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9-01 15:41:54

외국 자모에 의한 조선어의 표기법


한국어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3492da><colcolor=#fff> 문자 한글 · 옛한글 · 한자 · 한글 점자
표기 한글전용 · 국한문혼용체 · 한글 전 한국어 표기 (이두 · 향찰 · 구결) · 맞춤법 (역사)
시대별 분류 한국조어 · 고대 국어 · 중세 국어 · 근대 국어 · 현대 국어
국가별 표준 남한 표준 · 북한 표준
방언 한국어의 방언
관련 언어 고구려어 · 백제어 · 신라어 · 가야어 · 발해어 · 탐라어 · 제주어
관련 문서 국문법 · 한국 한자음 · 한국어족 · 한국어의 외래어 · 존비어 문화 · 한자 사용 · 한글의 문제점과 논쟁 · 한글로 표기할 수 없는 발음 · 국어기본법 · 점자법 · 한국수화언어법
타 문자
전사
<colbgcolor=#3492da><colcolor=#fff> 로마자 한국어의 로마자 표기 · 표기법별 대조표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 한글의 로마자 표기법 · 조선어의 라틴문자 표기법 · 예일식 표기법 · ISO식 표기법 · 한글학회 로마자 표기법 · 한글을 로마자로 적는 법 · 한세회식 표기법 · 유만근식 표기법 · 북한식 표기법 · 김복문식 표기법 · 양병선식 표기법 · 21세기 표기법 · 국립국어원식 표기법 · 루코프식 표기법 · 홀로도비치 표기법
키릴 문자 한국어의 키릴 문자 표기
홀로도비치 표기법 · 콘체비치 표기법 · 북한식 표기법
가나 국어의 가나 문자 표기법 }}}}}}}}}

1. 개요2. 규정
2.1. 제1장 서론2.2. 제2장 로씨야어 자모에 의한 조선어 표기에 관한 일반적 규칙2.3. 제3장 로마 자모에 의한 조선어 표기에 관한 일반적 규칙
3. 특징4. 표기 예시5. 기타6. 문제점 및 비판7. 관련 문서

1. 개요

북한 정부에서 1959년에 고시한, 문화어를 라틴 문자키릴 문자로 표기하는 방식이다.
원문 텍스트

2. 규정

2.1. 제1장 서론

  • 제1항 : 외국 자모로써 조선어를 표기함에 있어서는 조선 음운을 충실히 반영시킴을 원칙으로 하되, 조선어 받침을 중심으로 하는 어음 교체 현상과, 조선어음의 결합적 변화만은 그대로 표기한다. 그러나 조선어의 매개 단어의 형태론적 구성을 특히 명시할 필요가 있는 그런 경우에는, 조선어 철자법에 충실하게 외국 자모를 대조시킨다.
  • 제2항 : 외국 자모로써 조선어를 표기함에 있어서의 표기상 단위는, 조선어 철자법의 일반적 규정을 준수한다. 즉, 매개 단어는 띄여 쓰되, 각종의 보조적 단어는 붙여 표기한다.
  • 제3항 : 외국 자모로써 조선어를 표기함에 있어서는, 해당 외국어의 현행 자모 체계에 의거하며, 새로운 자모, 새로운 보조적 기호를 사용하지 않는다.
  • 제4항 : 외국 자모로써 조선어를 표기함에 있어서는, 해당 외국어의 음운 조직과 그의 정칙 발음법의 일반적 원칙과 모순될 수 없다.
  • 제5항 : 본 표기법에서는 로씨야어 자모와 로마 자모로써 조선어를 표기함에 관한 일반적 규칙을 규정한다.
    • 〔부기〕 외국 자모에 의한 조선어 표기법은 어디까지나 해당 외국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며, 따라서 외국 자모를 사용하는 조선 문자의 알파비트적 사용과 관련되는, 문자 개혁적 시도와는 구별된다. 그렇기 때문에 본 표기법에서는 외국 자모를 사용하는 조선 문자의 알파비트적 사용법에 대하여 규정하지 않는다.

