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08 14:07:57

이사도라 덩컨

이사도라 던컨에서 넘어옴

1. 개요2. 생애3. 영향4. 기타
4.1. 영화
5. 참고 자료

1. 개요

Angela Isadora Duncan

파일:이사도라덩컨.jpg

미국의 무용수.

2. 생애

1878년[1] 5월 26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출생했다. 집안이 가난해 독학으로 무용을 시작했으며 뒤에 ‘자유 무용’이라는 독특한 무용을 창시했다.[2] 1895년 오거스터 데일리 극단에 들어갔고 1898년 카네기 홀에서 에설버트 네빈의 음악인 『수선화』를 공연해 성공한 후 이듬해 영국으로 건너갔는데 그곳에서 박물관을 드나들면서 그리스 문화에 심취하게 되었다. 그리스 석상들을 보며 영감을 얻은 그녀는 그리스 의상과 같이 줄 몇 개로 고정된 천으로 만든 의상을 입고 맨발로 춤을 췄다.

1902년 유럽에서 선보인 공연이 큰 성공을 거둔 후 그녀는 성공가도를 달리기 시작했다. 1904년에는 러시아에서 공연을 했고 독일에 무용학교를 세우기도 했다. 1914년 프랑스에 무용학교를 세웠고 제1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자 무용학교를 야전병원으로 쓰게 하는 한편 1915년에는 『라 마르세예즈』에 맞춰 춤을 춰 반향을 얻었다.

1922년에는 소련 정부의 초청을 받고 소련에서 무용학교를 운영했는데 이때 25살의 젊은 천재시인 세르게이 예세닌을 만나 사랑에 빠져 결혼했다. 당시 그녀는 44세여서 예세닌과의 나이 차이가 많이 났는데 예세닌은 우울증과 알코올 중독을 앓았고 마음에 드는 물건을 곧바로 구입하는 기벽이 있어 결혼 전부터 자주 다퉜다.[3] 결혼 후 그녀가 미국에서 순회공연을 했을 때 예세닌도 따라갔는데 예세닌의 기행 및 덩컨의 공연 복장 문제, 코멘트 문제 때문에 공산주의자라고 비난받았고[4] 미국에서 돌아온 뒤에는 프랑스를 거쳐 소련으로 돌아갔다. 그 동안 부부싸움이 심해진 끝에 결국 별거했다.[5]

예세닌과 사별한 후 그녀는 프랑스에서 여생을 보내며 자서전을 구술했으며 1927년 9월 14일 니스 바닷가에서 부가티 타입 35를 타고 가다가 목에 두르고 있던 스카프[6]가 뒷바퀴에 말려 들어가는 바람에 몸이 튕겨져 나갔고 그 충격으로 목뼈가 부러져 향년 49세의 이른 나이에 숨졌다.[7]

이게 자살인지 사고사인지 지금도 확실한 게 없는데 그녀가 마지막 유언으로 프랑스어로 이렇게 말했기 때문이다.

3. 영향

그녀가 춤을 출 당시만 해도 사람들은 춤이라고 하면 으레 발레를 연상했으나 그녀는 틀에 박힌 발레 동작으로는 인간의 희노애락을 담아낼 수 없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토슈즈와 튀튀를 벗어던지고 좀 더 편한 옷차림과 맨발로 자유로운 몸짓을 보여줬다. 단, 그녀가 준비 없이 무대에 오른 것은 아니었다. 되려 음악에 걸맞은 몸짓과 옷, 무대장치 같은 세세한 부분을 미리 꼼꼼하게 준비했고, 몸짓을 종이에 그려 가면서 춤에 대해 연구했다.

그 결과 그녀는 단순히 우아하게 팔을 들어올리는 것만으로도 꽃봉오리가 피어나는 모습을 연출할 수 있었다. 이사도라에서 시작된 현대무용은 무용 세계에 신선한 바람을 일으켰고 오늘날까지 대중적으로 자리잡을 수 있었다.

