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7-11 08:49:50

이시카와 다쿠보쿠

이시카와 타쿠보쿠에서 넘어옴
파일:아사히 신문 로고.svg 아사히 선정 지난 1천년간 일본 최고의 문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아사히 신문이 2000년 투표로 선정한 "지난 1천년간 일본 최고의 문인"의 리스트이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나쓰메 소세키 무라사키 시키부 시바 료타로 미야자와 겐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마츠오 바쇼 다자이 오사무 마쓰모토 세이초 가와바타 야스나리 미시마 유키오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아리시마 타케오 무라카미 하루키 엔도 슈사쿠 세이 쇼나곤 요사노 아키코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모리 오가이 요시카와 에이지 오에 겐자부로 무라카미 류 이시카와 다쿠보쿠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다니자키 준이치로 이노우에 야스시 미우라 아야코 아베 코보 다카무라 고타로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후지사와 슈헤이 시마자키 도손 나카하라 츄야 고바야시 잇사 세리자와 고지로
31위부터는 링크 참조.
}}}}}}}}} ||

일본의 작가
이시카와 다쿠보쿠
[ruby(石,ruby=いし)][ruby(川,ruby=かわ)][ruby(啄,ruby=たく)][ruby(木,ruby=ぼく)]|Ishikawa Takuboku
파일:external/www8.plala.or.jp/p_isikawa_takuboku.jpg
본명 이시카와 하지메([ruby(石,ruby=いし)][ruby(川,ruby=かわ)][ruby(一,ruby=はじめ)])
출생 1886년 2월 20일
일본 제국 이와테현 이와테군 히노토무라
(現 일본 이와테현 모리오카시)
사망 1912년 4월 13일 (향년 26세)
일본 제국 도쿄부 도쿄시 코이시카와구
(現 일본 도쿄도 분쿄구)
직업 시인, 문학평론가
학력 <colbgcolor=#fff,#191919>세이소쿠 영어학교[1]
활동
기간
1903년 – 1912년
묘소 홋카이도 하코다테시 타치마치 곶
장르 , 단카

1. 개요2. 일생3. 작품4. 대표 시5. 대표 단카6. 산문7. 일기문8. 반제국주의 성향9. 기타

[clearfix]

1. 개요

일본시인, 문학 평론가.

필명인 다쿠보쿠(啄木)는 '나무를 쪼다'라는 의미로 딱따구리를 가리킨다.

26세라는 짧은 생애 동안 고향을 향한 그리움, 근현대 도시인이 겪는 생활인으로서의 슬픔과 서정, 삶의 회한과 냉소 등이 담긴 복잡다단하고 총체적인 성향의 문학 세계를 남겨 메이지 시대의 대표적인 문학가이자 일본의 국민 시인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 일제의 조선 침략 및 식민지화에 대해 부정적이고 비판적인 반제국주의자이기도 했다.

2. 일생

1886년 2월 20일에 이와테현에서 조코지 주지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모리오카 중학교[2]에 진학해 평생의 친우인 언어학자 긴다이치 교스케(金田一京助)[3]와 만났다. 중학교를 중퇴한 그는 기자가 되어 홋카이도를 방랑하면서 지내다가 도쿄로 상경해 도쿄 아사히 신문에서 교정 일을 보게 되었다. 낭비벽이 심하여 평생 많은 빚을 지고 경제적으로 불우하게 살다가 1912년 4월 13일에 결핵성 만성복막염에 시달리다가 폐결핵으로 요절했다.[4] 향년 26세.

3. 작품

그는 20살에 첫 시집 <동경>을 발표하여 천재 시인으로 평가받으면서 문단에 데뷔했지만 상업적으로 실패한 후 소설가로서 성공하고 싶다는 꿈이 있었고 꾸준하게 여러 편의 소설을 썼지만 하나도 성공하지 못했다. 정작 그를 유명하게 만든 것은 소설이 아니라 단카였다. 그가 만든 단카집은 생전에 나온 유일한 단카집인 <한 줌의 모래(一握の砂[5])>와 사후에 그의 친구인 국어학자 도기 아이카가 편집하여 내놓은 <슬픈 장난감>의 단 두 권인데 이 두 권에 담긴 단카들이 그가 죽은 후 말 그대로 대박을 쳤다.

