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1차 | 2차 | 3차 | 4차 | 5차 | 6차 |
몬트리올 2023.10.20~10.22 | 몬트리올 2023.10.27~10.29 | 베이징 2023.12.08~12.10 | 서울 2023.12.15~12.17 | 드레스덴 2024.02.09~02.11 | 그단스크 2024.02.16~02.18 |
종합 우승 | |||||
| | ||||
← 2022-23 | 2024-25 → |
1. 개요
2023-24 시즌에 진행되는 쇼트트랙 월드컵에 관한 문서. 총 6차례 걸쳐 진행된다.2. 일정
구분 | 개최지 | 경기장 | 일정 |
1차 | 캐나다 몬트리올 | Maurice Richard Arena | 2023년 10월 20일 ~ 10월 22일 |
2차 | 캐나다 몬트리올 | Maurice Richard Arena | 2023년 10월 27일 ~ 10월 29일 |
3차 | 중국 베이징 | Capital Indoor Stadium | 2023년 12월 8일 ~ 12월 10일 |
4차 | 대한민국 서울 | 목동아이스링크 | 2023년 12월 15일 ~ 12월 17일 |
5차 | 독일 드레스덴 | Joynext Arena | 2024년 2월 9일 ~ 2월 11일 |
6차 | 폴란드 그단스크 | Hala Olivia | 2024년 2월 16일 ~ 2월 18일 |
3. 결과
3.1. 1차: 캐나다 몬트리올
여자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500m | | 41.961 | | 42.081 | | 42.269 |
1000m(1) | | 1:31.288 | | 1:43.214 | | 1:47.008 |
1000m(2) | | 1:30.998 | | 1:31.036 | | 1:31.168 |
1500m | | 2:27.863 | | 2:28.012 | | 2:28.104 |
3000m 계주 | | 4:07.935 | | 4:07.948 | | 4:07.980 |
남자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500m | | 40.875 | | 40.895 | | 41.134 |
1000m(1) | | 1:24.903 | | 1:24.916 | | 1:25.035 |
1000m(2) | | 1:26.712 | | 1:26.774 | | 1:26.964 |
1500m | | 2:23.666 | | 2:23.789 | | 2:23.829 |
5000m 계주 | | 6:56.656 | | 6:56.895 | | 6:58.854 |
혼성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2000m 계주 | | 2:40.683 | | 2:40.766 | | 2:57.869 |
3.2. 2차: 캐나다 몬트리올
여자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500m | | 42.408 | | 42.734 | | 45.877 |
1000m | | 1:31.288 | | 1:31.471 | | 1:31.505 |
1500m(1) | | 2:34.588 | | 2:34.829 | | 2:34.951 |
1500m(2) | | 2:24.672 | | 2:24.770 | | 2:24.851 |
3000m 계주 | | 4:20.607 | | 4:21.557 | | 4:21.594 |
남자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500m | | 40.349 | | 40.420 | | 40.580 |
1000m | | 1:26.281 | | 1:26.438 | | 1:26.691 |
1500m(1) | | 2:21.780 | | 2:21.809 | | 2:21.918 |
1500m(2) | | 2:20.294 | | 2:20.406 | | 2:20.575 |
5000m 계주 | | 7:03.468 | | 7:03.875 | | 7:05.352 |
혼성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2000m 계주 | | 2:37.348 | | 2:37.578 | | 2:37.641 |
3.2.1. 여자 3000m 계주 판정 번복
현지시간 10월 29일 진행된 여자 3000m 계주 결승에 출전한 네덜란드, 대한민국, 미국, 캐나다 각 국가대표팀은 경기 도중 한 번씩 넘어지는 혼전이 벌어졌다. 마지막 랩을 앞두고 대한민국 팀의 바퀴 수를 잘못 계산하여 4:12.16로 골인했다는 판정을 내리면서 대한민국 금메달, 네덜란드 은메달, 미국 동메달로 메달 수여식까지 진행되었다.
대회 종료 후 네덜란드 팀은 ISU에 이의를 제기했고 ISU가 경기 관련 데이터를 검토한 결과 오심으로 확인되어 11월 1일 "금메달을 딴 한국을 2위로, 2위 네덜란드를 1위로 재조정했다"고 공지하였다.# 오심으로 인해 영향을 받은 팀에게 진심으로 사과드리며 향후 경기에서 재발 방지를 약속한다고 밝혔다.