4. 기타

가정사가 몹시 불행했다. 전술한 남편 예세닌은 물론이고 은행장이었던 아버지 찰스 덩컨은 그녀가 어렸을 때 파산해 어머니 이사도라 그레이와 이혼했다.[8] 그녀는 1906년 독일에서 무대 감독 고든 크레이그와의 사이에 딸 데어도르를 얻고 1910년 미국의 재력가 패리스 싱어와도 교제하여 아들 패트릭을 얻었다.[9] 1913년 비가 내리던 어느 날 무대 연습이 있던 덩컨은 먼저 자식들을 차에 태워 집으로 돌려보냈는데 하필 차가 세느 강 근처에서 빗길에 미끄러져 강으로 곤두박질치고, 사고가 일어난 지 1시간 반이 지난 후에 인양된 차에서 보모와 두 아이들은 싸늘한 시체로 발견되었다. 이 소식을 들은 그녀는 세느 강을 미친 듯이 뛰어다니며 아이들의 이름을 부르며 울부짖었다고 한다. 이후 조각가 로마노 로마넬리와의 사이에서 아들을 낳았지만 이 아이도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아 죽어 친자식은 없고 대신 제자이자 양녀가 6명(안나 덴츨러, 마리아테레사 크뤼거, 이르마 에리히그림, 엘리자베스 “리젤” 밀커, 마고트 “그레텔” 옐, 에리카 로흐만) 있다고 한다.[10] 조카에게서 태어난 방계 후손들도 남아 있다.

4남매 중 막내였으며 첫째는 엘리자베스(1871~1948), 둘째는 어거스틴(1873~1954), 셋째는 레이먼드(1874~1966)였다. 이들 중 어거스틴과 레이먼드는 이사도라와 마찬가지로 무용수로 활동했는데 어거스틴은 주로 미국과 영국을 오가며 연극 배우 활동에 매진한 반면 레이먼드는 유럽 곳곳을 쏘다니며 다양한 예술가들을 만나 자신만의 작품 세계를 구상하다가 그리스 전통 음악과 공예에 영향을 받아 미국으로 돌아가 관련 강연까지 한 팔방미인으로 활동했다.

키는 168cm로 당대 여성으로서는 상당히 키가 컸다.

4.1. 영화

전기 영화로는 1968년 영국 프랑스 합작 영화 《이사도라》가 유명하다. 이사도라의 자서전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당시 아직 생존해있던 이사도라의 측근들이 각본에 자문을 주기도 했다.

3시간 분량의 대작으로 기획되었으나 시사회에서 비평가들의 반응을 토대로 2시간 분량으로 편집되어 개봉하였다. 비평적으로는 그럭저럭 무난하다는 평가와 함께 흥행에는 실패했으나 주연을 맡은 영국의 명배우 바네사 레드그레이브의 연기만큼은 크게 호평을 받아 칸 영화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5. 참고 자료

  • <나의 삶 My Life>: 덩컨이 1927년에 구술한 자서전. 2003년에 한국에서 '이사도라 던컨'으로 출간되었으며 덩컨이 소련으로 떠나기 전 분량에서 끝난다. 소련행 이후 죽음까지의 분량은 부록으로 실렸다.
  • <불멸의 여인들>: 김후. 청아출판사(2009) 중에서 두드려라, 열릴 것이니 - 혁명가 장의 덩컨 편.
  • <불멸의 무용가들>: 이덕희. 작가정신(2000) 중에서 덩컨 관련 내용.[11]
  • <무용의 역사>: 임인선. 스포츠북스(2010) 중에서 덩컨 관련 내용.

[1] 어느 자료에는 1877년 출생으로 기록되기도 했다.[2] 잠시 개인교습으로 발레를 배운 적은 있지만 발레의 지나친 형식미를 싫어해 곧 그만뒀다.[3] 평소 결혼에 부정적이던 덩컨이 연하인 예세닌에게 반한 걸 두고 호사가들이 푼 썰이 많았는데 그 중 하나는 예세닌의 외모가 프랑스 파리 세느 강에서 자동차 추락사고로 죽은 아들 패트릭이 성장한 모습 같다고 생각한 덩컨이 반했다는 거였다.[4] 자서전 한국판 481~483페이지.[5] 예세닌은 1925년 12월 28일에 레닌그라드에서 손목을 긋고 자살했다. 죽기 전에 레프 톨스토이의 손녀인 소피야 안드레예브나 톨스타야(1900~1955. 레프 톨스토이의 9번째 자녀 안드레이 르보비치의 딸.)와 결혼했으나 법적으로 덩컨과 이혼하진 않은 상태였기 때문에 소련 정부에서는 예세닌 사후에 덩컨을 상속인으로 지명했다.(출처는 한국판 자서전 494~496페이지)[6] 그녀가 그날 맸던 스카프는 남편인 예세닌이 생전에 가장 좋아했던 스카프였다고 한다.[7] 위기탈출 넘버원에서 스카프 끼임 사고에 대해 방영할 당시 소개된 적이 있다.[8] 사실 파산 외에도 아버지의 바람기가 심했다고 한다.[9] 그러나 두 남자 중 누구와도 결혼하지 않았다.[10] 이들은 이사도라블(Isadorables)이라고도 불렸다.[11] 326~33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