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9-04 13:08:45

이극감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좌익공신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455년 9월 5일 세조에 의해 책록
수충위사동덕좌익공신 (1등)
권람 신숙주 윤사로 이곤
한명회1 한확 이증2
수충경절좌익공신 (2등)
강맹경 권반 양정3 윤암
이계린 이계전 이사철 전균
정인지1 정창손1, 4 최항 홍달손
윤형5
추충좌익공신 (3등)
구치관 권공 권자신6, 7 박강
박원형 성삼문6, 8 원효연 윤사윤
윤자운 이극감9 이극배 이예장
이징석 이휘6 정수충 조득림
조석문 조효문 최유 한계미
한종손 황수신 황효원 홍윤성10
김질11
1 1504년 갑자사화로 인한 제명, 1506년 중종 때 복권
2 1458년 6월 29일 세조에 의해 책록
3 1466년 연회에서 세조에게 양위를 종용한 혐의로 인한 제명
4 1456년 7월 3일 세조에 의해 3등에서 2등으로 책록
5 1455년 10월 22일 세조에 의해 책록
6 1456년 단종 복위 운동으로 인한 제명
7 1699년 숙종 때 복권
8 1691년 숙종 때 복권
9 1504년 아들 이세좌와의 연좌로 인한 제명
10 1455년 11월 12일 세조에 의해 책록
11 1456년 7월 3일 세조에 의해 책록
}}}}}}}}}

李克堪
1423년(세종 9년) ~ 1465년(세조 11년)

1. 개요2. 생애3. 기타
3.1. 서적 출판과 언해 사업 주도3.2. 조선의 명문 광주 이씨 문중사

1. 개요

조선 전기의 문신.

2. 생애

1427년(세종9)-1465년(세조11) 자는 덕여(德輿) 호는 이봉(二峯) 광성군(廣城君), 시호는 문경(文景)

광주 이씨로, 한양 교동(校洞)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영특하여 문과에 급제한 뒤 집현전에 들어갔다. 문과 중시(重試)에 합격해 부수찬이 되었고 세자시강원에 들어가 세자를 가르쳤다.

세조 6년에 국왕은 "내가 세자를 너에게 부탁하니 네가 잘 보필하면 나는 걱정이 없겠다"고 했고 이듬해에는 "경은 세자의 스승이라 내가 믿고 중시하는 바이다"라 했을 정로도 두터운 신임을 받았다. 그는 도승지, 이조참판을 거쳐 형조판서에 이르렀다.

부모 상을 번갈아 당한 뒤 1465년(세조11)에 38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고, 사후 2년 뒤인 1467년(세조13)에 좌익공신 3등으로 광성군에 봉해졌다.

그는 총명함이 남달라 한 번 본 내용은 모두 기억했고 깨끗한 처세로 명성이 높았는데 한 번도 술을 가지고 손님을 접대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집에서 술을 담그지도 않았다.

이극감보다 열 살이 많았던 세조는 경우에 따라서는 군신 관계를 떠나 친구처럼 그를 대했다.

우여곡절 끝에 왕위에 오른 세조는 자신의 아들인 후일의 예종을 그에게 맡겼다. 그리고 국가의 중요한 의사 결정이나 즐거운 일이 있을 때면 그에게 임무를 부여하고 기쁨을 함께 했다.

그는 국왕의 전폭적인 신임을 받아 38세에 형조판서에 임명됐다. 그가 세상을 떠난 지 3년 뒤에 왕위에 오른 예종은 이극감에게 보은하지 못했다. 만약 이극감이 조금만 더 오래 살았더라면 정승의 반열에 올랐을 것이다.

학문이 높고 높은 관직에 올랐다고 하더라도 문장에 있어서는 주목 받지 못하는 이들이 많다. 그러나 이극감은 명문장가로도 이름이 높았다 한다. 다만 그의 문집조차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문학적 소양을 가늠할 기초적 자료가 거의 없어 안타깝다.

다행히 사가 서거정이 편찬한 '동문선(東文選)'에 그의 시 몇 수가 올라 있어 어렴풋이나마 명문장의 일면을 볼 수 있다. 그중 한 수를 소개한다.

