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 시리즈 주제가 | ||
토에이 | DM | GX |
5D's | ZEXAL | ARC-V |
VRAINS | SEVENS | 고 러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자세히 보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관련 문서 | |||
등장인물 | 전적 일람 | 주제가 |
1. OP
1.1. 1기
원곡 |
2015 리마스터 ver. |
가사 |
|
곡명: 『Voice』
화수: 제1화~제48화
작사, 작곡, 편곡: 悠希
아티스트: CLOUD
리마스터 영상에서는 블랙 매지션을 소환하는 장면이 추가되었으며 페가수스도 추가 장면이 생겼다. 혼다와 안즈, 죠노우치의 등장 장면 또한 바뀌었다.
원곡 |
Full 음원 ver. |
가사 |
|
곡명: 『유희왕』
화수: 1~2기[3]
노래: 솔레노이드(Solenoid)[4]
작곡: 방용석
작사: 김주희
편곡: 방용석, 도목경
녹음, 믹싱: 헐리우드매너[5]
SBS 방영 당시의 오프닝으로, 국내에서는 GX 1기 오프닝인 '쾌청, 상승, 할렐루야'와 같이 '유희왕' 하면 떠오르는 곡 1순위로 이 음악을 꼽는다. 특히 '수천 년 지나 마침내 선택받은 빛과 어둠의 영혼을 가진 바로 그 소년 유희왕'이라는 가사와 함께 무토우 유우기가 어둠의 유우기로 변신한 후 유희왕이라는 제목이 나오는 장면은, 그 당시 동네 초등학생들에게 유희왕이라는 작품의 첫인상을 각인시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국내판에서는 2기 오프닝을 아예 생략해 버리고 2기 에피소드에서도 위 오프닝을 틀었다.[6]
전체적으로 2000년대 초반 감성 가득한 가사이면서도 유희왕의 본질인 어둠의 듀얼과 듀얼 만능주의를 완벽하게 묘사한 곡이다. 애니메이션 위주로 해석하든 OCG 위주로 해석하든 가사가 맞아 떨어진다. 특히 가사 중 "유희왕 카드의 신화!"라는 가사는 현재까지도 TCG의 신화로 남아 있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 게임의 위상을 정확히 예언한 가사가 되었다.
야구선수 유희관도 이름이 비슷해서 별명이 유희왕이 되는가 하면 이 곡을 현역시절 및 예능프로 최강야구에서 등장곡으로 사용했다.[7]
1.2. 2기
원곡 |
2015 리마스터 ver. |
라이브 ver. |
가사 |
|
곡명: 『Shuffle』
화수: 제49화~제80화
작사, 아티스트: 오쿠이 마사미(奥井雅美)
작곡: 야부키 토시로(矢吹俊郎)
유희왕 시리즈에 이어지는 전통 중 세 번째 시리즈까지 이어지던 'JAM Project가 부른 주제가'의 첫 주자이자, 다섯 번째 시리즈가 방송되는 2015년 7월 현재도 이어지는 '듀얼 관련 단어가 가사에 들어간 노래'의 시작점인 주제가.[8]
오프닝 영상은 기억의 석판과 신의 카드의 등장, 레어 헌터들과 도미노 시티 한복판에서의 싸움 등, 배틀 시티에서 벌어질 내용들을 짤막하게 보여주었다[9][10]. 다만 한국에서는 방영되지 못했던 비운의 주제곡.[11] 하지만 유튜브에 한국어 번역 커버 버전이 올라왔다.
리마스터버전에서는 유우기와 어둠의 유우기를 동시에 바라보는 안즈와 천년링의 바쿠라, 천년열쇠의 샤디, 천년지팡이의 마리크의 등장장면이 달라졌으며 또한 카이바가 소유한 오벨리스크의 거신병 카드를 직접적으로 보여줬다.
놀랍게도 2007년도에 실시된 일본인 1천만명이 선택한 애니송 Best 500에서 191위에 랭크되었다.[12]
1.3. 3기
원곡 |
2015 리마스터 ver. |
PV 영상 |
가사 |
|
곡명: 『WILD DRIVE』
화수: 제81화~제131화
작사, 작곡, 아티스트: 나가이 마사토(永井真人)
오프닝 장면은 배틀시티의 8강 무대인 배틀쉽의 등장, 불타는 대지를 걸어오는 오벨리스크, 태양을 배경삼아 날아오는 라, 어두운 하늘에서 몸의 일부가 나타나 포효하는 오시리스의 모습을 통해 신의 카드와 해당 카드의 주인인 인물들이 등장했으며 곧이어 배틀시티편의 흑막이자 구울즈의 총수, 마리크와의 직접적인 대립을 암시하는 모습을 마지막으로 배틀시티 8강에 진출한 듀얼리스트들을 한번에 보여줬다.
