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1 02:32:17

주더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주덕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충청북도 충주시의 행정구역에 대한 내용은 주덕읍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휘장.svg
중국 인민해방군 원수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de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FFFFF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중국 대원수 견장.png 대원수
大元帅
}}}
임명 사례 없음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중국 원수 견장.png 원수
元帅
}}}
녜룽전 · 뤄룽환 · 류보청 · 린뱌오 · 쉬샹첸 · 예젠잉 · 주더 · 천이 · 펑더화이 · 허룽 }}}}}}}}}}}}}}}
주더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중국 국장.svg
중화인민공화국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f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FFF
초대 제2대 대행
류사오치 주더 쑹칭링
제3대 제4대 제5대
예젠잉 펑전 완리
제6대 제7대 제8대
차오스 리펑 우방궈
제9대 제10대 제11대
장더장 리잔수 자오러지 }}}}}}}}}}}}}}}

파일:중국 국장.svg
중화인민공화국 부주석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f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FFF
중화인민공화국 중앙인민정부 부주석(1949년-1954년)
주더 류사오치 쑹칭링 장란 가오강 리지선
중화인민공화국 부주석(1954년-현재)
제1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제6대
주더 쑹칭링 우란푸 왕전 룽이런 후진타오
둥비우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
쩡칭훙 시진핑 리위안차오 왕치산 한정
<colbgcolor=#ee1c25> 주석 }}}}}}}}}}}}}}}

파일:중국 공산당 문장 옐로.svg
중국공산당 중앙기율검사위원회 서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f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FFFFFF
초대 제2대 제3대
왕허보 류사오치 리웨이한
제4대 제5대 제6대
왕뤄페이 주더 둥비우
제7대 제8대 제9대
천윈 차오스 웨이젠싱
제10대 제11대 제12대
우관정 허궈창 왕치산
제13대 제14대
자오러지 리시
}}}}}}}}}}}}}}} ||

파일:중국 국장.svg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f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중앙인민정부 인민혁명군사위원회 부주석
(1949년-1954년)
주더 류사오치 저우언라이
펑더화이 청첸 린뱌오
가오강 류보청 허룽
천이 뤄룽환 쉬샹첸
녜룽전 예젠잉
중화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부주석
(1954년-1975년)
주더
(제1기)
펑더화이
(제1ᆞ2기)
린뱌오
(제1ᆞ2ᆞ3기)
류보청
(제1ᆞ2ᆞ3기)
허룽
(제1ᆞ2ᆞ3기)
천이
(제1ᆞ2ᆞ3기)
덩샤오핑
(제1ᆞ2ᆞ3기)
뤄룽환
(제1ᆞ2기)
쉬샹첸
(제1ᆞ2ᆞ3기)
녜룽전
(제1ᆞ2ᆞ3기)
예젠잉
(제1ᆞ2ᆞ3기)
청첸
(제1ᆞ2ᆞ3기)
장즈중
(제1ᆞ2ᆞ3기)
푸쭤이
(제1ᆞ2ᆞ3기)
룽윈
(제1기)
웨이리황
(제2기)
차이팅카이
(제2ᆞ3기)
뤄루이칭
(제3기)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1983년-)
쉬샹첸
(제6기)
예젠잉
(제6기)
양상쿤
(제6ᆞ7기)
자오쯔양
(제7기)
류화칭
(제8기)
츠하오톈
(제8ᆞ9기)
장완녠
(제8ᆞ9기)
후진타오
(제9ᆞ10기)
궈보슝
(제10ᆞ11기)
차오강촨
(제10기)
쉬차이허우
(제10ᆞ11기)
시진핑
(제11기)
판창룽
(제12기)
쉬치량
(제12ᆞ13기)
장유샤
(제13ᆞ14기)
허웨이둥
(제14기)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

