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2 11:06:06

아미족

아미족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오스트로네시아족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민족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75b2dd> 대만 원주민 부눈족 | 아미족 | 아타얄족 | 파이완족
말레이-폴리네시아인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75b2dd> 말레이계 다약 | 따오족 | 마두라인 | 마카사르인 | 말라가시인 | 말레이인 | 모로인 | 미낭카바우 | 바탁 | 반자르인 | 반튼인 | 발리인 | 부기스인 | 부퉁인 | 비콜라노인 | 비사야인 | 사마 바자우 | 사삭인 | 순다인 | 숨바와인 | 아체인 | 오랑 라우트 | 일로카노인 | 자바인 | 찌아찌아인 | 참족 | 카다잔두순 | 카팜팡안인 | 타갈로그인 | 테툼족
멜라네시아인* 니바누아투 | 솔로몬 제도인 | 카낙인 | 피지인
미크로네시아인 나우루인 | 마샬인 | 차모로인 | 추크인 | 카핑인 | 캐롤라인인 | 키리바시인 | 팔라우인
폴리네시아인 니우에인 | 라파 누이인 | 마르키즈인 | 마오리족 | 사모아인 | 아누타족 | 타히티인 | 토켈라우인 | 통가인 | 투발루인 | 하와이 원주민
국가 및 지역
독립국 파일:나우루 국기.svg 나우루 |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 |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마셜 제도 국기.svg 마셜 제도 |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 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기.svg 미크로네시아 연방 |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 파일:키리바시 국기.svg 키리바시 |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 파일:투발루 국기.svg 투발루 | 파일:팔라우 국기.svg 팔라우 |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자치 지역 및 다수 거주지 파일:괌 기.svg | 파일:난터우현 휘장.svg 난터우현 | 파일:누벨칼레도니 기.svg 누벨칼레도니 | 파일:니우에 기.svg 니우에 | 파일:태국 국기.svg 대 빠따니 | 파일:미국령 사모아 기.svg 미국령 사모아 | 파일:북마리아나 제도 기.svg 북마리아나 제도 | 파일:왈리스 푸투나 기.svg 왈리스 푸투나 | 파일:이스터 섬 기.svg 이스터 섬 | 파일:코코스 제도 기.svg 코코스 제도 | 파일:쿡 제도 기.svg 쿡 제도 | 파일:타이둥현 휘장.svg 타이둥현 | 파일:토켈라우 기.svg 토켈라우 | 파일:프랑스령 폴리네시아 기.svg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 파일:화롄현 휘장.svg 화롄현 | 파일:하와이 주기.svg 하와이
언어 및 문화
언어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신화 말레이 신화 | 멜라네시아 신화 | 미크로네시아 신화 | 폴리네시아 신화
첨자 *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를 쓰는 멜라네시아인에 한함 }}}}}}}}}

파일:백일문.svg 대만의 민족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족
본성인(내성인)
민남인
신주민
}}}}}}}}}

동아시아인 · 북아시아인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국·한국계
한민족 한국계 러시아인 한국계 일본인 조선족
중국 본토·타이완 섬
한족 객가 경파 고산족 기낙족
나시족 노족 덕앙족 독룡족 동족
둥샹족 모남족 모쒀족 묘족 무로족
바이족 보미족 보안족 비엣족 사족
수이족 아창족 여족 와족 요족
유고족 율속족 이족 일본계 대만인
일본계 중국인
좡족
징족 카이펑 유대인 태족 토가족 포랑족
하니족 후이족 흘로족
티베트
강족 살라르족 토족
만주·사할린
나나이족 네기달족 니브흐 다우르족 만주족
어웡키족 에벤족 오로치족 오르촌족 우데게족
울치족 윌타
신장 위구르 자치구
러시아계 중국인 시버족
일본 열도
야마토 민족 러시아계 일본인 류큐인 아이누
몽골
몽골인 우량카이족 차탕족
북아시아
러시아인 만시인 부랴트인 사모예드족 셀쿠프인
소요트 쇼르인 시베리아 타타르 알류트 알타이인
야쿠트인 유카기르 유픽 응가나산인 이텔멘족
중국계 러시아인 추반인 축치인 출름 칼미크인
케레크 케트족 코랴크인 토파 투바인
하카스인 한티인
※ 현존 민족만을 표기
※ 다른 지역·국가의 민족 둘러보기 }}}}}}}}}

