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1 00:09:46

이소연(쇼트트랙)

이소연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스포츠토토빙상단
스포츠토토빙상단 쇼트트랙팀 /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rowcolor=#ffffff> 남자
김동욱 박장혁 한승수 정원식 김건우
<rowcolor=#ffffff> 여자
이소연

'''파일:팀 코리아 워드마크.svg'''
<rowcolor=#fff> 남자
박지원 장성우 김건우 김태성 이정수 박장혁
<rowcolor=#fff> 여자
김길리 최민정 심석희 노도희 이소연 김건희
<colbgcolor=#ffffff,#0B1727><colcolor=#000000,#ffffff>
이소연
Lee Soyoun
출생 1993년 4월 16일 ([age(1993-04-16)]세)
경기도 수원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탑동초등학교 (졸업)
평촌중학교 (졸업)
평촌고등학교 (전학)
행신고등학교 (졸업)
단국대학교 (졸업)
종목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종목: 500m, 1000m
소속 스포츠토토
국가대표 2012-13, 2016-17, 2022-23~2024-25 (5시즌)
SNS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
2.1. 2012-13 시즌2.2. 2016-17 시즌2.3. 2022-23 시즌2.4. 2023 세계선수권2.5. 2023-24 시즌2.6. 2024 세계선수권2.7. 2024-25 시즌
3. 수상 기록
3.1. 주요 국제대회 성적3.2. 월드컵 성적
4.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여자 쇼트트랙 선수다.

2. 선수 경력

2.1. 2012-13 시즌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6위를 기록해 월드컵 멤버로 대표팀에 승선했다. 캘거리 월드컵 1차대회 1000m 금메달, 나고야 월드컵 3차대회 1500m 금메달 및 1000m 동메달, 드레스덴 월드컵 6차대회 1000m 은메달을 획득했다.

2.2. 2016-17 시즌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탈락했고, 예비 국가대표 명단에도 이름을 올리지 못했으나, 2017 삿포로 동계 아시안 게임 준비로 5차, 6차 월드컵에 불참한 상위 순위 선수들의 공백을 매우기 위해 대표팀에 합류했다. 이후 민스크에서 열린 월드컵 6차대회에서 3000m 계주에 참가해 동메달을 획득했다.

2.3. 2022-23 시즌

2.3.1. 국가대표 선발전

국가대표 1차 선발전 종합 8위를 기록했으며, 2차 선발전 500m 3위, 1500m 2위, 종합 4위를 차지하여 전체 5위로 국가대표에 선발됐다.

2.3.2. 월드컵 시리즈

  • 1차
개인 종목 중 500m와 1000m(1) 종목에 출전해 모두 준준결승에서 탈락했다. 혼성 2000m 계주 준준결승에 출전해 금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 2차
개인 종목은 500m(1)과 500m(2)에 출전했다. 1차 레이스는 준준결승에서 탈락했고, 2차 레이스는 예선 탈락했으나 패자부활전 준준결승-준결승에서 모두 1위를 기록해 다음 라운드 진출했다. 이후 준준결승에서 5위를 기록했다.

2000m 혼성 계주 결승에서는 2번 주자로 참가했다. 여자 대표팀 멤버 중 기량이 가장 낮다고 평가되는 선수이다 보니 예선이나 준결승이 아닌 결승 엔트리에 이름을 올렸다는데 우려가 많았고, 경기에서도 자신의 순서에서 추월을 당하거나 상대 주자들과 거리가 벌어지는 모습을 보여줬다. 심지어 이소연이 상대한 주자들은 현재 최고의 여자 선수로 맹활약 중인 네덜란드의 쉬자너 스휠팅과 미국의 에이스 크리스틴 산토스였다. 다행히 경기 중후반 스휠팅이 넘어지는 행운이 잇따랐고 한국의 마지막 주자 홍경환이 저력을 발휘해 은메달을 땄다.
  • 3차
500m 예선을 킴 부탱에 이은 2위로 통과했다.