원래 단카는 일본 고유의 시가문학으로 와카와 동일시됐으며 5행 5·7·5·7·7조로 구성된다.[6] 단카는 주로 귀족 계층에서 즐기던 좋아하는 사람이나 좋아하고 아는 사람만 알던 폐쇄적인 문학 장르였다.[7]

그의 단카는 혁신적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대중적인 성공을 거뒀는데 그 이유는 우선 5·7·5·7·7조를 유지하면서도 기존의 5행 구조를 과감하게 3행으로 바꿔서 서술의 자유로움과 단카의 전통을 동시에 확보했다는 점에 있으며 생활에서 느끼는 솔직한 감성들을 도입함으로써 고답적이고 양식적인 기존 단카와 다른 민중적인 단카를 만들어냈다.

<한 줌의 모래>에 실린 단카들은 그의 대표작인 만큼 다양한 내용들을 다룬다.[8] 자살을 시도하러 간 바닷가에서부터 시상이 전개되어 도시인의 고독과 돈벌이의 괴로움, 고향에 대한 그리움, 계절에 대한 감회, 홋카이도 유랑 시절, 문학에 대한 애착과 회한, 프롤레타리아 운동 얘기, 죽은 아들을 그리워하는 슬픔 등등 흡사 삶 자체를 체화하듯 의식의 흐름을 따라 압축적이고 세련된 시어로 구현해냈다. 그에 반해 <슬픈 장난감>은 어둡고 거칠고 단선적인데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병에 걸려 죽어가는 소회(...)를 솔직담백하게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편집은 친구가 맡아서 했지만 원문에서 고친 게 거의 없어서 사실상 그의 유작이 됐다.

그의 단카는 20세기 초반에 불었던 단카와 하이쿠 열풍의 중심에서 강력한 문학적 영향력을 발휘했으며 이후 리얼리즘·프롤레타리아 문학에도 중요한 영향을 끼쳤고 동시에 고향을 향한 그리움과 유랑 생활, 도시인의 삶을 소재로 한 서정성 또한 높은 평가를 받아 서정 시인으로서의 이미지를 굳혔으며 국민시인이라고까지 불리게 되었다. 현재도 그의 작품들은 일본 국어 교과서에 빠지지 않고 실릴 정도다.

4. 대표 시

비탄하는 마음에, 말라붙은 영혼의 입술에,
물방울이 옥구슬 만드는 빛나는 샘물의 은혜,
향긋한 구름이 부는 성스러운 땅 푸른 꽃을
동경하여 쫓는 아이에게 하늘의 음악을 전하는
구제하는 주인이여, 가라앉은 종소리여.
아아 너, 존귀한 ‘비밀’의 뜻 따라 울리는가.

-「가라앉은 종」중에서[9]


희미하게 한밤중 감도는 종소리
생명은 깊숙한 환상, ―‘나’였노라.
‘나’야말로 진정 닿아도 닿기 힘든
흘러가는 환상. 그러니 사람들아 말하라,
시간에서 시간으로 흔적 없는 물거품이라고.
아아 그래, 물거품 한 번 떠오르면
시간이 있고, 시작이 있고, 또한 끝이 있는 법.
순식간에 사라졌구나. ―어디로? 그건 모르지,
흔적 없는 흔적은 흘러서, 사람들은 모르지.

-「나였노라」 중에서


시름 있는 날이면, 무척 슬퍼서
고니가 우는 소리 참기 어려워,
물가에 있는 새장 문을 열어서
놓아주니, 서글퍼, 희고 어여쁜
연꽃 같은 배 가는 모습이라니,
날갯짓 조용하게, 가을 향기가
맑아져 구름 없는 푸른 하늘을,
보라, 빛이 뚜두둑 떨어지는 듯,
새하얀 그림자가 떠도는구나.

-「흰 고니」 중에서


푸른 바닷물 멀리 저기 남쪽의
바다에도 없었고, 백 년의 세월
오래된 꿈속에도 없었던 것을,
어찌하여, 드높은 저편 기슭의
들여다보기 힘든 동산과 같이,
소식도 전혀 없는 두 해 동안을
안개 핀 저편으로 숨겨두었나.

