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4b92db><colcolor=#fff>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4b92db>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제504호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504 | }}} | |||||
▲ 차드 내전에 개입한 프랑스군 | ||||||||
일자 | 1982년 4월 30일 | |||||||
주제 | 차드 내전 | |||||||
결과 | 채택 | |||||||
참여국 | ||||||||
상임이사국 | 중국 | 프랑스 | 영국 | 미국 | 소련 | |||
비상임이사국 | 가이아나 | 아일랜드 | 요르단 | 일본 | 파나마 | |||
폴란드 | 스페인 | 토고 | 우간다 | 자이르 |
[clearfix]
1. 개요
1982년 4월 30일 채택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제504호 결의안.2. 내용
1960년, 차드는 프랑스로부터 독립했으나, 북부의 이슬람 주민과 남부의 가톨릭 주민 간의 대립 끝에 차드 북부에서 차드 민족해방전선(FROLINAT)이라는 반정부 단체가 세워지며 내전이 발발했다. 1979년, 북부 이슬람계가 남부 가톨릭계를 몰아내고 과도거국일치내각(GUNT)을 설립했으나 차드 민족해방전선 내부의 구쿠니 웨데이와 이센 아브레의 권력 다툼 끝에 다시 내전이 발발했다. 거기에 카다피의 리비아가 차드 북부의 투아레그족을 지원하며 내전은 삼파전 양상으로 흘러갔다.안전보장이사회는 아프리카 단결 기구(OAU)[1]가 차드에 평화유지군을 설치하는 것을 확인했으며 재정적 지원을 포함해 차드의 평화유지군을 지원할 것을 유엔 사무총장에 요청했다.
3. 투표 결과
찬성 | 반대 | 기권 | 불참 |
불명 |
4. 외부 링크
5. 둘러보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제503호 | →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제504호 | →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제505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