강가에 눈 녹아 강물 불었는데 江上雪消江水多
밤 들자 수심가 소리 들려오네 夜來聞唱竹枝歌
님과 이별한 슬픔 어찌 다하랴 與君一別思何盡
애절한 마음 저 물에 실어보내네 千里春心送碧波

고려의 대시인 정지상(鄭知常)의 시를 생각나게 하는 명작이다.

3. 기타

몸이 원최 약했는지 세조가 그 몸으로 파리 한 마리라도 잡을 수 있겠냐며 놀려댔고 이에 이극감이 나라의 큰일도 문제없다고 말하는데 당시 세자인 예종의 스승이었는데 이 때문에 세조가 "넌 세자에게 도덕이 아니라 어깨 솟은 것을 가르쳤을 뿐이 아니냐" 라고 또 놀려대며 제조로 삼아 소반과 밥그릇을 들게 하여[1] 어깨를 펴려고 한다며 웃었다고 한다(...)

3.1. 서적 출판과 언해 사업 주도

세조는 왕권을 강화하고 문물 제도를 정비함과 아울러 활발한 출판 사업을 펼친 왕이었다. 특히 1403년(태종 3)에 만들어진 조선 최초의 금속활자인 계미자(癸未字)와 1455년 (세종 원년) 을해자(乙亥字, 강희안 자) 이후 정축자(丁丑字, 세조3, 1457), 무인자(戊寅字, 세조4, 1458), 을유자(乙酉字, 세조11, 1465, 일명 정난종 자) 등 수 차례에 걸쳐 금속활자를 만들어 출판에 활용했다.

이 시기에 이극감은 뛰어난 학문과 문장력, 세조의 신임을 바탕으로 출간 사업을 주도했다. 당시 실록 사료를 보면, 그는 참으로 정력적인 사람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 가운데 주요한 업적은 신숙주, 한계희, 강희맹 등 당대를 대표하는 이들과 함께 신찬국조보감(新撰國朝寶鑑)을 찬술해 간행한 일이다. 또한 치평요람(治平要覽)과 의서(醫書)인 의방유취(醫方類聚)의 교정에 참여했으며, 초학자회(初學字會)의 언문(諺文) 주(註)를 다는 일, 명황계감(明皇誡鑑) 언해, 불경(不經) 언해사업 등에도 간여했다.

세조는 치평요람이 "정인지가 잘못된 것을 고치기는 했지만 추솔(麤率)해 정밀(精密)하지 못하다"고 지적하고 그 일의 마무리를 이극감에게 맡겼다. 이는 그의 학문적 깊이와 교정 능력을 동시에 알게 해주는 충분한 근거다. 다만 그의 진면목을 일목요연하게 보여줄 문집 자료가 남아 있지 않다는 점이 아쉽다.

3.2. 조선의 명문 광주 이씨 문중사

용재(容齋) 성현(成俔, 1439-1504)이 쓴 용재총화(容齋叢話)의 기록을 보면 "지금 문벌이 성하기로는 광주 이씨가 으뜸이고 그 다음으로는 우리 성씨(成氏)만한 집도 없다. 광주 이씨는 둔촌(遁村) 이집(李集, 1327-1387) 이후 점점 커졌으니 둔촌의 아들 지직(之直)은 참의였고, 참의의 아들이 셋인데 장손(長孫)은 사인(士人: 벼슬하지 않은 선비)이고, 인손(仁孫)은 우의정이었고, 예손(禮孫)은 관찰사였다. 장손의 아들 극규는 지금 판결사로 있다. 우의정 인손에게는 다섯 아들이 있었다. 극배는 영의정 광릉부원군(廣陵府院君), 극감은 형조판서 광성군(廣城君), 극증은 광천군(廣川君), 극돈은 이조판서 광원군(廣遠君), 극균은 지중추(知中樞)였으니 모두 일품(一品)에 올랐으며 이 네 아들은 나라에 공이 있어 모두 군(君)으로 봉한 것이다. 광성군은 비록 일찍 죽었으나 그의 아들 세좌는 지금 광양군(廣陽君)이다"라고 적혀 있다.

