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대만 | 친중화민국 | 친대만 | 중화민국빠 | 대만빠 |
親台派, Pro-Taiwanese
1. 개요
대만을 지지하는 성향으로 우대파(友台派)라고도 불린다. 친중화민국과는 비슷하면서도 엄연히 다르다.[1] 하지만 완전히 배타적인 것은 아니고, 대만 내에서도 중화민국=대만을 지지하는 계층(화독)도 있기 때문에[2], 친대만이면서 친중화민국인 사람도 있다. 주로 범록연맹과 같은 입장을 취하며 대만 독립운동을 지지하기도 한다.2. 양안 각 세력 및 중국의 입장
2.1. 중국국민당 및 범람연맹 지지자
중국(중화권)으로서의 정체성을 갖고 있고 중국과의 양안관계 개선 및 유지를 중요시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대만 독립운동과 연관될 수 있는 친대파 성향을 좋아하지 않는다. 다만 범람연맹 내 화독파의 경우 중화민국=대만으로서의 정체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급진적인 독립주장이 아닌이상 친대파에도 우호적이다.2.2. 민주진보당 및 범록연맹 지지자
중국과 별개인 대만으로서의 정체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친대파가 대부분이다.2.3. 중국
중국이 바라는건 당연히 대만이 친중이 되는 것이며 그나마 하나의 중국을 주장하므로 인정해주는 친중화민국과는 달리 친대만은 중국 대륙에서 적대 세력으로 분류하여 경계가 심하다.3. 관련 인물
3.1. 한국
한국의 보수주의자들은 대만을 타이완으로서 좋아하는 게 아닌, 중화민국으로서 좋아하는 친중화민국파가 더 많은 편이었으며 대만 그 자체를 좋아하는 친대파는 매우 적었다. 그 당시 한국의 보수주의자들은 대만 독립이나 대만 고유의 정체성에는 전혀 관심이 없었다. 단지 '자유중국'을 지지했을 뿐이다. 당연히 대만 독립을 주장하는 진영에서는 한국 일부 보수주의자들의 이런 인식이 좋게 보이지는 않았을 것이다.다만 2010년대부터 친대파가 친중화민국파보다 많아졌다.[3] 현재 국민당의 대륙 수복이 불가능해졌고, 오히려 중화민국 정체성을 추구하는 국민당보다 타이완 정체성을 추구하는 민진당의 반중 성향이 더 심해지면서 한국의 일부 보수주의자와 일부 민주당계 지지자들이 대만의 독립을 지지하는 모습도 많이 볼 수 있다. 다만 한국과 대만의 우호를 강조할 때 중화민국이 대륙을 통치하던 시절 장제스의 한국 지원을 언급하는 등 일본이나 미국의 친대파에 비해서 한국의 친대만 인사들은 상대적으로 친중화민국의 영향을 많이 받아 화독 성향이 강한 편이다.[4] 또한 다른 서방 국가들에 비해서는 반중 성향이면서도 친대파가 아닌 중화민국빠, 친중화민국 성향도 비교적 많은 편이다.
- 조원진 - 대만, 홍콩, 일본과 연대하며 중국을 공격해야 한다라고 주장했으나 연대의 대상을 해당 국가들의 우익 정당으로 한정했는데 대만의 대표적인 우익 정당이 대만의 독립을 반대하는 중국국민당이라 친중화민국으로 볼 수도 있지만 내용을 보면 오히려 친대만에 가깝다.
- 조경태: 현직으로 있는 정치인 중에서는 여야를 통틀어서 가장 대표적인 친대만 성향의 정치인으로 반중 성향도 강한 편이다. 대만 관련으로 여러차례 회담을 가지고 대만과의 관계개선을 했다는 이유로 대만 정부에서 2016년부터 2018년까지 3개년 연속으로 조경태 의원한테 훈장을 수여한 바 있다. 2016, 2017년은 한국에서 주한 대만 대표한테서 훈장을 전달받았고 2018년에는 대만에 가서 천젠런 부총통 명의로 받았다. 현재 21대 국회에서 반중 성향이 제일 강한 국회의원 중 한명이다. 2024년에도 라이칭더 총통 취임식에 갔다 왔다.