1. 개요2. 상세

[clearfix]

1. 개요

파일:24676677.jpg
Ami/Amis. 대만 원주민 민족의 하나로 대만 정부에서 인정한 16개 원주민 민족 중 하나다. 총 인구 약 20만여 명으로 대만 원주민 민족 중 가장 인구가 많은 민족이다.

Ami는 그들의 언어로 북쪽을 의미하며, 아미족은 스스로를 팡차(Pangcah)라고 한다. 대만일치시기에 일본 식민지 당국이 행정상 기록을 아미라고 써놔서 이렇게 되었는데 왜 아미로 기록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도 확실한 설이 없다. 중국어로는 阿美族(아메이족).

2. 상세

전통적으로 타이완 섬 동부 화롄타이둥의 좁은 평야지대에 살아왔지만 오늘날에는 산업화, 도시화의 영향으로 대도시에서도 아미족을 종종 볼 수 있다. 이들은 아미어라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를 사용하는데, 아미어는 사용자가 비교적 많아 대만에서도 다른 원주민 언어에 비해 존중을 받는다. 가령 대만 동부의 철도 안내방송에서는 아미어 방송도 종종 들을 수 있다.

아미족은 전통적 모계 사회어머니의 권위가 아버지보다 강하며, 모계사회에서 잘 나타나는 특징으로서 자녀의 성(姓)이 어머니를 따르게 된다. 그러나 어머니의 성을 이어받는것이 아닌 어머니의 이름(名)이 자녀의 성이 된다. 이것으로 아미족 마을 안에서는 누가 누구의 자녀인지를 쉽게 알 수 있다.[1] 중화민국이 1945년에 타이완 섬을 접수하면서 이전부터 살아오던 아미족에게 한자 이름을 만들게 하였는데, 이에 수 많은 아미족 가정에서 자신이 좋아하는 글자를 대충 성으로 삼았다. 이 때문에 아미족 노부부들은 성이 같은 경우가 많다. 비록 정부에서 한자 이름을 도입한 후 오랜 시간이 흘렀으나 아직도 많은 아미족 자녀들은 자신의 한자 이름과 아미족식 이름을 함께 사용하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대만 안에서는 비교적 숫자가 많은 원주민이라 널리 알려진 대만 원주민 중에서는 아미족 출신이 많다. 대표적으로 대만 첫 올림픽 메달리스트인 마이상 칼리무드를 비롯해 장타이산, 린즈성, 장즈셴, 가오궈후이, 왕웨이중, A-Lin 등이 아미족 출신. 특히 야구판은 아미족이 꽉 잡고있다. 장타이산, 양다이강, 양야오쉰, 장이는 아예 친척 사이고, 그 외에도 왕성웨이, 장정웨이, 천홍원 등 국대급 선수 상당수가 아미족. 이러다보니 여행 유튜버들이 만난 대만의 아미족 스스로도 "아미족은 스포츠계에서 두각을 나타내요"라고 말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

타이루거 국가공원 관광 패키지 코스를 따라갈 경우 협곡 관광이 끝난 후 화롄(신청 향)에 있는 전용 공연장에서 이들의 전통 춤 공연을 볼 수 있다. 그런데 정작 태로각 협곡 안에 살던 사람들은 아미족이 아니라 트루쿠(타로코)족이랑 아타얄족이다(...) 물론 아미족도 화롄을 경계로 바로 이웃에 살고 있던 부족이긴 한데, 아미족 수가 다른 원주민들보다 압도적으로 많다 보니....


[1] 가령 어머니의 이름이 '아가사와 리' 라면, 그 자녀의 이름은 '리 ~~~~' 가 되는 식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5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