파일:중국 공산당 문장 옐로.svg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f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000000,#e5e5e5
중국공산당 중앙혁명군사위원회 부주석
(1937년-1949년)
주더
(제6ᆞ7기)
저우언라이
(제6ᆞ7기)
왕자샹
(제6ᆞ7기)
류사오치
(제6ᆞ7기)
펑더화이
(제7기)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1954년-)
린뱌오
(제8ᆞ9기)
허룽
(제8기)
녜룽전
(제8ᆞ9ᆞ10ᆞ11ᆞ12기)
천이
(제8ᆞ9기)
류보청
(제8ᆞ9ᆞ10ᆞ11기)
쉬샹첸
(제8ᆞ9ᆞ10ᆞ11ᆞ12기)
예젠잉
(제8ᆞ9ᆞ10ᆞ11ᆞ12기)
덩샤오핑
(제10ᆞ11기)
양상쿤
(제12ᆞ13기)
자오쯔양
(제13기)
류화칭
(제13ᆞ14기)
장첸
(제14기)
츠하오톈
(제14ᆞ15기)
장완녠
(제4ᆞ15기)
후진타오
(제15ᆞ16기)
궈보슝
(제16ᆞ17기)
차오강촨
(제13기)
쉬차이허우
(제16ᆞ17기)
시진핑
(제17기)
판창룽
(제18기)
쉬치량
(제18ᆞ19기)
장유샤
(제19ᆞ20기)
허웨이둥
(제20기)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
<colbgcolor=#ce1126><colcolor=#ffde00> 중화인민공화국 전국인민대표대회 제2대 상무위원장
주더
[ruby(朱, ruby=Zhū)][ruby(德, ruby=Dé)](주덕) | Zhu De
파일:Zhu_De.jpg
본명 주다이전 (朱代珍, 주대진)
출생 1886년 12월 11일
사천성 천북도 순경부 의롱현
(現 중국 쓰촨성 난충시 의롱현)[1]
사망 1976년 7월 6일 (89세)
중국 베이징시
묘소 바바오산 혁명공묘
재임기간 초대 중앙인민정부 부주석
1949년 10월 1일 ~ 1954년 9월 27일
초대 공화국 부주석
1954년 9월 27일 ~ 1959년 4월 27일
제2대 상무위원장
1959년 4월 18일 ~ 1976년 7월 6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e1126><colcolor=#ffde00> 옥계 (玉阶)
학력 쿤밍강무학당
종교 무종교 (무신론)
최종 계급 원수 (중국 인민해방군)
주요 참전 제1차 국공내전
제2차 국공내전
}}}}}}}}}

1. 개요2. 생애
2.1. 초기2.2.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전2.3.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3. 치상위원회 구성4. 가족5. 기타6. 주요 경력7. 매체에서

[clearfix]

1. 개요

중화민국 국민혁명군 출신의 공산주의 혁명가이며 중화인민공화국군인이다.

중국 인민해방군의 실질적인 창건자라고 할 수 있는 인물. 그 역시 마오쩌둥 못지 않은 드라마틱한 인생을 살았다.

2. 생애

2.1. 초기

원래는 한학을 공부하던 신사였고 향시에도 급제한 거인이었으나, 서양학문에 동경을 품고 청두사범학교에서 공부해 체육교사가 되었다. 그런데 당시 정세가 심상치 않자 윈난의 쿤밍강무학당[2]에 들어가서 군사학을 공부하고 군인이 되었다.[3] 이후 신해혁명이 터지자 차이어[4] 휘하의 혁명군에 가담하였다. 1915년 위안스카이홍헌제제를 단행하여 호국전쟁이 발발하자 차이어 휘하로 호국군에 참가해 그 능력을 인정받아 윈난군 소장까지 진급한다.

주더는 당시의 많은 중국인들과 마찬가지로 아편중독에다가 많은 을 거느린 구시대적 인물이었으나, 어느날 갑자기 참혹한 농민의 처지에 동정심을 느껴 다른 인생을 살기로 결심한다. 이후 아편도 끊고 모든 지위와 재산을 버린 채 공부를 하기 위해 1922년 독일유학을 갔다. 독일의 괴팅겐에서 유학하며 철학역사를 공부했으며 황포군관학교 교육장 덩옌다 등과도 교류했으나 1925년 중국인 유학생들의 소요를 조직했다는 이유로 독일에서 추방되었고, 이후 저우언라이의 추천을 받아 중국공산당에 입당하였다. 독일에서 추방된 후 소련에 가서 군사학을 잠시 공부하다가 1926년 중국으로 돌아왔다. 주더의 귀국 전인 1924년 1차 국공합작이 성사되면서, 주더는 국민혁명군지휘관이 되어 국민당의 1차 북벌에 참여하였다.

