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2011년 2월 20일 중국에서 당시 화제가 된 튀니지를 비롯한 아랍권의 재스민 혁명(또는 아랍의 봄)에 영향을 받아 일어난 민주화 시위.2. 상세
중국에 재스민 혁명이 알려지면서 2월부터 웨이보 등의 SNS에 재스민 혁명을 촉구하는 글이 확산되기 시작했다.# 천안문 6.4 항쟁으로부터 22년 만에 일어난 민주화 시위였지만 다행히 유혈사태는 일어나지 않았다.그러나 중국 경찰에 의한 감시 때문에 대규모 시위로 발전하지 못했고 수많은 시위자들이 연행되거나 외출이 금지되기도 하였으며 시위가 일어난 베이징시에서는 여러 명이 다니지 못하게 조치하기도 했다.
광저우시에서는 재스민 혁명에 참여하려던 인권변호사 류스후이(劉士輝)가 괴한에게 습격당하는 사건이 일어나기도 했다.#
시위 구호는 다음과 같았다.
我们要食物、我们要工作、我们要住房!
우리는 음식을 원하고, 일을 원하고, 집을 원합니다!
我们要公平、我们要正义!
우리는 공정함을 원하고 정의를 원합니다!
启动政治改革、结束一党專政! (停止一党專政)
정치 개혁을 주도하고 일당 독재를 끝내라! (일당제 규칙 종료)
开放报禁、新闻自由!
제한을 해제하고 언론을 해방하십시오!
自由万岁、民主万岁!
자유 만세 , 민주 만세!
우리는 음식을 원하고, 일을 원하고, 집을 원합니다!
我们要公平、我们要正义!
우리는 공정함을 원하고 정의를 원합니다!
启动政治改革、结束一党專政! (停止一党專政)
정치 개혁을 주도하고 일당 독재를 끝내라! (일당제 규칙 종료)
开放报禁、新闻自由!
제한을 해제하고 언론을 해방하십시오!
自由万岁、民主万岁!
자유 만세 , 민주 만세!
중국 정부는 인터넷에서 재스민이나 혁명 같은 단어를 검열하고 아예 꽃 가게들이 재스민 꽃을 팔지 못하게 막았다.
시위가 일어난 후 2월 27일에 2차 재스민 혁명을 일으키자는 내용의 글이 SNS에 확산되면서 경찰들이 대대적으로 반체제 인사나 민주화 운동가들을 검거했다. 결국 2차 재스민 혁명은 무산되었다.##
3. 관련 자료
4. 같이 보기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ee1c25> | 후진타오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ee1c25> 생애 | 생애(후진타오 시대) | |
사건사고 | 쓰촨성 대지진,(2008), 2009년 우루무치 유혈사태,(2009), 중국 재스민 혁명,(2011), | ||
관련 정치인 | 덩샤오핑 · 장쩌민 · 시진핑 · 리커창 · 후춘화 · 보시라이 · 원자바오 | ||
기타 |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 · 동북공정 · 반분열국가법 · 후진타오 강제 퇴장 논란 |
- [ 역사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역사 ||역사 전반(홍콩)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호 · 백년국치 ||
- [ 사회 · 경제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경제 ||경제 전반(홍콩 · 마카오) · GDP · 경제성장률 · 상무부(투자촉진사무국) · 재정부 · 공업정보화부 · 중국인민은행 · 세무총국 · 중국 위안 · 중국증권 감독관리위원회(상하이증권거래소 · 선전증권거래소 · 베이징증권거래소) · 홍콩증권거래소 ·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 · ECFA · AIIB · FTAAP · 세서미 크레딧 · 차이나 머니 · 아시아의 네 마리 용(홍콩) ||
- [ 문화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문화 전반 ||문화 전반(홍콩 · 마카오) · 문화 검열(검열 사례 · 할리우드 블랙아웃) · 문화여유부(문물국) · 영화(목록) · 홍콩 영화 · 상하이물) · 드라마(목록 · 문제점) · 방송(CCTV · CETV · 라디오 방송 · 홍콩 · 마카오) · 신경보 · 중앙신문(인민일보 · 환구시보 · 광명일보 · 경제일보 · 해방군보) ·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 · 명보 · 미술 · 2021년 중국 규제 · 파룬궁 · 선전물 일람 ||
✊ 혁명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696969> 종류 | <colcolor=#000,#fff>무혈 혁명 · 시민 혁명 · 공산화 · 혁명의 물결 | |
방식 | 계급투쟁 · 내전 · 반란 · 보이콧 · 봉기 · 비폭력 · 시민 불복종 운동 · 시위 · 유격전 · 집회 · 쿠데타 · 파업 · 항의 | ||
원인 | 가난 · 기근 · 군주제(전제군주제) · 권위주의(독재 · 전체주의) · 봉건제 · 박해 · 부정부패 · 부정선거 · 실업 · 억압 · 자본주의 · 자연재해 · 점령 · 제국주의(식민주의) · 차별(족벌주의) | ||
비정치적 예시 | 신석기시대 · 가격혁명 · 산업혁명 · 과학혁명 | ||
정치적 예시 | <colcolor=#fff><colbgcolor=#696969> 동양 및 중양 | 역성혁명 · 중국 혁명(신해혁명 · 국공내전) · 한국 독립운동 · 한국 민주화 운동 · 대만 민주화 운동 · 이란 혁명 · 에드사 혁명 · 색깔혁명 · 아랍의 봄 · 중국 재스민 혁명 · 우산 혁명 · 2018년 아랍 시위(신아랍의 봄) · 2024년 방글라데시 시위(몬순 혁명) | |
서양 | 포르투갈 독립 전쟁 · 네덜란드 독립 전쟁 · 영국 혁명(명예 혁명 · 청교도 혁명) · 미국 혁명 · 프랑스 혁명 · 아이티 혁명 · 그리스 독립 전쟁 · 벨기에 혁명 · 브라질 독립 전쟁 · 1848년 혁명(1848년 대폴란드 봉기 · 1848년 헝가리 혁명) · 튀르키예 독립 전쟁 · 멕시코 혁명 · 러시아 혁명 · 독일 11월 혁명 · 아이슬란드 독립운동 · 아일랜드 독립 전쟁 · 1956년 헝가리 혁명 · 쿠바 혁명 · 68 운동(프라하의 봄) · 니카라과 혁명 · 카네이션 혁명 · 동유럽 혁명(노래 혁명 · 소련 붕괴) · 색깔혁명 · 유로마이단 | ||
기타 | 연속혁명론 · 토플러의 물결 이론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