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한국의 독립운동가. 의병. 1993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2. 생애
이규현 (李奎顯)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우문(于文).명오(明五). 호는 광암(廣菴).광거재(廣居齋) 를 쓰며 충무공 이순신의 10대손 이다.[1]1869년 1월 1일 경기도 여주군(驪州郡, 현 여주시) 흥천면(興川面) 외사리(外絲里)에서 태어나 단양 품달마을에 살았다.
숙부이자 유중교(柳重敎)의 문인인 이필희(李弼熙)에게 배웠고, 후에 장담에 출입하면서 유중교와 유인석(柳麟錫)에게도 배웠다.
3. 활동
1095년과 1907년 사이 충청도와 강원도 지역에서 의병으로 활동하였다.단발령 이후 제천을 중심으로 봉기한 유인석의 호좌의진에 여러 동지들과 함께 참여하였으나 실패한 후로는 단양 장정리(長亭里)에 은거하였다.
1905년(고종 42) 국권 침탈에 항거하는 원용팔(元容八)·정운경(鄭雲慶) 등의 의병 봉기에도 참여하였으나 초반에 실패하고 말았다.
1907년(순종 1) 고종의 강제 퇴위와 군대 해산이 있은 후 이강년이 재차 의병을 일으키자 참여하여 사서와 참모로 활동하였다.
이강년이 체포된 이후로는 장정마을로 돌아와 은둔하다가 1961년 1월 15일 세상을 떠났다.
4. 저서
제천과 단양 등지 의병들의 활동을 기록한 『취정록(就征錄)』과 대한제국 말 대표적 의병인 이춘영(李春永)·주용규(朱庸奎)·안승우(安承禹)·홍사구(洪思九)·서상렬(徐相烈) 등 동료 의병들의 활동을 담은 『육의사찬문(六義士讚文)』 등이 있다.5. 참고 문헌
독립운동 인명사전https://search.i815.or.kr/dictionary/detail.do?searchWord=%EC%9D%B4%EA%B7%9C%ED%98%84&reSearchWord=&searchType=all&index=1&id=10920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https://jecheon.grandculture.net/jecheon/toc/GC03301055?search=D3/3
[1] 제천시와 독립운동인명사전에 출생.사망 년도가 서로 다르게 기록 되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