2.2.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전

1927년 1월 중국 공산당과 국민당 좌파는 장제스와 국민당 우파를 배제한 채 우한에 독자적인 우한 국민정부를 수립하였다. 이에 1927년 4월 국민혁명군의 상하이 점령 직후 장제스와 국민당 우파는 국민당 내의 공산당원을 학살하는 4.12 상하이 쿠데타를 벌여 국공합작의 붕괴를 선언했다. 주더도 체포되었으나 요리사를 가장하여 탈출할 수 있었다.[5] 이때 임신 중이던 아내 오약란(伍若兰)이 국민당 정부군에게 붙잡혀 사형당한다. 1927년 국공결렬이 일어나고 중국 공산당이 취추바이 노선에 따라 무장폭동을 준비하자 1927년 8월 1일 난창 폭동에 참여했지만 패주했다. 이후 유격전을 벌이면서 1만 명의 병력을 확보하였다. 1927년 11월, 마오쩌둥이 정강산에 근거지를 마련했다는 사실을 알고 휘하의 마오쩌탄을 파견하여 마오쩌둥과 접촉하였다.

1928년 4월, 국민당군의 추격을 피해서 마오쩌둥추수폭동 이후에 점거한 정강산(井岡山)[6] 해방구에 자신의 병력을 데리고 합류하여 정강산 투쟁을 전개했다. 이때부터 공산당군은 주마오준(朱毛軍)으로 불리기도 했다. 마오는 이론적인 전략전술론에는 일가견이 있었으나, 전문적으로 군사학을 공부한 적이 없기 때문에, 공산군의 실질적인 지휘는 주더가 맡았다.[7] 그의 지휘가 탁월했기 때문에 "축지법을 한다", "도술을 부린다"라는 소문도 생겨났다고. 그리하여 4차례에 걸친 국민당군의 토벌에 대해 번번히 대승리하고, 주마오준은 15만까지 성장하였다.

이후 정강산 소비에트홍군이 대군이 되어 장기적 항전을 하기엔 좁았으므로 주마오준은 루이진으로 근거지를 옮겨 강서 소비에트를 건설했다. 중앙 소비에트라고도 불린 이 강서 소비에트는 창사 폭동 이후 국민정부의 토벌대상이 되었으나 1930년 12월 제1차 초공작전의 격퇴를 시작으로 1931년 제2차 초공작전, 제3차 초공작전도 격퇴하여 1931년 11월, 중화소비에트공화국을 선포하기에 이른다.

하지만 혁명의 노선 문제를 놓고 공세적인 중심 도시 공세 전략을 주장한 28인의 볼셰비키를 비롯한 상하이 임시 당중앙 및 코민테른 고문 오토 브라운과 유격전을 주장한 마오쩌둥 사이에 충돌이 발생했고 결국 마오쩌둥은 루이진으로 이동한 당중앙에게 숙청당했다. 당중앙은 주더를 총사령관으로, 저우언라이를 총정치위원으로 임명했지만 실질적인 지휘권은 오토 브라운이 잡고 있었다. 제4차 초공작전까지는 열하사변의 발생 덕분에 넘길 수 있었으나 외부 사정이 정리된 후 한스 폰 젝트를 비롯한 독일 고문들의 지도를 받은 제5차 초공작전에서는 도무지 견딜 수 없어 결국 중화소비에트공화국은 붕괴되었다.

이 때문에 공산군은 중국을 반 바퀴 돌아 서북쪽의 오지로 도피하였고, 이를 대장정이라고 한다. 이 대장정 기간 중인 1935년 공산당 지도부들이 모두 참여한 준의 전원 회의에서 마오쩌둥은 주도권을 회복하였다. 주더는 대장정 중 장궈타오를 따라가기도 하였으나[8] 결국 마오쩌둥과 합류한다.

한편 주더는 전처를 잃은 후 대장정 중에 중국공산당에 입당한 여성 당원 캉커칭(康克淸)과 재혼하여, 1976년 노환으로 사망할 때까지 둘째 부인 캉커칭과의 결혼생활을 유지했다.

2.3.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파일:external/history.cultural-china.com/more_info842c752c949b25d58265.jpg
함께 천안문 광장에서 열병식을 관람 중인 주더(왼쪽) 마오쩌둥(오른쪽)

이후 주더는 이미 나이가 60대였기 때문에 일선 야전지휘는 하지 않았지만, 공산당군을 총지휘하면서 항일전쟁의 유격전이나 국공내전의 승리에 큰 기여를 했다. 그리하여 1955년 인민해방군에 계급이 도입되었을 때 10대 개국원수 중 서열이 1위였다(2위가 펑더화이, 3위가 린뱌오).