2.2. 제2장 로씨야어 자모에 의한 조선어 표기에 관한 일반적 규칙

한국어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3492da><colcolor=#fff> 문자 한글 · 옛한글 · 한자 · 한글 점자
표기 한글전용 · 국한문혼용체 · 한글 전 한국어 표기 (이두 · 향찰 · 구결) · 맞춤법 (역사)
시대별 분류 한국조어 · 고대 국어 · 중세 국어 · 근대 국어 · 현대 국어
국가별 표준 남한 표준 · 북한 표준
방언 한국어의 방언
관련 언어 고구려어 · 백제어 · 신라어 · 가야어 · 발해어 · 탐라어 · 제주어
관련 문서 국문법 · 한국 한자음 · 한국어족 · 한국어의 외래어 · 존비어 문화 · 한자 사용 · 한글의 문제점과 논쟁 · 한글로 표기할 수 없는 발음 · 국어기본법 · 점자법 · 한국수화언어법
타 문자
전사
<colbgcolor=#3492da><colcolor=#fff> 로마자 한국어의 로마자 표기 · 표기법별 대조표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 한글의 로마자 표기법 · 조선어의 라틴문자 표기법 · 예일식 표기법 · ISO식 표기법 · 한글학회 로마자 표기법 · 한글을 로마자로 적는 법 · 한세회식 표기법 · 유만근식 표기법 · 북한식 표기법 · 김복문식 표기법 · 양병선식 표기법 · 21세기 표기법 · 국립국어원식 표기법 · 루코프식 표기법 · 홀로도비치 표기법
키릴 문자 한국어의 키릴 문자 표기
홀로도비치 표기법 · 콘체비치 표기법 · 북한식 표기법
가나 국어의 가나 문자 표기법 }}}}}}}}}
  • 제6항 : 로씨야어 자모로써 조선어를 표기함에 있어서는 특수한 어음론적 변화가 없는 한, 조선어의 매개 자모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로씨야어 자모를 대조시킨다.
    조선어 자모

