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8 21:36:08

은어

은폐어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물고기에 대한 내용은 은어(어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관련 개념3. 여담4. 참고 문서

1. 개요

은어()는 어떤 계층이나 부류의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이 알아듣지 못하도록[1] 일부러 만들어낸 표현들이다.

더욱 보안을 강화한 형태로 발전하면 암호(음어)가 된다.

주로 비밀스러운 행위를 할 때나 그러한 집단에서 많이 쓰인다. 음지의 조직폭력배, 군사기밀이 많은 군대, 남몰래 침투한 첩보원, 사회적 소수자에 속하는 집단은 은어를 자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사회적으로 저속하게 여겨지는 대화를 할 때에도 은어가 많이 쓰이는 편이다.

많은 경우 공공의 영역에서 쓸 수 있는 비은어적 표현이 존재하곤 한다. 그런 표현이 존재하지만 알려지기 싫다는 이유에서 그 표현을 쓰지 않고 은어를 새로 만들 때가 많기 때문이다.[2] 가령 유명한 은어(유명해져서 은어의 기능을 상실했지만)인 '학교'는 비은어적 표현인 '교도소'로 대응된다.

비밀로 하긴 하지만 대체로 암호화의 수준은 그렇게 높지 않다. '슴가' 같은 음절 치환 단어, '학교'처럼 의미 유추가 어느 정도 가능한 표현일 때가 많다. 심하게 암호화하면 은닉성은 높아지지만 소통성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한정된 사람들끼리 쓰는 말이라 해도 '이 단어는 이러이러한 뜻이다'라고 교육을 하는 것도 아니니 과하게 꼬아서 못 알아듣게 만들기는 어려운 환경이다.[3] 그런 이유로 은어는 곧잘 의미가 파악당하며 은어의 속성을 잃는 일이 다반사이다. 그렇지 않고 고도로 암호화된 은어는 정말 발각되면 안 되는 군대 음어, 범죄 집단의 은어 등 지극히 사용 범위가 한정되며 이런 건 인터넷 같은 데에 잘 노출되지도 않고, 노출되는 순간 바로 폐기하여 은닉성을 유지한다. 그래서 그런 것들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은어는 '자기들끼리 사용하기 위해 약간 돌려 말하는' 정도에 그치며 보통 속어와 유사한 경향을 띈다.

은닉을 목적으로 하므로 의도 계층/분야 너머로 확산되면 은어의 성질을 잃게 된다. 후술하듯 대부분의 은어는 속어이므로 잘 알려진 은어들은 은어성을 잃고 속어로서의 성질만을 지니게 된다.

