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width=100%><width=20%>
원용덕 ||<width=20%>
조흥만 ||<width=20%>
전이호 ||<width=20%>
김재현 ||<width=20%>
전이호 ||
초대
원용덕 ||<width=20%>
제2대
조흥만 ||<width=20%>
제3대
전이호 ||<width=20%>
제4대
김재현 ||<width=20%>
제5대
전이호 ||
제6대 이강대 | 제7대 이찬영 | 제8대 정만교 | 제9대 이인호 | 제10대 정수남 |
제11대 김익순 | 제12대 최춘호 | 제13대 박승만 | 제14대 김정규 | 제15대 라흥도 |
제16대 윤장근 | 제17대 김만기 | 제18대 김진기 | 제19대 조명기 | 제20대 이동노 |
제21대 박희용 | 제22대 허신 | 제23대 최석립 | 제24대 신윤희 | 제25대 서철수 |
제26대 손태진 | 제27대 김영덕 | 제28대 류순곤 | 제29대 조래원 | 제30대 김보영 |
제31대 조래원 | 제32대 김보영 | 제33대 김시천 | 제34대 유외수 | 제35대 이정 |
제36대 한성동 | 제37대 홍종설 | 제38대 윤종성 | 제39대 승장래 | 제40대 백낙종 |
제41대 이종협 | 제42대 이재섭 | 제43대 이태명 | 제44대 전창영 | 제45대 박헌수 |
※ 명칭 변천 : 헌병총사령관 (초대) ▸ 국방부 합동조사대장 (2 ~ 11대) ▸ 국방부 조사대장 (12 ~ 24대) ▸ 국방부 합동조사단장 (25대 ~ 35대) ▸ 국방부 조사본부장(36대 ~ 현임) | ||||
※ 계급 변천 : 대령 (3, 5~8, 10, 12, 14, 15, 20~22, 28, 34, 42대) ▸준장 (2, 4, 9, 18~19, 25, 29~30, 43~ 현재) ▸소장 (11, 13, 16~17, 23~24, 26~27, 31~33, 35~41대) ▸ 중장 (초대) |
[clearfix]
1. 개요
1924년 4월 16일~1983년 5월 13일한국광복군출신의 독립운동가, 대한민국의 군인.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1963년 대통령표창) 추서.
2. 생애
1924년 4월 16일 평안북도 철산군에서 태어났다. 1944년 일본군 학병으로 끌려가 복무하던 중 탈출하여 중국군 제99군에서 활동하였다. 1945년 2월 설악 장군과 광복군 총사령부의 협의를 통해 광복군 제1지대 제3구대가 편성됨에 따라 박효근과 함께 제2지구대원으로 활약하였다.해방 후 대한민국 육군 헌병장교로 임관하여 2군 사령부 헌병부장 등을 역임하였고, 1965년 2월 국방부 합동조사본부장을 끝으로예편하였다.[1] 1965년 8월 1일 병무행정의 능률화 및 민주화를 목적으로 병무청장을 민간인으로 바꿈에 따라 서울병무청장(현 서울지방병무청장)에 임명되었고, 1969년 퇴임 후 대한준설공사[2] 관리이사를 시작으로 상임감사 등을 역임하였고, 1983년 5월 13일 고혈압으로 사망하였다.
3. 여담
- 김종필 당시 공화당 의장과 함께 일요화가회에 참가해 아마추어화가로 활동하였다. 1967년 국전에서 '미쓰리'란 작품으로 입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