    일반용 к н т р м п с н ч чх кх тх пх х кк тт пп сс чч

    과학용 к н т ль м п с нъ ч чх кх тх пх х кк тт пп сс чч
조선어 자모
일반용 a я е ё o ё у ю ы и яй э е уй ы вa вo вaй вэ
과학용 a я ŏ йŏ o ё у ю ы и яй э е уй ый вa вŏ вaй вэ
* 〔부기〕 《일반용》이라 함은 일상적 언어 행위에서의 조선어 표기에 리용할 것이며, 과학용은 조선어에 대한 과학적 표기에 리용된다. 따라서 《과학용》에는 《ŏ》에서와 같이 단모음 부호 《◌̆》를 《o》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 제7항 : 조선어의 무성 파렬음, 또는 무성 파찰음 《ㅂ, ㄷ, ㄱ, ㅈ》 등은 한 단어 가운데의 유성음 사이에서 절음화 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유성음화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로씨야어 자모 《п, т, к, ч》가 아니라, 자모 《б, д, г, з》로 대조하여 표기한다.
* 〔i〕 자모 《ㅂ》의 경우
안변 Aнбён *Aнбйŏн
함북 Хaмбук
연백 Ёнбaйк *Йŏнбaйк
* 〔ii〕 자모 《ㄷ》의 경우
강동 Кaндoн *Кaнъдoнъ
진도 Чиндo
양덕 Яндек *Янъдŏк
* 〔iii〕 자모 《ㄱ》의 경우
웅기 Унги *Унъги
왜관 Вaйгвaн
룡강 Рёнгaн *Рёнъгaнъ
* 〔iiii〕 자모 《ㅈ》의 경우
상주 СaнзУ *СaнъзУ
장진 Чaнзин *Чaнъзин
사인장 Сaинзaн *Сaинзaнъ
* 〔주〕 : (*)표는 과학용이 일반용과 구별되는 경우를 제시한다.
* 제8항 : 조선어 받침은 모음 앞에서는 자기 음가대로 잘 소리나나, 자음 앞이나 또는 어말에서는, 내파음으로 되여 발음 위치가 같은 받침끼리 서로 같아진다, 따라서 조선어 받침은 다음과 같이 구별하여 대조 표기한다.
조선어 자모
모음 앞 б пх пс д тх с сс з чх г кх кк кс х
자음 앞/어말 п п п т т т т т т к к к к х
조선어 자모
모음 앞 р рб
* льб
рпх
* льпх
рг
* льг
ртх
* льтх
рс
* льс
рх
* льх
рм
* льм
н нз нх м н
*нъ
자음 앞/어말 р
* ль
п п к р
* ль
р
* ль
р
* ль
м н н н м н
*нъ
*〔부기 1〕 : 어간의 끝소리가 《ㄼ》으로 끝난 단어 가운데서 자음 앞의 《밟》과 《넓적, 넓죽》에서의 《ㄼ》만은 《п》로 대조하여 표기한다.
밟고 папко
밟지 папчи
넓적하다 непчек-хада *нŏпчŏк-хада
넓죽하다 непчук-хада *нŏпчук-хада
*〔부기 2〕 : 어간의 끝소리가 《ㄹ》로 끝난 단어와 첫소리가 《ㅏ, ㅓ, ㅗ, ㅜ, ㅡ》등 모음으로 시작된 자립적 단어가 합쳐서 새로운 합성어를 형성하는 경우에, 《과학용》 표기로써는 《ㄹ》를 《ль》가 아니라, 《р》로 대조하여 표기한다.
울안 уран
살얼음 сарŏрым
물오리 мырори
*〔부기 3〕 : 《ㅎ》, 《ㄹㅎ》, 《ㄴㅎ》 받침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그별하여 표기한다.
*〔i〕 : 《ㅎ》음이 다음에 오는 자음 《ㄱ, ㄷ, ㅂ, ㅈ》와 합쳐서, 각각 《ㅋ, ㅌ, ㅍ, ㅊ》로 소리 나는 경우에는 《кх, тх, пх, чх》로 대조하여 표기한다.
좋다 чотха
좋고 чокхо
좋지 чочхи
끊다 ккынтха
끊고 ккынкхо
끊지 ккынчхи
앓다 артха *альтха
앓고 аркхо *алькхо
앓지 арчхи *альчхи
*〔ii〕 : 《ㅎ》밭침 밑에 자음 《ㄴ, ㅅ》가 와서, 《ㅎ》음이 《ㄴ, ㅅ》로 발음되는 경우에는 각각 《н, c》로 대조하여 표기한다.
놓네 ноннэ
놓소 носсо
닿네 таннэ
닿소 тассо
끊소 ккынссо
않소 анссо *альссо
*〔iii〕 : 받침 안에 있는 《ㅎ》가 잘 발음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를 표기상 반영시키지 않는다.
끊어 ккыне *ккынŏ