3.3. 3차: 중국 베이징
여자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500m(1) | | 42.892 | | 43.117 | | 43.176 |
500m(2) | | 42.128 | | 42.240 | | 43.567 |
1000m | | 1:30.249 | | 1:30.789 | | 1:30.891 |
1500m | | 2:25.830 | | 2:26.142 | | 2:26.206 |
3000m 계주 | | 4:06.722 | | 4:07.831 | | 4:12.003 |
남자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500m(1) | | 40.711 | | 40.875 | | 41.280 |
500m(2) | | 40.666 | | 40.695 | | 40.724 |
1000m | | 1:23.696 | | 1:23.708 | | 1:23.775 |
1500m | | 2:18.934 | | 2:19.009 | | 2:19.179 |
5000m 계주 | | 6.55:964 | | 6:56.717 | | 6:58.280 |
혼성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2000m 계주 | | 2:37.471 | | 2:37.494 | | 2:38.694 |
3.4. 4차: 대한민국 서울
여자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500m | | 43.128[1] | - | - | | 43.411 |
1000m | | 1:29.303 | | 1:29.313 | | 1:29.696 |
1500m(1) | | 2:35.785 | | 2:35.865 | | 2:35.984 |
1500m(2) | | 2:23.746 | | 2:23.968 | | 2:24.283 |
3000m 계주 | | 4:10.181 | | 4:10.607 | | 4:10.719 |
남자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500m | | 41.196 | | 41.205 | | 41.525 |
1000m | | 1:27.099 | | 1:27.113 | | 1:27.302 |
1500m(1) | | 2:16.323 | | 2:16.482 | | 2:16.553 |
1500m(2) | | 2:18.661 | | 2:18.698 | | 2:18.804 |
5000m 계주 | | 7:05.762 | | 7:05.951 | | 7:06.876 |
혼성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2000m 계주 | | 2:41.701 | | 2:47.093 | | PEN[2] |
3.5. 5차: 독일 드레스덴
여자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500m | | 42.108 | | 42.714 | | 43.958 |
1000m(1) | | 1:29.246 | | 1:29.319 | | 1:29.399 |
1000m(2) | | 1:31.480 | | 1:31.593 | | 1:31.601 |
1500m | | 2:20.346 | | 2:20.397 | | 2:20.694 |
3000m 계주 | | 4:05.405 | | 4:06.076 | | 4:09.740 |
남자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500m | | 40.078 | | 40.619 | | 41.583 |
1000m(1) | | 1:26.406 | | 1:26.482 | | 1:26.559 |
1000m(2) | | 1:25.130 | | 1:25.317 | | 1:25.419 |
1500m | | 2:11.460 | | 2:11.711 | | 2:11.785 |
5000m 계주 | | 6:45.889 | | 6:46.174 | | 6:48.230 |
혼성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2000m 계주 | | 2:36.586 | | 2:36.684 | | 2:37.192 |
3.6. 6차: 폴란드 그단스크
여자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500m(1) | | 43.033 | | 43.046 | | 43.190 |
500m(2) | | 42.684 | | 42.953 | | 43.165 |
1000m | | 1:32.944 | | 1:33.037 | | 1:33.178 |
1500m | | 2:22.820 | | 2:23.562 | | 2:23.600 |
3000m 계주 | | 4:13.319 | | 4:13.394 | | 4:24.213 |
남자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500m(1) | | 41.451 | | 41.467 | | 41.875 |
500m(2) | | 40.303 | | 41.051 | | 41.158 |
1000m | | 1:28.193 | | 1:28.304 | | 1:28.313 |
1500m | | 2:16.060 | | 2:16.087 | | 2:16.178 |
5000m 계주 | | 6:55.577 | | 6:55.915 | | 6:56.000 |
혼성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2000m 계주 | | 2:40.737 | | 2:41.357 | | 2:41.469 |
4. 월드컵 랭킹[3]
여자 | Winner | Second | Third | |||
500m | | 650 | | 610 | | 377 |
1000m | | 585 | | 540 | | 372 |
1500m | | 655 | | 504 | | 495 |
3000m 계주 | | 400 | | 320 | | 300 |
남자 | Winner | Second | Third | |||
500m | | 486 | | 433 | | 369 |
1000m | | 625 | | 399 | | 306 |
1500m | | 500 | | 456 | | 446 |
5000m 계주 | | 380 | | 340 | | 330 |
혼성 | Winner | Second | Third | |||
2000m 계주 | | 380 | | 330 | | 300 |
5. 월드컵 종합 랭킹
5.1. 여자
| |||||
순위 | 선수 | 500m | 1000m | 1500m | 합계 |
1 | | 16 | 540 | 655 | 1211 |
2 | | 100 | 585 | 495 | 1180 |
3 | | 650 | 210 | 225 | 1085 |
5.2. 남자
| |||||
순위 | 선수 | 500m | 1000m | 1500m | 합계 |
1 | | 0 | 625 | 446 | 1071 |
2 | | 433 | 399 | 220 | 1052 |
3 | | 0 | 284 | 500 | 784 |
6. 메달 집계
| |||||
순위 | 국가 | 금 | 은 | 동 | 총합 |
1 | | 19 | 23 | 9 | 51 |
2 | | 16 | 10 | 6 | 32 |
3 | | 15 | 10 | 10 | 35 |
4 | | 7 | 6 | 9 | 22 |
5 | | 6 | 7 | 11 | 24 |
6 | | 4 | 4 | 2 | 10 |
7 | | 0 | 2 | 5 | 7 |
8 | | 0 | 1 | 3 | 4 |
| 0 | 1 | 3 | 4 | |
10 | | 0 | 1 | 1 | 2 |
11 | | 0 | 0 | 6 | 6 |
12 | | 0 | 0 | 1 | 1 |
| 0 | 0 | 1 | 1 | |
총합 | 67 | 65 | 67 | 199 |
[1] 비디오리뷰 결과 1000분의 1초까지 기록이 동일하여 공동 금메달[2] 모두 페널티 처리되어 22-23 시즌부터 적용된 룰로 인해 공동 동메달[3] 1위 100점, 2위 80점, 3위 70점...으로 계산하며 (2)가 붙는 추가종목의 1위~10위에게는 가산점이 더해진다. 동점 시 1위 횟수가 많은 순, 2위 횟수가 많은 순, 3위 횟수가 많은 순으로 우선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