여기서 우리 성씨란 창녕 성씨(昌寧成氏)를 말한다. 용재는 후일 대제학과 판서를 지낸 정치가이며 문장가로도 유명하다. 그는 그 글에서 자신을 포함한 3형제가 동시에 판서를 지낸 것을 자랑하면서도 광주 이씨에게는 미치지 못한다고 말한 것이다.

광주 이씨의 명성은 조선 중기의 명문 해평 윤씨의 월정(月汀) 윤근수(尹根壽, 1537-1616)가 쓴 '월정만필(月汀漫筆)'에도 보인다. 광성군 이극감 집안은 8대를 연이어 문과에 급제했으며, 그의 아들 광양군 이세좌의 아우인 이세우(李世佑)의 집은 9대를 연이어 문과에 합격했다는 내용이다.

그래서 세조로부터 예종을 거쳐 성종 대에 이르기까지 '팔극조정(八克朝廷)'이라는 말이 세상에 회자(膾炙)되었다. 조정에 벼슬하고 있는 극(克)자가 들어간 광주 이씨 집안 종반(從班)들이 무려 8명에 달해 당시 국정을 쥐락펴락했다는 데서 나온 말이다.

청백리에 녹선된 둔촌 이집의 둘째 손자의 둘째 아들이 바로 이극감이다. 그의 증손자 중에는 이연경, 윤경, 준경 등과 같이 역사에 이름을 날린 인물만도 여럿이다.

소위 팔극의 자손들 가운데 둘째집인 극감의 후손들은 광주 이씨가 16세기 때 사림파(士林派)와 관계를 맺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극감의 아들인 이세좌와 손자 4형제는 함께 갑자사화로 화를 입었다. 그러나 그의 증손자들인 이연경과 윤경, 준경, 약수, 약해, 약빙 대에 이르면 정암 조광조, 모재 김안국, 청송 성수침, 퇴계 이황, 남명 조식 등과 학문적인 유대관계를 굳건히 해 사림의 명가로 거듭날 기반을 마련했다.

이연경은 한훤당 김굉필, 정암 조광조의 학통을 이어받았고 그 문하에 화담 서경덕, 소재 노수신(영의정, 경북 상주 출신,광산 노씨)과 같은 큰 인물을 대거 배출했다.

이극감의 아우인 이극돈의 5대손에 희대의 간신 이이첨(李爾瞻)이, 막내 동생 이극균의 5대손에 영의정 한음 이덕형(李德馨)이 났다. 이극돈은 유자광과 함께 무오사회를 일으켜 무수한 사림에게 피해를 준 인물로 지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그는 세종, 성종 대에 유능한 정치가이자 행정관으로 중용되었을 뿐 아니라 국방, 외교, 내치에 골고루 업적을 남긴 관료였다. 무오사화의 발단을 제공한 김종직이 도리어 국왕에게 미리 실록의 내용을 알리지 않았다는 이유로 북청으로 귀양을 갔다는 점은 역사 평가 작업이 쉽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극감의 맏아들인 세좌는 1482년(성종13) 8월 16일 좌승지로 사가에 있는 폐비 윤씨에게 사약을 들고가 왕명을 집행한 장본인이다.

이 일 때문에 윤씨의 아들로서 왕위에 오른 연산군의 분노를 사, 막내 삼촌인 이극균과 자신 그리고 아들 4형제를 포함한 광주 이씨 30여명이 함께 극형에 처하게 된다. 명문 광주 이씨의 문중이 누란(累卵)의 위기를 맞았던 사건의 중심에 이극감의 아들 세좌가 있었던 것이다.

1504년 갑자사화가 있은 2년 뒤 중종 반정이 있었고 이세좌의 손자 대에 이르러 광주 이씨 집안은 명실상부하게 재기한다. 그 배경에는 앞에서 언급한 대로 사림파와의 밀접한 관계가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1] 임금의 밥상은 많을 때는 임금이 먹은 것을 나인들이 나눠먹을 정도로 엄청 많다. 때문에 이를 나르기 위해서 근력이 필요한 것은 당연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