1949년 중공 정권 수립 이후에는 고령을 이유로 정치 일선에서는 물러나 있었으며, 권력에 별 뜻을 두지 않는 행보를 보였다. 다만 군부 서열 1위이자 당의 원로로 예우받으며 1956년 9월, 8차 당대회에서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부주석 및 정치국 상무위원에 선출되었다. 명망이 높은 인물이었기에 1959년 마오쩌둥이 국가주석 직을 내려놓을 때에도 후임으로 우선적으로 거론되었으나 나이가 많다며 고사하고 류사오치에게 양보하였다. 대신 의전서열은 높으나 업무가 많지 않고 상징적인 직책인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을 맡아 76년 사망할 때까지 그 자리에 있었다.
파일:external/himg2.huanqiu.com/20130417103413826.jpg
주더(왼쪽) 저우언라이(오른쪽)

권력에 별로 관심이 없었고 마오쩌둥에 순순히 따르는 인물이었기 때문에 펑더화이, 린뱌오, 허룽과 같은 다른 원수들보다 험한 꼴은 덜 보았지만 1959년 루산회의에서 대약진운동인민공사를 비판한 펑더화이가 실각하는 것을 보고 "우리가 언제 한솥밥을 먹었던 사람들이라고 믿겠느냐."라고 하는 등 마오쩌둥의 매서운 숙청에 대해 불만을 표시했다.

결국 문화대혁명의 광풍이 불어닥치자 주더와 같은 명망높은 원로조차 무사하지 못했다. 조반파 홍위병들은 주더의 과거 전력을 들먹이며 그를 군벌 찌끄러기라고 비방했다. 1967년 공안부장 셰푸즈가 주도한 대규모 조사는 주더가 1927년 난창 폭동(=남창기의) 실패 이후 국민당에 투항한 반역자라고 고발했으며, 주더가 2월 역류로 실각한 원수들에게 우호적인 발언을 한 것을 트집잡아 마구 비난하며 "일관되게 마오 주석을 반대한 야심가이자 황제를 꿈꾸는 자"라고 공격했다. 심지어 정강산 투쟁 당시의 주더의 역할을 삭제하고 사실 이것을 린뱌오가 한 것이라고 하는 역사왜곡이 자행되기도 했다.

그러나 주더를 반역자로 몰려는 시도는 마오쩌둥조차 황당한 소리라 여겼기 때문에 불발되었다. 당시 마오쩌둥은 베이징 위수사령관 푸충비로부터 주더를 타도하자는 대자보가 붙어있다는 말을 듣고, 주더와 자신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사이라면서 어이없어 했다고 한다. 1974년 펑더화이가 끝내 숨지고 그가 죽기 전 마오쩌둥과 주더에게 마지막으로 만나게 해달라고 간청했다는 것을 알게 되자, 주더는 "너희들은 왜 내가 펑더화이 동지를 보지 못하게 했느냐? 죽어가는 사람이 무엇을 하겠느냐? 무엇이 두려웠느냐?"라고 울부짖었다고 한다.

그나마 대약진운동 실패로 마오쩌둥에게 정책 철회를 요구하다 실각당해 조리돌림을 겪은 펑더화이나 허룽[9], 마오쩌둥 암살을 계획하다 실패하여 소련으로 망명하던 중 몽골 영공에서 비행기가 추락해서 죽은 린뱌오보다야 말할 것도 없고 2월 역류로 고생한 천이, 쉬샹첸, 녜룽전, 예젠잉보다 곱게 살았고 1976년 7월 6일, 마오가 사망하기 두 달 전에 사망했다. 향년 89세. 사망 직전, 저우언라이의 시신 앞에 오만불손하게 구는 장칭을 보고 참다 못해서 "당신은 인간도 아니다!"라고 독설을 퍼붓기도 했다.