한국판 |
곡명: 『WILD DRIVE』
아티스트: 신승훈[13]
더빙판곡은 원판과 달리 WILD DRIVE WILD DRIVE를 한번만 말하는 동시에 끝부분의 음악이 미묘하게 다르다는 차이점이 있다. 그럼에도 오히려 풀버전의 끝부분에 가까운 것은 이쪽.
1.4. 4기
도마의 결계 ver. |
KC 그랑프리 ver. |
2015 리마스터 ver. (배틀 시티 결승전 편) |
가사 |
|
곡명: 『WARRIORS』
화수: 제132화~제189화
작사: IPPEI
작곡: 山下雄大
아티스트: 이쿠자와 유이치(生沢佑一)[14]
한국판 |
곡명: 『WARRIOR』
화수: 제132화~제189화
아티스트: 류성필
원곡이 굉장히 무겁고 진지한 분위기라면 한국판은 무거운 분위기가 약간 옅어지고 희망적인 분위기가 추가되었다. 참고로 4기 오프닝을 부른 류성필은 하술할 5기 오프닝인 OVERLAP을 듣고 매우 마음에 들어해서 이 곡을 번안하여 부르길 원했으나 결국 5기 방영이 무산되어 부르지 못해 아쉬워했다고 한다.
1.5. 5기
자세한 내용은 OVERLAP 문서 참고하십시오.2. ED
2.1. 1기
원곡 |
2015 리마스터 ver. |
PV 영상 |
곡명: 『원기의 샤워』(元気のシャワー)
화수: 제1화~제48화
작사: 마츠모토 타카시(松本 隆)
작곡: 植野慶子
아티스트: 마에다 아키(前田亜季)
한국판 |
곡명: 『THE ONE』
노래: 이영미
작, 편곡: 방용석
작사: 김주희
녹음, 믹싱: 헐리우드매너
SBS 방영판에서는 오프닝 장면을 그대로 우려먹어서[15], 대원방송판에서만 이 엔딩을 볼 수 있다.
2.2. 2기
원곡 |
2015 리마스터 ver. |
라이브 ver. |
가사 |
|
곡명: 『그날의 오후』(あの日の午後)
화수: 제49화~제80화
작사: 오쿠이 마사미
작곡: 矢吹俊郎
아티스트: 오쿠이 마사미
2.3. 3기
원곡 |
2015 리마스터 ver. |
곡명: 『낙원』(楽園)
화수: 제81화~131화
작사: RUMIKO
작곡: SHOJI
아티스트: CAVE
한국판 |
노래: 김효연(A.bridge)[* 1983년 4월 17일생으로, A.Bridge의 보컬이자 뮤지컬 배우이자 MC이다. 2006년에 노래 Dream it으로 데뷔, 피치피치핏치 1,3기 오프닝 등을 불렀다. 2014년에는 완전보험주식회사, 2015년에는 아보카토 등 뮤지컬에도 출연했다.
유독 애니메이션 OST 중 "낙원" "자유"등 추상적인 이름이 들어간 곡을 불렀다]
2.4. 4기
원곡 |
2015 리마스터 ver. |
가사 |
|
곡명: 『흘러넘치는 감정이 멈추지 않아』(あふれる感情がとまらない)
화수: 제132화~189화
작사, 작곡: 이쿠자와 유이치(生沢佑一)
아티스트: 이쿠자와 유이치(生沢佑一)
2022년 7월 11일에는 원작자 타카하시 카즈키의 부고를 추도하기 위해 해당 곡을 불렀던 이쿠자와 유이치가 직접 자체 커버를 하기도 했다.#
한국판 |
노래: 박영탁
더빙판은 훗날 미스터트롯에서 2위를 하여 이름을 알린 영탁이 불렀다. 국내 유희왕 팬덤에서도 오랫동안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었으나, 2020년 4월 8일 라디오 스타 664회 방영분에서 본인이 직접 첫 소절을 부르면서 자신이 담당했다고 인증했다. (1분 33초부터) 해당 영상에서는 짤렸으나 방송에서는 멘트가 끝난 뒤 더빙판 엔딩 영상까지 자료 화면으로 나갔다. 마찬가지로 2020년 4월 27일 77억의 사랑에서도 자료 화면과 직접 노래하는 장면이 나왔다.