1500m 준결승에서는 경기 중반에 아웃코스 추월 기회를 봤지만 스피드가 부족해 실패했고, 3바퀴 남은 상황에서 번뜩이는 움직임으로 과감한 인코스 추월을 시도하던 도중 일본의 와타나베 아오이의 스케이트와 팔에 충돌하며 넘어지고 만다. 주심은 이소연과의 충돌 과정에서 서로의 공동 책임으로 판단하여 둘 중 누구에게도 페널티를 주지 않았으며, 충돌 과정에서 피해를 본 야라 판케르코프쉬아이리에게 어드밴스를 선언했고, 와타나베 아오이를 파이널 B에 진출시킨다. 이소연의 결승 진출 여부는 시간 기록으로 결정되게 했으나, 2, 3조에서 더 좋은 기록이 나오며 준결승에서 탈락한다.
  • 4차
500m(2차)에서는 준준결승에서부터 굉장한 선전을 보이며 결승까지 진출했다. 결승에서는 스타트 상황에서 두 번이나 재경기를 했는데, 두 장면 모두 이소연이 다른 선수들과 같이 넘어지는 상황이었다. 세번째 재경기에서는 3위로 출발했으나 경기 막바지에 집요하게 추월을 시도한 미셸 벨제부르에게 추월을 허용한 이후 중심을 잃으며 엉덩방아 찍으며 벨제부르, 야서파티, 그리고 뒤에서 오던 김길리, 리키 도크까지 무려 4명의 선수를 모두 넘어뜨리는 진기한 장면을 연출했다. 이후 넘어지면서는 5위로 결승선을 통과하여 메달 획득에는 아쉽게 실패했다. 다행이도 경기 후 혼자 펜스를 넘을 수 있을 정도의 모습을 보여주었기에 부상을 당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3000m 계주 결승에서는 보통 자신이 맡는 3번 주자가 아닌 4번 주자로 출전했다. 자신의 마지막 차례에서 캐나다에게 따라잡혀 터치 구간에서 다음 주자인 서휘민코트니 사로에게 추월 당하기도 했으나, 2번 주자 심석희가 선두를 탈환하며 금메달을 받았다.
  • 5차
1000m와 500m에 출전한다.

1000m 예선에서 2위로 준준결승에 진출했다.

500m 1차 예선에서는 스타트를 1위로 끊어 선두를 달렸으나 후반에 살짝 뒷심이 딸리며 코린 스토다드에게 추월을 허용한다. 이후 인코스를 공략하려는 코냐 조피아에게는 추월을 허용하지 않으며 2위를 지켜내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2차 예선에서는 리키 도크와 나탈리아 말리셰프스카 모두 500m에 강한 선수들이라 준준결승 진출이 어려웠으나 말리셰프스카에게 추월을 허용한 직후 바깥으로 밀려난 도크의 안쪽으로 파고들어 2위를 기록해 준준결승에 갔다.

500m 준준결승에서는 2번 레인의 코트니 사로보다 스타트가 빨라 쉬자너 스휠팅에 이은 2위로 출발했으나 레이스 후반에 사로와 코린 스토다드에게 차례로 추월당하며 4위를 기록해 준결승 진출은 무산되었다.
  • 6차
1000m(1차) 준준결승에서 크리스틴 산토스코린 스토다드에 밀려 3위로 결승선을 지났지만, 이후 시간 기록으로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에서는 크리스틴 산토스와 킴 부탱이 선두권을 굳힌 상황에서, 3-4위 싸움을 하던 미셸 벨제부르코린 스토다드가 충돌한 틈을 타 둘을 앞질러 3위를 기록했다. 하지만 1조에서 3위를 기록했던 다나에 블레의 기록이 조금 더 빨라 이소연은 파이널 B에 진출했다. 파이널 B에서는 미셸 벨제부르에 이은 2위를 기록했다.

