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0 08:26:06

윤석열 대통령 지키기 국민대회/전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윤석열 대통령 지키기 국민대회
1. 2024년2. 2025년
2.1. 1월2.2. 2월2.3. 2월 1일2.4. 2월 8일

1. 2024년

2024년 삼일절#, 현충일#,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 등에도 지속적으로 광화문에서 태극기 집회를 개최했지만 윤석열 대통령 탄핵론이 본격적으로 대두된 2024년 10월부터 윤석열 대통령 지키기 국민대회가 시작됐다.[1]

상술했듯 코로나19 사태가 종식되면서 집회에 대한 규제가 본격적으로 해제된 2023년부터 2024년 초까지 거의 매 주 동안 태극기 집회를 개최하다가 2024년 10월부터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윤석열 탄핵론이 대두되자 주최측에서 집회 이름을 '윤석열 대통령 지키기 국민대회'로 명명하였다. 2024년 말부터 매주 토요일 광화문광장에서 집회가 진행되고 있으며 2025년 1월에 들어선 오후 4시부터 청년집회 또한 진행되고 있다.

2. 2025년

2.1. 1월

파일:STS.jpg
1월 대통령 관저 앞 탄핵 반대 집회
공수처가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을 발행하자, 한남동 관저 앞에서도 이와 같은 집회가 열렸다.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이 집행되기 이전까지, 참석자들은 밤낮마다 교대하며 관저 앞을 지켰다.

2.2. 2월

2.3. 2월 1일

파일:부산집회1.png
2월 1일 부산역 탄핵 반대 집회 항공샷
전국적으로 집회가 개최되었다. 서울에서는 광화문, 종로, 여의도, 강남역 등 4곳에서 탄핵 반대 집회가 개최되었고# 인천, 부산[2], 포항, 울산, 대구, 춘천, 등등 전국 열두곳에서 탄핵반대 집회가 개최되었다.

2.4. 2월 8일

파일:대구집회1.jpg
2월 8일 동대구역 탄핵 반대 집회 항공샷
2월 8일, 동대구역과 광화문에서 탄핵 반대 집회가 개최되었다. 대구에서는 전한길 강사가 참석해 연설을 진행했으며, 언론사 추산 2만 5천명에서 15만명, 경찰 추산 5만 2천명이 참석하였다.##

[1] 파일:윤석열 대통령 지키기 국민대회 광고.jpg[2] 부산에서는 그라운드 C, 전한길 등이 집회에 참가해 연설을 하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2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2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