2.5. 5기
원곡 |
최종화 ver.[16] |
Full ver. |
가사 |
|
곡명: 『EYE'S』
화수: 제190화~224화
작사 : 마이크 스기야마(マイクスギヤマ)
작곡, 아티스트: 이쿠자와 유이치
Eyes 라는 가사가 오프닝과 맞물리는 것이 특징. 작화 역시 오프닝과 같이 카가미 타카히로가 작감을 맡아 무척 퀄리티가 좋다.
3. 관련 문서
[1] 이 곡의 상징이나 마찬가지인 가사. 컬트적인 가사기는 하지만, 사실은 원작의 시놉시스이자 일본판 도입부에 매번 나오던 내레이션을 한 줄로 요약한 문장이다.[2] 음원 버전에서는 '빛과 어둠의 듀얼리스트 모두 감추는 포커페이스'로 나온다.[3] 이유는 알 수 없으나, 한국 더빙판에서는 2기까지 같은 오프닝을 쓰고 배틀시티 편부터 3기 오프닝으로 바뀌었다. 다만 공중파 방영 애니메이션에서 도중에 오프닝 및 엔딩을 변경하는 경우가 드물기에 딱히 이상한 일은 아니다.[4] 2003년 대학가요제 대상을 받은 남성 록힙합 듀오. 당시 '강요' 라는 노래로 대상을 수상했으나, 이후로는 별 다른 행보가 없다.[5] 1기 엔딩인 THE ONE과 가수만 다를 뿐, 나머지 구성은 같다.[6] 더빙판 어디에서도 2기 오프닝 영상으로 시작하는 편은 없다.[7] 최강야구의 경우엔 본 곡 외에도 후속작인 유희왕 GX의 테마곡 등을 유희관이 나와있을 때 사용하고 있다.[8] 단, 오쿠이 마사미가 JAM Project에 합류한 것은 이 노래를 부른 후로부터 약 2년 뒤의 일이다. 이 당시만 해도 아직 오쿠이가 야부키 토시로의 영향을 받았음을 보여줄 정도.[9] 참고로 이때 스포일러 방지를 위해서인지 이유는 알 수 없지만 구울즈 멤버중 유일하게 판도라가 사용했던 몬스터의 소환 연출이 없다.[10] 또한 구울즈가 소환한 몬스터 중 하나인 메가소닉 아이는 블랙 매지션과 블랙 매지션 걸에게 파괴되는 연출씬에서 여사신 누비아로 바뀌는 소소한 오류가 있다. 그 카드의 경우 빛과 어둠의 가면이 썼으나 애니에선 성스러운 인형으로 대체되었다.[11] 작중에는 마자키 안즈의 핸드폰 벨소리로 나오다 보니 국내판에서는 벨소리로나마 들을 수는 있다.[12] 단, 이 통계 자체가 조작 논란이 있었으며 실제로 이 통계를 낸 프로그램의 MC가 부른 노래인 'INVOKE'와 'ignited'가 각각 1위와 3위에 랭크되어있다. 일종의 이벤트성 통계로써 너무 신빙성 있게 받아들이지는 않는 게 좋을 듯하다.[13] 발라드의 황제로 알려진 신승훈과는 동명이인이다. 한국어 버전의 목소리만 들어봐도 전혀 다른 사람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여담으로 조이드 신세기 슬래쉬 제로의 오프닝도 불렀으며 이쪽은 국내에서 직접 편곡한 곡이다.[14] 사실 이 곡을 발표하기 전에는 토에이판 주제가를 담당한 가수들처럼 BEING 소속이었다. 이쿠사와 유이치라는 이름으로 솔로 및 TWINZER라는 유닛으로서 활동하는 한편 다른 가수들의 악곡에 코러스로 빈번히 참여했다.[15] 그마저도 처음이 아닌 중간부터 나왔다.[16] 리마스터판에선 짤리고 일반 엔딩이 들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