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7 12:22:05

유희관/선수 경력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유희관

1. 개요

유희관의 선수 경력을 서술한 문서.

2. 아마추어 경력

파일:dWLzEpa.jpg
대학기록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승률 ERA 피안타 피홈런 4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WHIP
2005 중앙대학교 10 22 0 1 0.000 2.86 20 2 5 19 10 7 1.09
2006 13 45⅔ 4 0 1.000 1.76 35 0 11 39 15 9 0.98
2007 14 86⅔ 7 2 0.778 1.76 62 2 18 66 22 17 0.89
2008 17 79 5 3 0.625 2.39 68 1 21 60 23 21 1.00
통산 4년 54 233⅓ 16 6 0.727 2.08 185 5 55 184 70 54 0.629

장충고등학교[1]와 중앙대학교를 졸업하였다. 장충고 시절에는 큰 인상적인 활약은 드물었지만, 중앙대에서는 팀의 에이스로 활약하면서 2007년 야구 월드컵 대표에 선발되기도 했다. 다만 느린 구속 때문에 상위 지명에는 뽑히지 못하고 2009시즌 드래프트에서 6라운드 지명을 받아 두산 베어스에 입단했다.

3. 두산 베어스

파일:FB_IMG_1478172153926.jpg
<colbgcolor=#131230><colcolor=#fff> 두산 베어스 No.29
유희관
柳熙寬 | Yoo Hee-Kwan

3.1. 2009 시즌

파일:/image/111/2009/02/06/1231475069396_1.jpg
2009년, 홀쭉하던 신인 시절
입단 첫 해인 2009년에는 큰 인상적인 활약은 하지 못했고, 1군과 2군을 오가는 평범한 신인선수[2]로 뛰었다.

3.2. 2010 시즌

1군 5경기에 등판해 3.1이닝을 소화하는데 그쳤다.

3.3.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10 시즌 종료후 상무 야구단에 입대하여 왼손 에이스로 활약했다.[3] 2012년 퓨처스리그에서 124이닝을 던지면서 11승 3패 평균자책 2.40을 기록하며 맹활약했다. 2012년 9월에 제대하여 소속팀 두산 베어스로 복귀하여 2013년부터 좋은 활약을 보이고 있다.

유희관의 1군 첫 호출, 등판 관련 기사들이 2015년 들어 재발굴되었다. 기사1 기사2

3.4. 2013 시즌

파일:/image/076/2013/06/20/2013062101001743900135361_59_20130620204909.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유희관/선수 경력/2013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데뷔 첫 10승 달성

3.5. 2014 시즌

파일:14유희관.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유희관/선수 경력/2014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년 연속 10승 달성

3.6. 2015 시즌

파일:external/photo.jtbc.joins.com/20150809203405609.jpg
이 사진으로 유희관은 2015년 KBO 골든글러브 시상식에서 골든 포토상을 수상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유희관/선수 경력/2015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년 연속 10승. 시즌 18승에 3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한 유희관 최고의 커리어하이 시즌이다.

시즌 종료 후, 최동원 상을 수상하였다.

3.7. 2016 시즌

파일:희관맨.jpg
2016 한국시리즈, 2년 연속 우승을 확정짓고 아이언 맨 세리머니를 하는 모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유희관/선수 경력/2016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OB-두산 베어스 구단 최초로 좌완 4년 연속 10승2년 연속 15승 이상을 달성하였다.

3.8. 2017 시즌

파일:희관17코시.jpg
2017 한국시리즈 4차전에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유희관/선수 경력/2017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말도 많고 탈도 많았지만 어마어마한 이닝 소화와 5시즌 연속 10승으로 자존심은 지킨 시즌이다.

3.9. 2018 시즌

파일:윾2018.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유희관/선수 경력/2018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끝내 최후의 마지노선인 6년 연속 10승은 달성하였지만 많은 아쉬움을 남긴 시즌.