3. 치상위원회 구성

  • 위원: 마오쩌둥, 화궈펑, 왕훙원, 예젠잉, 장춘차오, 웨이궈칭, 류보청, 장칭, 쉬스유, 지덩쿠이, 우더, 왕둥싱, 진영귀(陈永贵), 천시롄, 리셴녠, 리더성, 야오원위안, 오계현(吴桂贤), 소진화(苏振华), 예지복(倪志福), 사이부딘 아지지(새복정, 赛福鼎), 쑹칭링, 궈모뤄[10], 쉬샹첸, 녜룽전, 천윈, 탄전린, 리징취안, 장정승(张鼎丞), 채창(蔡畅), 우란푸, 아푀 아왕직메(阿沛·阿旺晋美)[11], 주건인, 허덕형(许德珩), 호궐문(胡厥文), 이소문(李素文), 요련울(姚连蔚), 덩잉차오[12], 조일구(曹轶欧), 강극청(康克清)[13], 쑤위(粟裕), 왕전, 위추리, 곡목(谷牧), 손건(孙健), 심안빙(沈雁冰), 강화(江华), 김조민(金祖敏), 사정의(谢静宜), 양파란(杨坡兰), 양청우, 양필업(梁必业), 장종손(张宗逊), 샤오징광, 마저(马宁), 장요사(张耀词), 지펑페이, 오경동(吴庆彤), 호위(胡炜), 임려온(林丽韫), 채소(蔡啸), 주온산(朱蕴山), 스량, 호유지(胡愈之), 샤첸리, 계방(季方), 황정신(黄鼎臣), 주배원(周培源), 전부달(田富达).

4. 가족

아내가 무려 6명이다. 하지만 자식은 1남 1녀뿐이다. 둘째부인이 아들, 넷째부인이 딸을 낳았다.

넷째부인은 국민당에 매수되어 수백명의 공산당원의 개인정보를 넘겼고 공산당 요원들이 총으로 처단하려고 했으나 국민당 요원들의 보호로 한쪽 눈의 실명에 그쳤고 이후의 행적은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넷째부인의 딸은 자신의 회고록에서 어머니를 자주 원망했고 절대 용서할 수 없다고 언급했다. 홍군의 여성교관이었던 다섯째 부인은 국민당군에 잡혀 참수당했다. 여섯째 부인은 25살 연하이며 홍군 지휘관으로서 참전했고 이후 여성과 아동을 위한 활동에 전념하며 11~12기 중앙위원, 5~7기 전국정협 부주석을 맡았다.

아들은 열차 기관사로 일했다. 장손은 연주가로 활동했다. 둘째손자는 공군 소장이다. 셋째손자는 해군장비부 부부장을 지냈다. 넷째손자는 폭행죄로 25살 때 사형당했다. 손녀는 간호사관이다.

딸은 베이징사범대학에서 러시아어 교수를 지냈다. 외손자인 류젠은 인민해방군 소장으로 근무중이다.

5. 기타

중국 통일을 위한 패권전쟁에서 군사 부문의 실질적인 지휘를 담당했고, 통일 이후에도 다른 개국공신들과는 달리 정치적인 숙청을 겪지 않고 원만히 살았다는 점에서 초한대전전한시대의 조참과 종종 비교된다.

펑더화이를 동생처럼 아끼고 친한 사이었지만 그의 힘으론 문화대혁명 당시 박해받는 펑더화이를 숙청의 손아귀에서 구할 수가 없었다.

말년에도 꽤 정정했으나 사망 보름 전인 1976년 6월 21일 말콤 프레이저 호주 총리를 만났는데 1시간 동안 에어컨을 쐬면서 기다리다 감기에 걸렸다. 그리고 그 감기가 악화되어 회복하지 못하고 사망했다.

6. 주요 경력

중화인민공화국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위원장
초대 2대 대행
류사오치 주더
(1959년 4월 28일~ 1976년 7월 6일 )
쑹칭링
중화인민공화국 중앙인민정부 부주석
파일:중국 국장.svg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1대 제1차 전국인민대표대회 개최
주더
(1949년 10월 1일 ~ 1954년 9월 27일)
중화인민공화국 국가원수[14]
대행 대행 대행
둥비우 주더
(1968년 10월 31일 ~ 1975년 1월 17일)
쑹칭링
중국 인민해방군 총사령관
초대
주더
(1946년 11월 28일 ~ 1954년 9월 27일)
중국공산당 중앙기율검사위원회 위원장
3대 4대 5대
리웨이한 주더
(1949년 9월 ~ 1955년 3월)
둥비우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부주석
8차 전국대회 9차 전국대회
주더, 류사오치, 저우언라이, 천윈, 린뱌오[15]
(1956년 9월 ~ 1966년 8월)
린뱌오

7. 매체에서

KBS 드라마 여명의 그날 양택조
파일:건국대업주더.jpg
영화 건국대업에 등장한다. 배우 왕우푸(王伍福)가 분했다.