-「떨어진 빗」 중에서

5. 대표 단카

동쪽 바다의 조그만 섬 바닷가 백사장에서
東海の小島の磯の白砂に

나 울다 젖은 채로
われ泣きぬれて

게와 어울려 노네[10]
蟹とたはむる
이유도 없이 기차에 타고 싶다 생각했을 뿐
何となく汽車に乗りたく思ひしのみ

기차를 내렸더니
汽車を下りしに

갈 수 있는 곳 없네
ゆくところなし
일을 하여도
はたらけど

일을 하여도 아직 나의 생활은 편해지지 않누나
はたらけど猶わが生活楽にならざり

가만히 손을 본다
ぢつと手を見る
사람이라는 사람의 마음속에
人といふ人のこころに

한 사람씩은 죄수가 들어 있어
一人づつ囚人がゐて

신음하는 서글픔
うめくかなしさ
눈을 감아도,
眼閉づれど、

마음에 떠오르는 무엇도 없다.
心にうかぶ何もなし。

쓸쓸하게도, 다시, 눈을 뜨는 수밖에.
さびしくも、また、眼をあけるかな。[11]
언제까지고 걸어가지 않으면 안 될 것 같은
いつまでも歩いてゐねばならぬごとき

심정이 끓어오른,
思ひ湧き来ぬ、

깊은 밤의 거리거리.
深夜の町町。

6. 산문

나는 어느 시골 소학교의 숙직실에서 뒹굴뒹굴하는 한 젊은 준(准) 교원을 상상했다. 그 사람은 진정 사람을 화나게 할 만한 거친 말 따위는 마음속에 하나도 지니지 않은 사람이다. 그저 막연하게 교과서에 있는 만큼의 자구(字句)를 학생들에게 가르치고, 막연하게 자기 처지의 가련함을 시인하며, 막연하게 앞으로 단카를 많이 짓겠노라 생각하는 사람이다. 일찍이 자기 마음속 혹은 신변에서 일어나는 일들에 대해 그 뿌리가 얼마나 깊고, 그 미치는 바가 얼마나 먼 지 생각해 본 적도 없는 사람이다. 날마다 신문을 읽으면서도 우리 마음을 계속 바쁘게 만들고 날마다 새롭게 전개되는 이 시대의 진상에 대해 아무런 절실한 관심도 갖지 않은 사람이다. 나는 이 사람이 인생에서 기분 좋게 입을 벌리고 웃을 기회가, 나의 그것보다 틀림없이 많을 것이라 생각한다.
-<슬픈 장난감>에 수록된 '단카에 관한 여러 가지' 중

7. 일기문

그는 도쿄에 체제하던 시절 일기를 썼는데 이것이 <로마자일기>다. 이름 그대로 일본어 발음을 로마자로 옮겨 글을 작성한 것으로, 굳이 이렇게 한 이유는 아내 세츠코가 못 읽게 하려고(....).

그의 시와 단카가 그의 서정성을, 산문이 정치적 견해와 문학 평론가로서의 다쿠보쿠를 보여준다고 하면 일기문은 그의 데카당한 면모를 보여준다. 아내가 못 읽게 하려던 게 이해가 갈 정도로 솔직하게 자신의 막 나갔던 생활을 그대로 담았기 때문이다.[12] 아사쿠사에서 창기(娼妓)와 놀았던 경험도 솔직히 적혀 있다. 그래서인지 죽기 전에도 일기를 태우라는 유언을 남겼는데 정작 아내는 '남편에 대한 애정 때문에 못 태우겠다'라며 긴다이치 교스케에게 일기를 넘겼고 그 결과 출판...

그런데 막상 그가 아내가 못 읽게 하려고 로마자로 글을 썼다곤 하지만 아내도 당시 상당한 재원이었기 때문에 정말 일기를 못 읽었을까 하는 의구심이 있으며 과연 못 읽게 하려는 단순한 목적 때문에 굳이 로마자로 폼을 들여 글을 썼을까에 대해서 문제 제기를 하는 연구자들도 있다.