끊네 ккыннэ
뚫어 ттуре *ттурŏ
뚫네 ттурнэ *ттульнэ
좋아 чоа
좋네 чонэ
* 제9항 : 조선어를 외국어 자모로 표기함에 있어서 모음자와 함께 사용되나, 자기 고유의 음가를 가지고 있지 못하는, 기호 《ㅇ》은 외국어 자모로 대조하여 표기하지 않는다.
인천 Инчхен *Инчхŏн
왜관 Вайган
원산 Вонсан *Вŏнсан
양주 Янзу *Янъзу
의주 Ызу *Ыйзу
* 제10항 : 현대 조선어 철자법에서는 형태주의 원칙에 따라, 각종 어간과 토를 구별하여 적지마는, 조선어를 외국 자모로 표기함에 있어서는, 이를 구별하여 적지 않는다. 따라서 현대 조선어에서 받침으로 끝난 어간 밑에 모음 토가 오는 경우에도, 외국어 자모로써 조선어를 표기함에는 반영되지 않는다.
집이 чиби
집을 чибыр *чибыль
날이 нари
날을 нарыр *нарыль
밟아 парба *пальба
밟으니 парбыни *пальбыни
핥아 хартха *хальтха
핥으니 хартхыни *хальтхыни
* 제11항 : 현행 조선어 철자법에서 어간의 끝소리가 《르-ㄹㄹ》로 바뀌여 들리는 동사를 로씨야어 자모로 대조하기 위해서는 끝소리 《ㄹㄹ》를 《л》로 대조하여 표기한다.
흐르다 хырыда
흘러 хле *хлŏ
오르다 орыда
올라 ола
누르다 нурыда
눌러 нуле *нулŏ
핥아 хартха *хальтха
핥으니 хартхыни *хальтхыни
*〔부기 1〕 : 조선어의 한 단어 가운데서 소리 나는 설측음 《ㄹㄹ》도 《л》로 대조하여 표기한다.
걸레 келэ *кŏлэ
놀라다 нолада
빨레 ппалай
달래다 талаида
올리다 олида
*〔부기 2〕 : 끝소리가 《ㄹ》이나 《르》로 끝난 동사 어간에 토 《리》가 가첨되여서, 설측음 《ㄹㄹ》로 소리나는 때에도 자모 《л》로 대조하여 표기한다.
놀다 норда *нольда
놀리다 нолида
날다 нарда *нальда
날리다 налида
흐르다 хырыда
흘리다 хылида
오르다 орыда
올리다 олида
* 제12항 : 현대 조선어의 정칙 발음법에서 인정되여 있는 결합적 어음 변화는 변화된 대로 로씨야어 자모를 대조하여 표기한다.
* 〔i〕 : 구강 폐쇄음이 비강 자음 《ㄴ, ㅁ, ㅇ》 또는 류음 《ㄹ》앞에서 비음 자음으로 변화되는 경우
독립 тонннип *топънип
왕십리 Вансимни *Ванъсимни
부엌문 пуекмун *пуŏкмун
앞마다 аммада
합니다 хамнида
받는다 паннында
벗니 понни *пŏнни
쫓는다 ччоннында
빚니 пинни
깎는다 кканнында *кканънында
* 〔ii〕 : 비강 자음 《ㄴ, ㅁ, ㅇ》 밑에서 류음 《ㄹ》이 《ㄴ》으로 변화되는 경우
동래 Тоннай *Тонънай
독립 тоннип *тонънип
심리 симнм
* 〔iii〕 : 자음 결합 《ㄴㄹ》 또는 《ㄴㄴ》이 《ㄹㄹ》로 변화되는 경우에는 《л》로 대조하여 표기한다.
전라 Чела *Чŏла
신라 Сила
곤난 колан
* 〔iv〕 : 어간의 끝소리가 《ㄷ, ㅌ》로 끝난 단어 밑에 《이, 히》와 같은 토가 와서, 자음 《ㄷ, ㅌ》가 구개음화되여서, 《ㅈ, ㅊ》로 소리 나는 경우에는, 각각 《з, чх》로 대조하여 표기한다.
굳이 кузи
미닫이 мидази
땀받이 ттамбази
받이 пази
굳히다 кучхида
핥이다 харчхида *хальчхида
묻히다 мучхида
* 〔부기 1〕 : 현대 조선어 철자법에서 어간의 끝소리가 《ㄴ, ㅁ》으로 끝난 동사 밑에 자음 《ㄷ, ㅈ, ㄱ》등으로 시작된 토가 오면서, 그것이 발음상 된소리로 들리는 경우에는 자모 《ㅅ, ㄷ, ㅈ, ㄱ》등을 《сс, тт, чч, кк》 등으로 대조하여 표기한다.
신소 синссо
신다 синтта
신지 синччи
신고 синкко
심소 симссщ
심다 симтта
심지 симччи
심고 симкко
* 〔부기 2〕 : 둘받침 《ㄹㅁ》, 《ㄴㅈ》으로 끝난 형용사나 동사 밑에 자음 《ㅅ, ㅈ, ㄷ, ㄱ》등으로 시작된 토가 오면서, 그것들이 발음상 된소리로 되는 경우도 〔부기 1〕과 같이 처리한다.
젊소 чемссо *чŏмссо
젊다 чемтта *чŏмтта
젊지 чемччи *чŏмччи
젊고 чемкко *чŏмкко
* 제13항 : 조선어의 한자 어휘 가운데서 어두음이 《ㄹ, ㄴ》인 것은 언제나 자모 《л, н》으로 대조하여 표기한다.