3000m 계주 준결승에서는 3번 주자로 나섰지만 2번 주자 김길리에게 날 문제가 생긴 것인지 경기 중반부터 주자로 나서지 못했고, 결국 남은 멤버들이 각각 조금씩 더 스케이트를 타며 분주했지만 결국 캐나다와 이탈리아를 따라잡지 못하고 3위를 기록해 파이널 B에 보내졌다.

500m 준준결승에서는 불리한 5번 레인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5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2.3.3. 2023 사대륙선수권

김길리김건희가 출전할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심석희와 이소연이 최민정과 함께 개인전 세 종목에 출전하는 것이 확정되었다.

1500m 준결승에서 3위를 기록해 파이널 B로 갔다. 이후 파이널 B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

500m 준준결승에서는 크리스틴 산토스에 이어 2위로 스타트 했고 그대로 순위를 유지해 준결승에 진출했다. 500m 준결승에서는 심석희에 이은 2위로 출발했으나 막판에 코린 스토다드에게 인코스 추월을 허용해 4위를 기록하며 파이널 B에 진출했다. 파이널 B에서는 2위로 출발했지만 최민정에게 추월을 허용해 3위로 경기를 마쳤다.

3000m 계주 준결승에서는 3번 주자로 출전했고, 팀은 1위로 결승에 진출했다.

1000m 준준결승에서 일본의 히라이 아미를 상대로 아웃코스 추월을 하다 한번은 막혔으나 이후 성공시켜 2위를 기록, 준결승에 진출했다. 이후 준결승에서는 코트니 사로심석희에 이은 3위를 기록했지만 시간 기록으로 결승행에 올랐다.

2000m 혼성 계주에서도 1번 주자로 출전했고, 캐나다의 상대 주자인 코트니 사로에게 단숨에 따라잡히는 모습이 나오기도 했지만 추월 허용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팀은 1위로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도 1번 주자로 출전했는데 자신의 첫 순서에서 2번 주자인 최민정과 교대하기 직전에 중심을 잃고 넘어졌다. 캐나다가 중간에 넘어지기는 했으나 초반부터 빠르게 진행되는 혼성 계주였기 때문에 이미 한국과 격차가 컸던 상황이었으며 순위를 뒤집기는 역부족이었다. 게다가 이소연은 이번 대회에서 이미 너무 많은 경기를 소화했기에 굳이 혼성 준결승과 결승 두 번 모두 이소연을 투입한 코치진의 결정도 의문이라는 반응이 많다.

3000m 계주 결승에서도 3번 주자로 출전했다. 심석희와의 체급차이를 감안해도 큰 무리없이 잘 푸시를 해주는 모습을 보여주었다.[1] 이후 심석희의 결정적인 인코스 추월과 최민정의 마무리로 한국이 여자 계주 금메달을 가져왔다.

이번 대회에서 가장 많은 경기를 뛰며 엄청난 강행군 일정을 소화했다.
  • 4차
2000m 혼성 계주와 3000m 여자 계주에서 모두 금메달을 차지했으나 500m(2)에서는 5등, 1500m에서는 준준결승에서 페널티를 받으며 계주에 비해서 개인전에서는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
  • 5차
3000m 여자 계주에서 동메달을 차지했으나 500m와 1000m에서는 각각 최종 15등과 16등을 했다.
  • 6차
1000m에서는 최종 8위, 500m에서는 최종 18등을 했다.

2.4. 2023 세계선수권

* 계주 멤버로 참가했으며 여자 대표팀은 최종 은메달을 따냈다.

2.5. 2023-24 시즌

2.5.1. 국가대표 선발전

국가대표 1차 선발전 첫날 1500m 1위, 500m와 1000m에서 5위를 차지하며 종합 2위를 기록했으며, 2차 선발전 500m와 1000m 5위로 종합 7위를 차지하여 합산 전체 5위로 국가대표에 선발됐다.