8. 반제국주의 성향

지도 위 놓인 조선이란 나라 위로
地図の上朝鮮国に


새카매지게 먹을 칠하며
黒々と墨を塗りつつ


가을바람 소리 듣네
秋風をきく


누군가 나를
誰そ我に


피스톨 가지고서 쏴 주지 않으려나
ピストルにても撃てよかし


얼마 전 이토처럼 죽어 보여주련다
伊藤のごとく死にて見せなむ


-「9월 밤의 불평(九月の夜の不平)」중에서
나는 안다
테러리스트의 슬픈 마음을
말과 행동으로 나누기 어려운
단 하나의 그 마음을
빼앗긴 말 대신에
행동으로 말하려는 심정을
자신의 몸과 마음을 적에게 내던지는 심정을
그것은 성실하고 열심인 사람이 늘 갖는 슬픔인 것을


-「코코아 한 잔」 [13]

위와 같이 한일 강제 병합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담은 시를 짓고 젊은이들로 하여금 제국주의 일본에 저항하길 독려하는 산문을 발표하는 등 반제국주의적 성향을 지닌 일본인이었다. 위의 단카는 실제로 일본과 같은 색으로 표기된 조선 지도 위에 먹을 칠하면서 지었다는 이야기도 그의 지인으로부터 전해진다. 천황 암살을 추진하다가 체포되어 사형을 당한 고토쿠 슈스이의 대역사건[14]이 전개되는 과정을 보며 분노한 그는 이토 히로부미 저격에 대해서도 '나는 조선인을 미워해야 할 까닭을 모르겠다'라고 발언했으며 상단의 시처럼 대놓고 안중근 의사의 마음을 안다는 내용의 작품을 남기기도 했다. 이렇게 일본 정부에 대한 사소한 비판조차 목숨을 걸 정도로 냉혹한 시대였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일본의 조선 침략에 대해 매우 비판적이었으며 동시에 이에 대해 자신의 작품으로 속죄했다.

9. 기타

  • 시인 백석이 그의 시를 사랑하여 그의 이름 중 石을 따 와 필명으로 삼았다.
  • 아내 세츠코는 그가 죽은 지 1년 만인 1913년에 폐결핵으로 사망했다. 아내와의 사이에서 자식을 셋 낳았는데 1906년에 태어난 장녀 쿄코(京子)는 1남 1녀를 낳고 24세에 급성 폐렴으로, 1910년에 태어난 장남 신이치(真一)는 생후 24일 만에 병으로, 1912년에 그가 죽은 지 약 2개월 만에 태어난 차녀 후사에(房江)는 19세에 폐결핵으로 모두 요절했다.
  • 도련님의 시대에도 등장했는데 나쓰메 소세키, 모리 오가이와 함께 모든 권에 개근한 얼마 안 되는 인물이자 3권의 주인공이다. 1~2권은 몇 장 안 남은 그의 실제 사진의 모습 그대로 그려졌지만 3권부터 다니구치 지로의 화풍 변화와 함께 가벼워 보이는 청년의 모습으로 역변했다. 동시에 그의 어처구니없는 낭비벽도 충실하게 묘사되었다.
  • 러일전쟁 직후 개척기 홋카이도를 다루는 만화 골든 카무이에서도 만화 중반부에서 등장하는데 화풍은 많이 달라도 이마 생김새나 돈에 쪼들린거나 아무래도 도련님의 시대를 보고 그린 오마주로 추정된다.
  • 자신의 빚을 꼼꼼하게 계산하여 기록해 뒀는데 총 63명에게서 1372엔 50전의 빚을 졌다. 이 중 상환이 얼마나 됐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아무튼 현재 물가로 환산하면 대략 1400만 엔에 달하는 상당한 액수여서 정리를 끝내는 순간 눈앞이 깜깜해졌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 그가 탐정으로, 긴다이치 교스케가 그의 조수 역할로 활약하는 이이 케이의 추리 소설 딱따구리 탐정처(啄木鳥探偵處)가 애니화되어 2020년 4월 13일에 공개되었다.
  • 신장개업 27권의 외전편에 등장한다. 외전편은 주인공 키타가타 토시조의 가문 4대조를 다루는데 그 중 2편 하이 칼라 양식전에 등장한다. 주인공 키타가타 세이지로. 본편 토시조의 증조할아버지다.
  • 페그오히무로의 천지의 콜라보에서 5성 어새신 서번트로 등장했는데[15] 보구인 '다쿠보쿠'는 한줌의 모래의 구절 중 하나를 외치고 발동한다.[16]