3.10. 2019 시즌

파일:2019유희관.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유희관/선수 경력/2019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완벽하게 부활하며 OB-두산 베어스 프랜차이즈 최초 7년 연속 10승을 달성한 시즌이다.[4]

3.11. 2020 시즌

파일:20201022유희관.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유희관/선수 경력/2020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시즌 초반엔 1선발급 활약을 펼쳤으나, 중반기부터 부진해 우여곡절 끝에 8년 연속 10승을 달성했다. 에이징 커브로 인한 소화 이닝과 탈삼진이 크게 줄어 많은 아쉬움을 남긴 시즌.

3.11.1. FA

긴 협상 끝에 총액 10억(연봉 3억, 옵션 7억)에 계약했다.

두산 팬덤에서는 이미 유희관을 잡지말거나 잡더라도 아주 헐값에 후려쳐야한다는 의견이 강했고, 두산 프런트도 이미 결별이 사실상 확정되던 최주환오재일을 보냈지만 김재호와 허경민, 정수빈을 빠르게 잔류시킨 반면 이용찬과 유희관에게는 크게 미련이 없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다른 팀들도 유희관을 잡을 생각이 없으니 유희관은 선수 경력을 계속 이어가려면 두산에 잔류하는 것만이 유일한 방법임을 알겠지만 그럼에도 구단의 제의가 못마땅한지 협상이 질질 끌리며 2021년 2월까지 넘어간다. 2월 5일 나온 기사(#)에 따르면 2년 보장 6억 + 옵션 14억인 차우찬보다 제시 금액이 좋지 못하다는 듯. 그리고 2월 16일, 1년 총액 10억 (연봉 3억, 인센티브 7억)에 계약했다.(#)

3.12. 2021 시즌

파일:21유희관.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유희관/선수 경력/2021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유희관의 선수 마지막 시즌. 우여곡절이 심했으나 통산 100승을 쌓으며 마지막 불꽃을 태웠고, 결국 원클럽맨으로 은퇴했다.

3.13. 은퇴

파일:유희관은퇴.jpg

그리고 결국 2022년 1월 18일부로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 KBS가 오후 2시 39분에 두산 베어스 관계자의 말을 빌려 최초로 보도했고, 5분도 채 안돼서 두산 구단 측이 보도자료를 배포하며 유희관의 은퇴 선언을 공식 발표했다. 본인은 2021 시즌 후 은퇴를 고민했다고 하며, 후배들을 위해 이젠 물러날 때라고 판단했다고 언급했다.#

지난 11월까지만 해도 구단과의 면담에서 현역 연장의 의지를 강하게 드러냈고# 두산 구단도 오늘내일 하는 선수를 예우 차원에서 보류명단에 포함하면서 기다려줬기 때문에 다들 적어도 2022년까지는 뛰는 걸로 생각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1월 중순에 은퇴 발표가 나는 바람에 연봉 문제로 은퇴하는 것 아니냐고 받아들여지고 있다.[5] 구단에서 협상 때는 큰 이견이 없었다고 밝혔으니 대폭 삭감된 연봉을 제안받은 뒤 은퇴 여부를 고민한 듯하다.#

일단 유희관은 은퇴 기자회견에서 연봉 협상을 한 건 사실이지만, 연봉 문제가 아니라 자신이 경쟁력이 있을까 고민한 끝에 은퇴를 결정한 것이라고 다시 한 번 강조하였다.# 또한 유희관의 에이전트인 이예랑 대표가 야구부장에 출연해서 한 말에 따르면 유희관 측에서 연봉과는 관련 없이 두산 구단에 생각할 시간을 달라고 요청했다고 한다. 두산 입장에서는 유희관이 현역 연장을 희망할 경우 계약을 진행할 수 있도록 보류선수 명단에 포함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

은퇴 직후부터 여러 방송사에서 해설직 제안을 받았다고 한다. 사실상 해설위원으로서의 새 출발이 유력해진 상황.[6][7] 그리고 2022년 2월 24일 KBS N SPORTS와 계약을 맺으며 해설위원으로 새 출발해 역대 최연소 데뷔 해설 위원이 되었다.
파일:유희관 은퇴식.jpg
파일:유희관 은퇴식 기념사진.jpg
{{{#FFFFFF 베어스영광순간을 함께한 No.29 유희관}}}
2022년 4월 3일 잠실구장에서 은퇴식이 열렸다. 단상에 오른 그는 은퇴사를 통해 “두산 동료들과 함께 한 시간은 죽어도 잊지 못할 것”이라며 눈물을 흘렸다. #