- 김영삼: 1978년 야당 의원 시절에 대만을 방문한 것을 처음으로 대통령 퇴임 이후 2001년, 2004년, 2005년, 2007년, 2008년까지 총 5차례나 대만을 방문하여[5] 한국-대만 직항로 부활 등의 성과를 남기기도 하였다. 1993년 대통령 재직시절에는 대만과 상호대표부를 설치했다. 또한 이는 대만의 비수교국 전/현직 국가원수로서는 최다 방문이다. 2004년에는 대만은 독립국가라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
- 홍준표: TV홍카콜라 라이브에서 대만과 '재수교'하자는 답변에 나쁘지 않은 방법이라고 답변하였고, 사실상 '두개의 중국'인데 중국 눈치 때문에 대만과 단교한 것이 의리가 없었다고 하였다. 또한 홍준표는 2021년 국민의힘 대선 경선에서 '3불정책 폐기'를 내세우는 등 강한 반중 성향을 보였다.
- 안경환: 문재인 정부의 초대 법무부장관으로 내정됐다가 각종 의혹으로 사퇴하였다. 그는 교수 시절 대만을 중요하게 생각해야 한다는 기고를 여러 차례 했다.
3.2. 미국
- 로널드 레이건: 타이완 관계법에 대해 6개 보장을 체결하였다.
- 빌 클린턴: 대만에 F-16 대량판매를 승인했고, 제3차 대만 해협 위기 때는 항모전단을 파견해 대만을 보호했다.[6] 그리고 대만과의 비공식적 관계 강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2000년에는 중국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측근인 로드니 슬레이터 교통장관을 대만에 보내 양국간 우호를 강조했고, 이는 2020년 알렉스 에이자 보건장관의 대만방문 이전까지 미국의 최고위급 인사가 대만을 방문한 기록이다. 또한 대만이 WTO에 '타이완, 진먼, 펑후, 마쭈 개별관세영역'이라는 이름으로 가입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퇴임 후인 2005년과 2010년 대만을 방문했다.
- 하비 펠드먼(Harvey Feldman)[7] 미국의 전 외교관으로 미국의 주대만 대표부로 미국재대만협회를 설립하였다.[8]
- 도널드 트럼프: 2016년에 1979년 단교 37년만에 차이잉원 총통과 전화통화를 했으며 2018년에는 NASA에 초청하기도 했다.
- 마이크 펜스
- 존 볼턴: 도널드 트럼프의 다양한 친대만 외교정책을 실제로 이행했던 인물.
- 조 바이든
- 라인스 프리버스
- 마이크 폼페이오
- 제임스 매티스
- 렉스 틸러슨
- 피터 나바로
- Angrypug: 타이완 넘버원 참고
- Curvyllama: 게임 유튜버로 배틀그라운드에서 Angrypug와 똑같이 중국인 유저들에게 타이완 넘버원 드립을 날렸다. 영상
- 차오장칭(曹長青, Changqing Cao): 중국계 미국인 언론가이자 정치평론가. 원래 중국의 반체제인사였으나 미국으로 망명뒤 국적을 취득하여 대만 독립운동을 지원하고 있다.
- 토니 블링컨
3.3. 영국
- 벤 헤지스(Ben Hedges): 영국의 기자로 1985년 영국령 홍콩에서 출생했고 9세에 영국 본토의 런던으로 이주하였다. 대만의 해바라기 운동과 자신의 고향이였던 홍콩의 우산 혁명을 지지하였다. 영국령 홍콩 출신이라 하오이보(郝毅博)라는 중국어 이름을 가지고 있다.
3.4. 일본
- 아베 신조 - 대만의 위기는 일본의 위기라며 중국 침공시 대만 방어를 약속했다. 이로 인해 암살당했을 때 대만은 공식적으로 조기를 내걸고 적극 애도하기도 했다.
- 이시하라 신타로
- 나가야마 히데키(永山英樹): 2017년 2020 도쿄 올림픽에 대만을 중화 타이베이가 아닌 "대만" 그대로 참여시키자고 일본인들의 지지를 호소하고 인터넷 서명을 진행했다. 대만 뉴스 정보. 그러나 막상 올림픽 당시에는 중화 타이베이로 출전하여 성사되지는 못했다.