[1] 현재 도쿄도 치요다구에 위치한 사립학교인 세이소쿠학원고등학교다.[2] 미야자와 겐지가 다닌 학교이기도 하다. 겐지가 다쿠보쿠의 10년 후배인데 둘 다 불교 집안 출신이라는 공통점도 있다. 그래서 이와테현에서는 다쿠보쿠와 겐지를 세트로 묶어서 문학 행사를 열기도 한다...[3] 긴다이치 코스케의 이름의 모델이다.[4] 그의 아버지와 아내, 와카야마 보쿠스이가 보는 앞에서 절명했다. 와카야마 보쿠스이가 이에 대해 수필로 남긴 바 있다.[5] 히토니기리노 스나가 아니라 음독으로 이치아쿠노 스나라고 읽는다. 원문 읽기[6] 하이쿠가 여기서 뒤의 7·7을 빼서 만들어진 시가문학이다.[7] 단카는 헤이안 시대의 귀족 문화에서 출발했기 때문에 속된 말을 사용하지 않아 서민들이 즐기기 어려웠는데 이에 반발하여 단어 선택의 폭을 넓히고 서로 즐기는 놀이로써 발전한 것이 '하이카이'다. 다만 하이카이는 문인들의 놀이에 가까워 문학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는데 이를 안타까워한 마츠오 바쇼의 하이카이 유파는 하이카이의 문학성을 높이는 시도를 했고 시대가 지나 하이카이에서 그 특유의 간결함과 문학성을 높인 것이 하이쿠다.[8] 분량도 많아서 500수가 넘는다.[9] 이하의 시들은 모두 <동경>에 수록된 시편들로 매우 상징주의적이고 탐미적이며 난해한 성향을 가졌던 다쿠보쿠의 초기 작품 세계를 보여준다. 20세기 초 일본의 19살 작가에게서 쓰여졌다는 게 믿기지 않을 정도로 세련되고 화려한 언어유희와 다양한 지적 배경이 필요한 은유를 선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면모 덕분에 다쿠보쿠는 천재 시인이라는 호평을 받는다. 이후에는 그의 단카들이 보여주듯 리얼리즘적이고 직관적이며 현실 참여적인 작품들로 바뀌는 경향을 보인다.[10] <한 줌의 모래>의 맨 처음 단카로 워낙 유명하며 이어령이 이 단카를 표본으로 하여 <축소지향의 일본인>을 썼다.[11] 다쿠보쿠는 두 번째 단카집 <슬픈 장난감>에서 첫 단카집 <한 줌의 모래>에서는 전혀 쓰지 않았던 마침표, 쉼표, 느낌표, 들여쓰기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이러한 구두점의 활용은 화자의 감정을 보다 직접적이고 분명하게 드러내는 문학적 장치로 쓰이며 구두점의 유무를 통해 <한 줌의 모래>에 실린 단카인지 <슬픈 장난감>에 실린 단카인지를 구분할 수도 있다.[12] 세키가와 나쓰오는 미래를 생각하지 않는 듯한 방탕한 생활, 시대를 객관적으로 관조하는 지성, 냉소적 관점과 희망적 관점이 뒤섞인 다쿠보쿠의 복합적인 면모가 예술가로서의 청년적 면모, 나아가 메이지 시대 자체가 갖는 청년적 면모를 표상한다고 봤다. 그가 스토리를 맡은 도련님의 시대에서 다쿠보쿠가 주요 인물이 된 이유다.[13] 시에서 나오는 테러리스트가 학계에서는 안중근 의사를 지칭한다는 해석이 많다. 참고로 현대 한국사회상 안중근을 테러리스트라고 하면 비난받는 사회지만, 당대 일본사회에 그를 테러리스트라고 지칭한 분위기 속에 단어선택을 그렇게 했을뿐 문맥상 봤을때 그 사람을 비하한 것은 당연히 아니다.[14] 당시 일제가 천황제에 반대하는 일본 사회의 지식인들을 대량 검거한 사건이다.[15] 정확히는 마키데라 카에데의 몸에 빙의한 의사 서번트로 등장한다.[16] 一度でも(한번이라도) 我に頭を下げさせし(나의 머리를 숙이게 한) 人みな死ねと(사람은 모두 죽어라고) いのりてしこと(기도하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