2.5.2. 월드컵 시리즈

  • 1차
개인 종목 중 500m와 1000m(1) 종목에 출전해 1000m(1)에서 은메달을 따며 오랜만에 개인전에서 메달을 따냈지만 500m는 최종 5위로 마무리했다. 그리고 혼성 계주에서는 은메달을 따냈지만 아쉽게도 여자 계주에서는 4위를 해서 메달을 따내지 못했다.
  • 2차
3000m 계주에서 은메달을 따냈지만 혼성 계주는 최종 4위, 1500m(1)은 최종 9위 그리고 1000m는 최종 5위를 했다.

2.5.3. 2024 사대륙선수권

* 김길리가 사대륙선수권에 불참하고 김아랑이 계주만 타게 되면서 개인전 전종목을 탔지만 개인전 메달은 따지 못했고 여자 계주에서만 은메달을 따냈다.
  • 3차
3000m 계주에서 은메달을 따냈지만 혼성 계주는 최종 4위, 1500m(1)은 최종 9위 그리고 1000m는 최종 5위를 했다.
  • 4차
3000m 계주에서는 은메달을, 2000m 혼성 계주에서는 미국과 함께 공동수상으로 동메달을 따냈다. 1000m에서는 최종 15등, 500m에서는 최종 8등을 했다.
  • 5차
2000m 혼성 계주에서 동메달을 따냈지만 개인전에서는 큰 결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 6차
500m(1)에서는 예선에서 실격했고 1000m에서는 최종 13위를 했다. 여자 계주와 혼성 계주에서는 모두 은메달을 따냈다.

2.6. 2024 세계선수권

* 계주 멤버로 참여했으며 1500m는 26위, 여자 계주에서는 최종 4위를 했다.

2.7. 2024-25 시즌

2.7.1. 국가대표 선발전

* 1차에서 최종 3위를 기록했다. 이어진 2차에서는 1500m 24위, 500m 6위, 1000m 4위를 기록하며 최종 종합 5위에 올라 아시안 게임 계주 멤버로 선발되었다.

2.7.2. 월드 투어 시리즈

  • 1차
여자 계주와 혼성 계주에서 은메달을 따냈다.
  • 2차
여자 계주는 최종 4위, 혼성 계주는 최종 5위를 했다.
  • 3차
여자 계주와 혼성 계주 모두 은메달을 따냈다.
  • 4차
여자 계주에서 최종 3위로 동메달을 따냈다.
  • 5차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 출전으로 인해 불참했다.

2.7.3.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

3. 수상 기록

3.1. 주요 국제대회 성적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선수권
은메달 2023 서울 3000m 계주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사대륙선수권
금메달 2023 솔트레이크시티 3000m 계주
은메달 2024 라발 3000m 계주
파일:FISU 로고.svg 유니버시아드
금메달 2013 트렌티노 3000m 계주

3.2. 월드컵 성적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월드컵 수상 기록
월드컵 메달 포디움
1000 m 1 2 1 4
1500 m 1 0 0 1
개인전 합계 2 2 1 5
3000 m 계주 2 3 3 8
2000 m 혼성 계주 3 3 2 8
계주 합계 5 6 5 16
메달합계 7 8 6 21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월드컵 랭킹[2]
시즌 종합 500 m 1000 m 1500 m
2012-13 - 15위 4위 12위
2016-17 - 33위 - -
2022-23 25위 14위 28위 -
2023-24 16위 17위 7위 31위
랭킹기록 80% 기준 표기[3]

4. 여담

  • 존경하는 선수는 이소연의 소속팀 스포츠토토의 코치들인 신우철과 송경택다.
  • 쇼트트랙은 초등학교 2학년때 취미로 시작했다.


[1] 이소연보다 키가 5cm 가량 큰 서휘민이 심석희의 앞 순서일때는 체급차이 때문에 푸시가 잘 안되는 경우가 많았다.[2] 월드컵 랭킹 표기는 랭킹 20위까지 표기를 기준으로 한다. 20위를 넘는 성적은 전체 커리어의 상위 80%를 기준으로 기재한다.[3] 랭킹 표기: 전체 랭킹기록 13개의 85%인 11개까지 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