룡산 Рёнсан *Рёнъсан
녕월 Нёнвор *Нйŏнъволь
라주 Разу
리천 Ричхен *Ричхŏн
례산 Ресан
* 제14항 : 두 개의 명사로부터 이루어진 합성 명사 가운데서 절음 현상이 일어나, 뒷 명사의 첫 소리가 된 소리로 소리 나는 것은, 그 된소리에 대응하는 로씨야어 자모를 대조히여 표기한다.
문'간 мунккан
발'등 парттын *парттынъ
코'등[A] кхоттын *кхоттынъ
초'불 чхоппур *чхоппуль
밤'잠 памччам
이'솔[A] иссор *иссоль
* 〔부기 1〕 : 조선어 한자 어휘 가운데서 중간에 음 현상이 일어 나는 경우도 이와 같이 처리한다.
발'달 парттар *пальтталь
결'심 кёрссим *кйŏльсим
잠'간 чамккан
문'자 мунчча
의'과 ыкква *ыйкква
헌'법 хенбеп *хŏнбŏп
* 〔부기 2〕 : 두 개의 명사로부터 이루어 진 합성 명사 가운데서 절음 현상이 일어 나되, 뒷 명사의 첫소리가 《ㄴ, ㅁ》등인 경우에는 《н》으로 대조하여 표기한다.
코'날 коннар *конналь
수'놈 сунном
수'말 сунмар *сунмаль
* 〔부기 3〕 : 두 개의 명사로부터 이루어 진 합성 명사 가운데서 절음 현상이 일어 나되, 뒷 명사의 첫소리가 모음인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구별하여 적는다.
* 〔i〕 : 앞 단어의 끝 소리가 자움인 경우에는 《н》으로 대조하여 표기한다.
담'요 тамнё
편'윷 пхенют *пхйŏннют
콩'엿 кхоннет *кхоннйŏт
이 때 앞 단어의 끝 소리가 《ㄴ, ㅁ, ㅇ》 등으로 그 소리를 바꾸는 경우에는 《нн, мн, нн(*нън)》으로 대조하여 표기한다.
갓'양 каннян *каннянъ
앞'이 амни
흙'일 хыннир *хынъниль
* 〔ii〕 : 앞 단어의 끝 소리가 모음인 경우에는 발음에 따라 《нн》으로 대조하여 표기한다.
대'잎 тайннип
채'열 чхайннёр *чхайннйŏр
뒤'요랑 туйннёрян *туйннёрянъ
* 〔iii〕 : 앞 단어의 끝 소리가 《ㄹ》인 경우에는 《л》로 대조하여 표기한다.
물'약 мулак
들'일 тылир *тылиль
길'요강 килёган *килёганъ
* 제15항 : 장음의 표시는 따로 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그러나 특별한 필요가 있어, 장음을 표시할 경우에는 그 음절의 끝 모음을 거듭 쓴다.
밤(栗) паам
별(星) пеер *пйŏŏль
곰(熊) коом
굴(窟) куур *кууль
일(事) иир *ииль
* 제16항 : 앞 음절이 《ㅇ》으로 끝나고 뒤 음절의 첫소리가 모음인 경우에는, 발음상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연음 부호 《ь》를 붙인다.
평양 Пхеньян *Пхйŏнъянъ
강원 Каньвон[3] *Канъвон
* 〔주〕 : 과학적 표기에서는 연음 부호 《ь》가 필요치 않다.[4]
* 제17항 : 조선 사람의 성명을 로씨야어 자모로 전사함에 있어서는, 성과 이름을 띄여 쓴다.
김일성 Ким Ирсен *Ким Ильсŏнъ
리순신 Ри Сунсин
을지문덕 Ырччи Мундек *Ыльччи Мундŏк[5]
* 제18항 : 조선의 지리적 고유 명사를 로씨야어 자모로 전사함에 있어서는 띄여 쓰지 않되, 《산, 강, ……》등의 의의를 가진 로씨야어 단어를 그 앞에 놓는다.
대동강 река Тайдонган *Тайдонъганъ[6]
금강산 гора Кумгансан *Кумганъсан[7]
모란봉 гора Моранбон *Моранбонъ[8]
* 제19항 : 조선어의 철자법을 충실히 반영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조선어의 매개 자모에 대하여 해당한 로씨야어 자모를 대조하여 표기한다.
ккочх
꽃을 ккочхыр *ккочхыль
꽃닢 ккочхнипх
꽃닢 아래 ккочхнипх арай
ир *иль
кан *канъ
없다 епста *ŏпста
없었습니다 епсесссыпнида *ŏпсŏсссыпнида

