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3 00:01:42

이세필


<colbgcolor=#b82643><colcolor=#fff>
조선국 증 의정부 좌찬성
문경공(文敬公)
이세필
李世弼
출생 1642년(인조 20)
사망 1718년(숙종 44)
국적 파일:조선 어기.svg 조선
본관 경주 이씨
군보(君輔)
구천(龜川)
시호 문경(文敬)
장남: 이태좌(李台佐) - 좌의정
차남: 이정좌(李鼎佐) - 선공부정
3남: 이형좌(李衡佐) - 충청도관찰사
4남: 이경좌(李景佐)
장녀: 고령 박씨 박항한(朴恒漢)[1]의 처
차녀: 안동 권씨 권섭(權燮)의 처
3녀: 원주 원씨 원명구(元明龜)[2]의 처

1. 개요2. 생애3. 가족관계4. 대중매체

[clearfix]

1. 개요

조선의 문신.

2. 생애

선조 때 영의정 이항복(李恒福)의 증손이며, 이조참판 이시술(李時術)의 장남이다.

1674년(현종 15) 2차 예송논쟁(갑인예송)으로 송시열(宋時烈)이 삭직당하자 분개하여 선비들과 함께 송시열을 옹호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4년간 유배되었다. 1679년(숙종 5) 동몽교관이 되었고, 1684년(숙종 10) 형조좌랑을 거쳐 용안현감, 진위령, 삭녕군수 등을 지냈다.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으로 서인의 종주인 이이(李珥)와 성혼(成渾)을 문묘로부터 출향(黜享)하자 관직을 버리고 학문에 매진하였다. 1694년(숙종 20) 갑술환국 이후 김제군수를 거쳐 사복시정, 장악원정 등을 지냈다. 이후 한성부우윤, 형조참판 등을 제수받았으나 관직에 나아가진 않았다. 고향에서 성리학, 예학 등을 연구하였고 20여 권의 저술을 남겼다. 1718년(숙종 44) 졸하였다. 1722년(경종 2) 이조판서에 추증되었고, 1723년(경종 3) 다시 의정부 좌찬성에 추증되었다. 전남 영광의 백산서원(柏山書院)과 전북 김제의 용암서원(龍巖書院)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경(文敬)이다.

3. 가족관계

이세필의 장남은 이태좌(李台佐)로 영조 때 6조 판서를 모두 거쳤고 1728년(영조 4) 우의정, 1729년(영조 5) 좌의정에 이르렀다. 3남인 이형좌(李衡佐)는 충청도·공홍도[3] 관찰사를 지냈다. 장남 이태좌의 장남 이종성(李宗城)은 영의정을 지냈고, 3남 이형좌의 장남 이종백(李宗白)은 이조판서를 지냈다. 외손자는 암행어사로 유명한 박문수(朴文秀)이다.

4. 대중매체

드라마 동이영조의 스승으로 등장한다.
[1] 박문수(朴文秀)의 아버지.[2] 부친은 흥평위(興平尉) 원몽린(元夢麟). 모친은 효종의 딸인 숙경공주(淑敬公主).[3] 조선시대 충청도의 이름은 수차례 변경되었다. 충주와와 청주를 따서 충청도라고 한 것처럼 공주와 홍주를 따서 공홍도라고 한 적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