- 아소 다로
- 기시 노부오
- 타나베 켄지(田辺憲司): 2010년 대만의 위산에 올라가 "일본은 대만의 건국을 지지한다"는 깃발을 들어 마잉주 정부로부터 입국 금지를 당한 적이 있다. 이후 차이잉원 정부로부터 입국 금지가 해제되어 대만 독립을 지지하기 위해 6월에 대만으로 다시 들어왔었다.
- 아사노 카즈오(浅野和生): 일본의 정치학자로 대만관계법의 일본판을 연구하려하였으며 천수이볜을 만난 적도 있었다.
- 진메이링(金美齡): 1934년 대만일치시기 출생의 대만계 일본인으로 식민지 시절에 대만 독립운동을 한 적이 있으며 중화민국 총통 정책고문을 지내었다. 이후 민주진보당 소속이였으나 2009년에 일본으로 귀화하였다.
3.5. 체코
- 즈데네크 흐르지프(Zdeněk Hřib): 체코 프라하 시장으로 2019년 중국 베이징과의 자매결연을 끊고 대만을 방문해 차이잉원 총통을 만나는 등 친대 성향이 강하다.
- 밀로시 비스트르칠(Miloš Vistrčil): 체코 상원의장으로 2020년 중국의 반발을 상큼하게 무시하며 사절단을 이끌고 대만을 방문해 입법원에서 연설을 하고, 유시쿤 입법원장, 차이잉원 총통과 회담을 했다.
3.6. 호주
- 위안홍빙(袁红冰, Yuan Hongbing): 중국계 호주인 법학자이자 소설가. 원래 중국의 반체제인사였으나 호주로 망명하여 국적을 취득했다. 이후 대만 공화국의 건국을 주장하고 있다.
4. 관련 단체
- 미국
- 의회 대만 연합(Congressional Taiwan Caucus): 미국 하원의 친대만 단체.
- 상원 대만 연합(Senate Taiwan Caucus): 미국 상원의 친대만 단체.
- 공화당-국공전쟁때부터 민주당에게 대만군을 지원하라는 압력을 넣었으며 지금도 대만에 호의적이다.
- 유럽
- 일본
- 대만 건국 응원단(台灣建國應援團): 일본의 친대만 단체.
5. 관련 운동
- 셰셰 대만 계획(謝謝台湾計画):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당시 일본을 지원한 대만에게 감사를 표하기 위해 감사문을 상점 등에 달아놓았던 운동이다.
6. 같이 보기
[1] 구분법은 간단하다. 대륙 수복을 주장하던가 대만을 중국(중화민국)으로 여기면 친중화민국이고 독립을 주장하면 친대파다.[2] 대표적으로 차이잉원 총통이 이 성향을 가지고 있다.[3] 중공 정권은 싫어하지만 중국 문화를 좋아하고 양안관계에 대한 지식도 많은 경우가 아닌 이상 특히 청년 세대일수록 친중화민국보다 친대파의 비율이 많다. 단교 이후에 태어난 한국인들은 대만을 중화민국이 아닌 대만 그 자체로 바라보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다. 2022년 기준 60대 이상은 뉴스에서 '자유중국'이라는 단어를 들어본 적이 있기에 대만을 당연히 중국이라 인식했으나, 1990년대 이후로는 중공을 중국이라고 부르다 보니 대만은 중국이라 부르지 않게 되어서이다. 즉 과거에는 중공을 중국이라고 부르는 것 자체를 친중공으로 인식하였는데, 지금은 중공을 중국이라고 부르는 반중공파도 많다.[4] 다만 민진당 화독파들은 중화민국의 건국자인 쑨원은 인정하지만 장제스는 파쇼 독재자라고 매우 부정적으로 본다.[5] 현직 시절에는 방문한 적이 없다. 현직 대통령이 대만을 방문하면 그때나 지금이나 중국이 매우 반발하기 때문이다.[6] 이후 중국을 방문해 하나의 중국 원칙을 지지한다는 말을 하기도 했다.[7] 중화권 이름은 페이하오위(費浩偉)다.[8] 사실상 주 대만 미국 대사관으로 기능하고 있다.[9] 1996년 마거릿 대처가 전직 영국 총리 자격으로 대만을 방문한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