2.3. 제3장 로마 자모에 의한 조선어 표기에 관한 일반적 규칙

한국어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3492da><colcolor=#fff> 문자 한글 · 옛한글 · 한자 · 한글 점자
표기 한글전용 · 국한문혼용체 · 한글 전 한국어 표기 (이두 · 향찰 · 구결) · 맞춤법 (역사)
시대별 분류 한국조어 · 고대 국어 · 중세 국어 · 근대 국어 · 현대 국어
국가별 표준 남한 표준 · 북한 표준
방언 한국어의 방언
관련 언어 고구려어 · 백제어 · 신라어 · 가야어 · 발해어 · 탐라어 · 제주어
관련 문서 국문법 · 한국 한자음 · 한국어족 · 한국어의 외래어 · 존비어 문화 · 한자 사용 · 한글의 문제점과 논쟁 · 한글로 표기할 수 없는 발음 · 국어기본법 · 점자법 · 한국수화언어법
타 문자
전사
<colbgcolor=#3492da><colcolor=#fff> 로마자 한국어의 로마자 표기 · 표기법별 대조표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 한글의 로마자 표기법 · 조선어의 라틴문자 표기법 · 예일식 표기법 · ISO식 표기법 · 한글학회 로마자 표기법 · 한글을 로마자로 적는 법 · 한세회식 표기법 · 유만근식 표기법 · 북한식 표기법 · 김복문식 표기법 · 양병선식 표기법 · 21세기 표기법 · 국립국어원식 표기법 · 루코프식 표기법 · 홀로도비치 표기법
키릴 문자 한국어의 키릴 문자 표기
홀로도비치 표기법 · 콘체비치 표기법 · 북한식 표기법
가나 국어의 가나 문자 표기법 }}}}}}}}}

언어별 로마자 표기법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492da> 한국어 프랑스식 - 한글학회식 - 예일식 - 48년 문교부식 - 59년 문교부식 - M.R. 식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00년 문광부식 - 김복문식 - 국립국어원식
한세식 - 유만근식 - 양병선식 - 홍승목식 - 86년 북한식 - 파일:북한 국기.svg 97년 북한식 - ISO/TR 11941
일본어 JSL - 훈령식 - 일본식 - 파일:일본 국기.svg 헵번식 - 포르투갈식
표준중국어 우정식 - W.G.식 - 화어통용병음 - 국어라마자 - 주음부호 2식 - 예일식 -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한어병음
광동어 월어병음 - 광동어 예일식 표기법 - 광주화병음 -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정부식 -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정부식
민어 민남어백화자 - 파일:대만 국기.svg 대라병음 - 대어통용병음 - 조주화병음 - 해남병음
객가어 객가어백화자 - 파일:대만 국기.svg 객가어병음 - 객어통용병음 - 객가화병음
아랍어 BGN/PCGN - UNGEGN - 미국 의회도서관식 - 이슬람 백과사전식
페르시아어 미국 의회도서관식 - 이슬람 백과사전식 - 파일:이란 국기.svg UN식
아르메니아어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BGN/PCGN - 미국 의회도서관식 - ISO 9985
조지아어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정부식 - BGN/PCGN - 미국 의회도서관식 - ISO 9984
그리스어 파일:그리스 국기.svg ELOT 743 - 미국 의회도서관식
히브리어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정부식 - ISO 259
힌디어 IAST - 파일:인도 국기.svg 헌터식
티베트어 와일리 표기법 - 장어병음
타이어 ISO 11940 - 파일:태국 국기.svg 왕립학회식
벨라루스어 BGN/PCGN -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정부식 - 라친카 - ISO 9
불가리아어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정부식 - ISO/R 9
러시아어 BGN/PCGN - 파일:러시아 국기.svg GOST 7.79-2000 - ISO 9
우크라이나어 BGN/PCGN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정부식 - ISO/LN 9 }}}}}}}}}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현재 북한에서 사용하는 공식 체계에 대한 내용은 조선어의 라틴문자 표기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제20항 : 로마 자모로써 조선어를 표기함에 있어서는, 특수한 어음론적 변화가 없는 한, 조선어의 매개 자모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조선어 자모를 대조시킨다.
    조선어 자모