파일:건군대업주덕.jpg
한국에서 후난성 전투로 개봉한 영화 건군대업에도 등장한다. 배우 황지충(黃志忠)이 분했다.

호이4에서 중화민국 군사장관으로 등장한다. 공격력 10%를 높혀주는데 사진도 실제와 안맞고 해괴한 사진을 쓴다. 그나마 1.5패치 이후 초상화도 받았고 홍군 지휘관에도 주더가 추가되긴 했는데 중화민국 군사장관진의 주더는 그대로다. 그리고 중화민국 쪽 사진은 수정도 안돼서 여전히 해괴한 사진을 쓴다.

카이저라이히(하츠 오브 아이언4)에선 운남내전에 승리하면 국민당 좌파 개조동지회 소속으로 등장한다.


[1] 仪陇县, Yílǒng Xiàn: 이룽셴^^국어원 표기법[2] 훗날의 윈난육군강무당.[3] 동기로 주페이더가 있다.[4] 신해혁명 당시 동맹회의 총사령관이자 공화파 군인. 윈난과 쓰촨지방을 해방하였고 이후 황위에 오른 위안스카이에 대해 휘하의 윈난군을 호국군으로 개명하고 제3차 혁명을 일으켜 위안스카이를 몰아내지만 본인도 제3차 혁명이 성공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결핵으로 사망. 주더는 인생의 상반기는 차이어에게, 하반기는 마오쩌둥 등에게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5] 이때 붙은 별명이 주방장이였다.[6] 여담으로 이문열은 정강산(징강산)이 수호전양산박을 모델로 하고 있다고 보았다. 실제로 마오쩌둥은 대장정 당시에도 수호전을 가지고 다니며 읽었을만큼 수호전이 표상하는 민중의 반항에 자기가 이끄는 홍군 세력의 항쟁을 투영하고 있었다. 지리의 문제가 아니라 현대의 양산박으로 민중들에게 각인되기를 바란 것.[7] 공적으로도 마오쩌둥은 정치위원 역할을 맡았지만, 사적으로도 이때 마오쩌둥은 홍군 전사 출신이던 허쯔쩐과 연애하는 중이었기 때문에 군내에서 '주 군장(军长)은 군량을 나르기에 열심이고, 마오 위원(委员)은 연애에 열심이네' 같은 풍자적인 노래가 불렸다고도 한다. 중국군에서는 정치장교를 정치위원라고 하며 줄여서 위원이다.[8] 장궈타오를 지지해서 따라간 것이 아니다. 주더가 장궈타오의 부대로 전속해 있었을 당시, 마오와 장은 전략을 놓고 심각한 갈등을 빚었는데, 병력이 많았던 장은 마오의 부대를 기습해서 체포-처형하려 했다. 이 계획을 안 마오쩌둥은 장궈타오에 알리지 않고 먼저 섬서성을 향해 출발했고, 이 과정은 비밀리에 실행되었기 때문에 장궈타오 아래로 전속해 있던 주더는 계속 장궈타오와 함께 행동했다. 하지만 장궈타오 부대는 국민당의 집중공격을 받아 붕괴되고 주더와 류보청이 지속적으로 장궈타오에게 마오의 뒤를 따를 것을 요구하여, 장궈타오의 부대도 결국 마오의 뒤를 따르게 되었다. 장궈타오는 장정 중에 병력을 모두 잃었기 때문에 옌안에서는 더이상 마오에게 반항할 수 없었다.[9] 펑더화이는 병사, 허룽은 옥사.[10] 郭沫若/곽말약. 1892~1978. 중국의 문화평론가.[11] ང་ཕོད་ངག་དབང་འཇིགས་མེད་. 1910~2009. 티벳인이며 티베트 자치구 인민위원회 주석이었다.[12] 鄧穎超/등영초. 1904~1992. 주은래 부인.[13] 1912~1992. 주더 둘째부인인 캉커칭.[14] 1968년 10월 31일국가주석직 폐지 및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위원장이 1982년 헌법 개정으로 1983년 6월 18일리셴녠이 국가주석자리에 오를때까지 국가원수 대행.[15] 1958년 5월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