2. 관련 개념

  • 속어: 세간에서 쓰는 비격식적인 말을 가리킨다.
    절대다수의 은어는 속어이다. 격식적인 발화는 사회 공적인 상황으로 개방되어있는 것이 보통이며, 격식은 대체로 불특정 다수에 노출되는 환경에서 사회적 목적을 위해 구현되기 때문이다.[4] 은어가 생겨나는 "숨기려고 말하는 상황"은 애초에 격식어가 쓰이기 어려운 환경이다.
    반대로 모든 속어가 은어는 아니며 은어가 아닌 속어는 아주 많다. 다만 남에게 뜻을 숨기려는 의도는 없지만 특정 계층, 분야에서 쓰려는 목적을 지닌 말이기에 해당 계층, 분야에서 벗어난 이들은 대체로 잘 못 알아듣는다. 예컨대 청소년들의 유행어는 숨길 생각도 없이 길거리에서도 자주 쓰곤 하지만 어른들은 세대차로 인해 잘 못 알아듣는다. 군대는 폐쇄적인 집단인지라 굳이 숨기려는 의도가 없어도 군대 속어들은 대체로 은어와 가깝게 된다. 은어라고 분류하려면 '바깥 사람들이 일부러 못 알아듣게 하는' 최소한의 의도성이 있어야 한다.
    반대로 은어로 만들어졌어도 세간에 너무 잘 알려지면 속어나 마찬가지가 된다. 나무위키 등의 웹사이트에서도 찾아볼 수 있을 정도로 일반인에게 이미 알려진 짭새, 학교를 비롯한 여러 은어들은 이미 은어의 기능을 상실하고 속어화가 완료된 예이다.[5]
  • 전문 용어: 전문 용어도 약간의 은어성이 있다. 이들 용어들은 분야와 밀접히 연관되어있으므로 분야 외의 일반인들은 잘 알아듣지 못하며, 애초에 설명을 해도 이해를 못할 때도 많다.[6] 종종 업계에서 일반인은 못 알아듣게 하려는 의도에서 일부러 전문 용어를 쓸 때도 있다.
    패션 디자인 업계, 건축 현장에서 쓰는 많은 일본어에서 유래한 현장 용어들이 이에 해당된다.
    영어로는 jargon이 이런 부정적인 뉘앙스의 전문 용어를 가리킨다.
  • 신조어: 새로 만든 말을 뜻한다. 만들어진 지 얼마 안 되었기 때문에 모르는 사람들이 많긴 하지만 일부러 모르게 하려는 것은 아니고, 오히려 더 많이 알게 하려고 홍보하는 경향이 있다. 비격식적인 환경에서 쓰이는 속어에서 신조어가 많이 생기긴 하지만 격식적 신조어도 없지는 않다.
    예를 들어 특검에서 박근혜를 '왕회장'으로, 사면을 '귀국'으로, 사면 대가를 '숙제'로 바꿔 부르는 것은 은어에 해당되지만 신조어는 아니다.
  • 음어: 군대에서 쓰는 암호로, 아예 보안 체계의 일부로 포함된 형태의 은어이다. 은어와는 달리 음어는 유출하는 경우 군사적 문제가 될 수 있다.
  • 때로 일반 대중들이 거의 또는 전혀 안 쓰는 고어사어가 은어의 형태로 부활할 수 있다. 후자의 예로는 '조작'의 변형/변음으로 생긴 '주작' 때문에 원래 '주작'이 부활한 것이 있다.

3. 여담

  • 역사적 예로는 영국군 전차의 암호명으로 쓰인 '탱크'가 있다. 물론 이제는 속어의 단계도 넘어서서 전세계에서 해당 병기를 지칭하는 가장 일반적인 명칭이 되었다.
  • 대답하기 어렵다고 다 은어인 것도 아니다. 신조어 중 '아햏햏'같이 물어봐도 화자가 뜻을 대답하기 어렵고 몸으로 터득해야 해서 설명하기 거시기한 경우도 일부러 뜻을 숨기는 게 아니기 때문에 은어가 아니다.
  • 백화점, 대형마트 등 서비스 업종에서도 임직원들이 화재, 지진, 테러 등 위급상황 발생 시 고객들에게 혼란을 주지 않기 위해 무전으로 은어를 쓴다.[7]

4. 참고 문서



[1] 즉 의도적으로 의미 투명성을 떨어트리는 것이다.[2] 한편 속어는 대응 격식어가 없을 때도 많다. 격식적 환경에서 잘 쓰이지 않는 표현은 격식어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3] 그래서 오히려 전문 용어의 은닉성이 더 오래 지속되는 경향이 있다. 아래 각주의 예를 들면 공사판에서 '아시바' 같은 건 공사를 위해서 무조건 알아야 하는 표현이기 때문에 은어의 교육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그러니 이런 용어들은 자연히 사라지지는 않는 편이다.[4] 때문에 사석에서의 발화는 좀 더 비격식적인 것이 보통이다.[5] 더 나아가 속어의 비격식성마저 탈피하여 격식어에 편입되는 예도 드물게 있다. 아래의 '탱크'가 그런 예이다.[6] 그리고 일반인에게 말할 일도 별로 없다. 가령 건물 건설 현장의 발판을 가리키는 비계는 종종 "아시바"라고 부르곤 하는데, 일반인은 애초에 아시바 근처에 갈 일도 없다.[7] 코스트코는 비상사태 발생 때 은어가 아닌 사이렌을 울린다고 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