은 표준중국어에서 변이음으로 취급되다 보니 주음부호에서는 양자의 구분을 두지 않고 ㄨㄥ으로 동일하게 기재한다.[19] 이 규칙 때문에 중국 대륙에서 嗡의 발음으로 wēng과 ōng(한어병음 기준) 모두 기재하는 것을 통용병음으로 구분해서 적기가 곤란하다. 통용병음에서는 성모가 없을 때 u(단 ong은 예외적으로 o) 앞에 w를 덧붙이거나 u를 w로 고치는 규칙을 여기에도 적용을 시켜버렸기 때문에 wong과 ong을 구분할 수 없다. 통용병음의 규칙에 따르면 wu와 u가 같은 발음인 것처럼 wong과 ong도 (명목상으로는) 같은 발음이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어병음에서는 weng과 ong이 다른 발음일 여지를 열어 뒀기 때문에 嗡의 발음으로 wēng과 ōng을 모두 기재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부분은 통용병음과 한어병음이 호환이 안 된다고 봐야 할 것이다.[20] 중국어 음운론의 전통적인 사호(四呼) 체계에서 이것을 촬구호(撮口呼) 또는 촬구류(撮口類)라고 부른다.[21] 단, 한어병음에서는 j, q, x 뒤에 ü가 올 때는 표기의 편의를 위해 두 점을 생략하여 u로 적는다.[22] 한어병음에서 ü를 쓰기 곤란한 경우 대체 표기법으로 yu로 바꿔 쓰는 경우가 있기는 하다. 한어병음 문서의 대체 표기 단락 참고.[23] 단, j, q, x 뒤에 올 때는 표기의 편의를 위해 두 점을 생략하여 un으로 적는다.[24] 단, j, q, x 뒤에 올 때는 표기의 편의를 위해 두 점을 생략하여 ue로 적는다.[25] 각종 보조 부호를 생략하지 않은 웨이드-자일스 표기에서 ê나 eh를 제외하고 e가 쓰이는 경우는 복합운모 -ien/yen(ㄧㄢ, 한어병음·통용병음: -ian/yan) 뿐이다.[26] 대만 교육부에서 만든 중문역음전환계통 시험판 홈페이지에서 통용병음의 경성 표기를 이런 식으로 적고 있다.[27] 영어 위키백과에서 현재 이렇게 표기하고 있다.[28] 중국어 간체용으로 나온 새 폰트는 微软雅黑(Microsoft YaHei, 웨이롼 야헤이)체이니 혼동에 주의할 것. 그리고 Windows Vista 출시 당시 새로 선보인 한국어 폰트는 맑은 고딕(Malgun Gothic), 일본어 폰트는 メイリオ(Meiryo, 메이리오), 로마자 폰트는 Segoe UI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