4. 수상 경력

4.1. KBO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유희관의 KBO 수상 경력
2013 플레이오프 MVP
2015 한국시리즈 우승 / 골든포토상 / 드림 올스타(베스트12)
2016 한국시리즈 우승
2019 한국시리즈 우승

4.2. 기타

유희관의 기타 수상 경력
2008 전국대학야구선수권 최우수선수상
2013 일구상 신인상
조아제약 프로야구대상 신인상
2015 최동원 상
2016 일구상 최고 투수상
2020 일구상 최고 투수상
조아제약 프로야구대상 조아바이톤상

5. 연도별 성적

  • 푸른 글씨는 KBO 최다, 붉은 글씨는 1위 입상 성적. 진한 글씨는 리그 5위 내 입상 성적.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유희관의 역대 KBO 기록
<rowcolor=#fff>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승률 4사구 탈삼진 WHIP ERA+ sWAR
2009 두산 16 0 0 0 0 13⅓ 4.05 15 1 - 7 10 1.65 117.3 0.26
2010 5 0 0 0 0 3⅓ 10.80 5 0 - 2 1 1.80 42.1 -0.02
2011 군복무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12
2013 41 10 7 1 3 145⅓ 3.53 141 7 0.588 59 96 1.33 120.5 3.51
2014 30 12 9 0 0 177⅓
(4위)
4.42 202 21 0.632 59 112 1.43 112.0 3.28
2015 30 18
(2위)
5 0 0 189⅔ 3.94 193 23 0.783
(2위)
48 126 1.25 119.0 4.40
2016 30 15
(3위)
6 0 0 185⅔
(5위)
4.41 212 22 0.714 64 102 1.45 115.9 4.13
2017 30 11 6 0 1 188⅔
(4위)
4.53 228 20 0.647 51 106 1.43 106.2 2.33
2018 29 10 10 0 0 141 6.70 197 23 0.500 46 81 1.70 86.5 -0.53
2019 28 11 8 0 0 166⅓ 3.25 171 8 0.579 45 64 1.28 126.5 3.55
2020 27 10 11 0 0 136⅓ 5.02 190 14 0.476 42 56 1.68 92.3 0.15
2021 15 4 7 0 0 63 7.71 107 10 0.364 27 23 2.08 55.9 -1.48
KBO 통산
(11시즌)
281 101 69 1 4 1410 4.58 1661 149 0.594 450 777 1.46 101.3 19.58
완투, 완봉 기록
연도 완투 완봉
2014 1완투 0완봉
2015 1완투 1완봉
2017 2완투 1완봉
2019 2완투 0완봉
통산 6완투 2완봉


[1] 이수중학교를 졸업하고 배재고로 진학했으나, 1학년을 마치고 오현택과 같이 전학을 갔다. #[2] 1.5군선수보다도 그냥 2군 선수에 가까웠다.[3] 상무에서 뛰던 2011년에 KBS스페셜 최동원 편에 경기 중 공을 던지는 모습으로 잠깐 동안 나온 적 있다.[4] 굉장히 승운이 없었던 시즌이기도 하다. 같은 팀 선발투수인 이영하보다 평균자책점은 낮은데 승수는 훨씬 적고 패배수는 훨씬 많다. 작년은 타고투저, 올해는 투고타저라는 점도 있겠지만 2연속 7이닝, 7.1이닝 무실점을 하고도 승리투수가 안될 정도로 승리를 올리지못했다.[5] 당장 은퇴 발표가 난 당일 아침에도 유희관의 다음 시즌에 대해 논하는 기사가 올라왔다.[6] 은퇴한 선수들 중에는 코치나 감독 직의 영입제안도 방송가의 러브콜도 없이 조용히 잊혀지는 선수들이 많은데 이렇게 은퇴 직후부터 여러 방송사에서 제안을 받은 유희관은 장래가 유망한 편이다.[7] 실제로 두산 구단에서도 코치 제의를 했지만 본인이 거절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3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33 (이전 역사)
문서의 r175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