    로마 자모 k n t r m p s ng ts tsh kh th ph h kk tt pp ss tss
조선어 자모
로마 자모 a ya ŏ o yo u yu ŭ i ai yai e ye oi wi ŭi wa wo wai we
* 〔부기 1〕 : 모음 《ㅓ, ㅡ》에 대해서는 《ŏ, ŭ》로 대조하되, 부호 《ŏ》를 붙이지 않을 수 있다.
* 〔부기 2〕 : 모음 《ㅐ, ㅚ, ㅟ, ㅢ》에 대해서는 《ai, oi, wi, ŭi》로 대조하되, 필요한 경우에는 《a͜i, o͜i, ŭ͜i》와 같이 련결 부호 《 ͜ 》를 붙인다.
* 제21항 : 로마 자모에 의한 조선어 받침의 대조는 다음과 같다.
조선어 자모
모음 앞 b ph ps d th s ss dz tsh g kh kk ks h
자음 앞/어말 p p p t t t t t t k k k k h
조선어 자모
모음 앞 r lb lph lg lth ls lh lm n ndz nh m ng
자음 앞/어말 l p p k l l l m n n n m ng
조선어를 로마 자모로 대조하여 표기함에 있어서 준수해야 할 각종의 규칙들은 조선어를 로씨야어 자모로 대조함에 있어서 준수해야 할 각종의 규칙들을 대체로 그냥 적용한다. 따라서 여기서는 로씨야어 자모로 대조하는 경우와 구별되는 점에 대해서만 규정한다.
* 제22항 :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발음상 혼동을 피하기 위해서 련결부 《-》를 붙인다. (제16항을 참조하라).
* 〔i〕 : 앞의 음절이 《ㅇ》으로 끝나고 뒤의 음절의 첫 소리가 모음인 경우.
평양 Phyŏng-yang
녕원 Nyŏng-wŏn
광양 Kwang-yang
* 〔ii〕 : 앞 음절의 끝 소리가 《ㄴ》으로 끝나고, 뒤 음절의 첫 소리가 《ㄱ》인 경우.
한강 Han-gang
만경대 Man-gyŏngdai
* 〔iii〕 : 앞 음절의 끝 소리가 《ㅇ》으로 끝나고, 뒤 음절의 첫 소리가 《ㄱ》인 경우.
강경 Kang-gyŏng
강계 Kang-gye
* 〔iv〕 : 앞 음절의 끝 소리가 《ㅏ》고, 뒤 음절의 첫 소리가 《ㅣ》인 경우 (단모음 《ㅐ》를 대조해서 표기할 《ai》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이 sa-i
나이 na-i
* 〔v〕 : 앞 음절의 끝 소리가 《ㅗ》고 뒤 음절의 첫 소리가 《ㅣ》인 경우. (단모음 《ㅚ》를 대조해서 표기할 《oi》와 구별하기 위하여).
모이 mo-i
쪼이다 tsso-ida
* 〔vi〕 : 앞 음절의 끝 소리가 《ㅡ》과 뒤 음절의 첫 소리가 《ㅣ》인 경우 (단모음[9] 《ㅢ》를 대조해서 표기할 《》와 구별하기 위하여)
그이 kŭ-i
쓰이다 ssŭ-ida
* 〔부기〕 : 모음 《ㅐ, ㅚ, ㅢ》를 《ai, oi, ui》와 같이 련결 부호 《》를 붙이여 표기한다면, 본항 〔iv〕, 〔v〕, 〔vi〕의 규정은 무의미하다.
사이 sai
sa͜i
모이 moi
mo͜i
그이 kŭi
kŭ͜i

3. 특징

4. 표기 예시

5. 기타

6. 문제점 및 비판

7. 관련 문서


[A] 문화어에는 사이시옷이 없기 때문에 이렇게 적는다.[A] 문화어에는 사이시옷이 없기 때문에 이렇게 적는다.[3] 원문에서는 "Канввон"이라고 적혀있으나 오타로 추정된다.[4] 과학적 표기에서는 ㅇ의 표기가 нъ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5] 원문에는 O 위의 브레이브 부호가 제거되어 Ыльччи Мундoк으로 적혀있으나 오타로 추정된다.[6] 원문에는 어두 자음의 무성음화가 반영되지 않은 Дайдонган *Дайдонгьганг 으로 적혀있으나 오타인 것으로 생각된다.[7] 역시 원문에서는 Кумгангсан으로 오타가 났다.[8] 원문에는 Моранбонг으로 적혀있다.[9] 는 음운론상 이중모음인데 어째서 단모음으로 서술했는지는 불명.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