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8 22:41:55

일라이자(스컬걸즈 모바일)


파일:Skullgirls Logo.png
스컬걸즈 모바일의 플레이어블 캐릭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플레이어블 캐릭터
파일:SG_캐릭터셀렉트_스퀴글리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빅밴드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일라이자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미스포춘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피콕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페인휠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필리아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세레벨라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마리.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밸런타인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파라소울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더블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푸쿠아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베오울프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로보포춘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엄브렐러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애니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블랙달리아.png

}}}}}}||
파일:일라이자모바일.png
1. 개요2. 기본 스펙
2.1. 능력치2.2. 캐릭터 능력2.3. 궁극 능력2.4. 일류 능력2.5. 기술
2.5.1. 특수기2.5.2. 블록버스터
3. 플레이 스타일4. 평가
4.1. 장점4.2. 단점
5. 총평
5.1. 기타 플레이 팁
6. 스킨
6.1. 다이아몬드6.2. 골드6.3. 실버6.4. 브론즈

[clearfix]

1. 개요

2. 기본 스펙

2.1. 능력치

체력 공격력
★★★★☆ ★★★☆☆

총합 7점의 최상위권 능력치 총합 점수를 지니고 있는 캐릭터.
같은 능력치 7점 캐릭터로는 미스 포츈, 베오울프, 빅 밴드가 있다.

빅밴드처럼 데미지가 모자라게 배분되지도 않았고, 미스포츈처럼 너무 물몸도 아닌, 가장 안정감있는 밸런스형 능력치 배분. 다만 일라이자는 후술하였듯, 노크리 세팅을 하게 되는데, 덕분에 약 12% 의 공격력 손해를 보게 되는 만큼 실질적인 스탯은 공격력 2점과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1]

체력의 경우 빅밴드에 이어 스퀴글리, 세레벨라와 함께 공동 2등이라는 높은 수치를 보여주며 이렇게 높은 체력 수치가 재생 관련 고유능력을 가진 스킨이 각종 반사데미지를 주는 방어자를 상대로 유리한 고점을 잡을 수 있게 해준다.

2.2. 캐릭터 능력

  • 전쟁의 여신: 세크메트와 관련된 블록버스터[2]를 사용하면 일라이자가 짧은 시간 동안 세크메트 모드에 돌입합니다. 세크메트 모드에서 입은 피해는 모두 회복 가능합니다.

세크메트의 차례, 세크메트의 격노, 세크메트의 물어뜯기, 학살의 숙녀들 이후 세크메트 상태로 조종할 수 있다. 세크메트 상태에서 공격을 시전하면 세크메트 전용블록버스터 모션이랑 똑같은공격을 시전한다.

세크메트는 잡기 판정의 기술과 블록버스터를 제외한 모든 공격에 유사 불굴을 지니고 있으며[3] 이러한 공격을 받을 경우 즉시 일라이자 상태로 돌아가버린다.

세크메트 공격의 데미지는 다음과 같다.

지상 공격 -> 15%의 데미지로 공격, 총 3번 사용이 가능하며 3번째 타격은 25%의 데미지를 입힌다. [4] 총 55%
대쉬 공격 -> 20%의 데미지로 2회 공격. 총 40%
어퍼/하단 공격 -> 70%의 데미지로 1회 공격.
모으기 공격 -> 8회 공격. 첫 7타는 12%의 데미지를 주며 마지막 타격은 24%의 데미지를 준다. 총 108%

모으기 공격은 스킬트리 12시 방향의 마지막 옵션을 투자하지 않아도 가드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상대에게 스태거를 유발한다. 다만 세레벨라의 승마난타가 그렇듯 스태거 효과는 한 콤보당 한 번씩만 발동되므로 주의할 것.

기본적으로 피해량이 매우 낮은 편이기 때문에 모으기 공격과 하단공격 정도가 아닌 이상 거의 사용하지 않는 캐릭터 능력. 그나마 모으기 공격도 상대방의 블록버스터가 활성화 된 상태라면 반격당할 위험이 있어서 사용하는 것이 꺼려진다.

그나마 공중에 뜬 상대가 바운드를 소모한 상태에서 하단 공격을 얻어맞을 경우 공격을 받고 특정 고도까지 튕겨져 오르는 상황이 생기는데, 이 상황에서 하단 공격을 최대 7회 까지 박을 수 있기 때문에 이 상황에서는 DPS가 상당히 증가한다. 물론 일라이자 상태의 유용한 유틸리티는 세크메트 상태에서는 봉인되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에서도 어지간해서는 그냥 일라이자 폼으로 돌아오는 걸 추천한다.

여담이지만 해당 능력을 찍지 않고 세크메트 블록버스터를 사용하면 사용하자마자 바로 일라이자로 돌아가게 된다.

2.3. 궁극 능력

  • 궁극 능력 1 (피의 맹세): 팀원이 패배할 때마다 일라이자의 체력이 30-50% 회복됩니다.
  • 궁극 능력 2 (희생 의식): 팀원이 패배할 때마다 일라이자의 모든 블록버스터 게이지가 50-100% 충전됩니다.

방어 캐릭터 전용 궁극능력. 공격에서는 아군이 사망한다는 패널티 자체가 너무 커서 활용할 가치가 전혀 없다.

방어자로 나올 경우 상대를 한명이라도 잡았다면 뒤이어 나오는 일라이자의 가드 불가 블록버스터가 완전히 충전된 상태로 나오기 때문에 무척 위협적이지만, 일라이자의 한심한 AI 성능 덕분에 방어자로 전혀 사용되지 않는 캐릭터라는 것을 감안하면 정말 최악의 궁극능력이라고 불려도 변명할 거리가 전혀 없을 정도로 쓰레기같은 성능이라고 단언할 수 있다.

덕분에 역으로 궁극능력을 찍지 않아도 상관 없는 캐릭터라는 장점도 생겼다. 일라이자는 궁극능력이 없어도 탄탄한 유틸로 별 타격을 입지 않기 때문에, 치확 15%를 포기하더라도 궁극능력을 찍지 못하는 리스크에서 자유롭다. 때문에 치명타 카운터 방어자들에 대항하는 캐릭터로 유용하다.

이미 한 번 말했듯 일라이자의 궁극 능력은 현상금에서도 활용도가 떨어지지만 리프트에서는 활용해서는 안되는 수준으로 성능이 좋지 못하다. 또한 이너피스, 레드벨벳, 블러디 밸런타인 같은 캐릭터들은 애시당초부터 페인휠을 저격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만큼 일라이자는 아예 궁극능력과 공격력 12%를 포기하고 크리티컬 확률 증가 옵션을 찍지 않는 것을 추천한다.

2.4. 일류 능력

  • 파란만장 : 일라이자가 세크메트 상태에 돌입할 때 마다 능력이 충전됩니다.
    충전량 : 진입할 때 마다 25%
    사용 효과 : 일라이자가 세크메트 모드에서 블록버스터가 아닌 공격을 저중 시킬 때 마다(가드 된 공격 포함) 5% ~ 20%의 확률로 상대의 이로운 효과를 1개 제거하고 체력을 5% 회복합니다.

4.9 패치로 인하여 추가된 능력. 동일한 캐릭터를 강화/진화 재료로 소모하여 해금 및 강화가 가능하며 총 100레벨 까지 강화가 가능하다.

세크메트 상태에서 버프 제거 + 체력 회복 능력을 받는다. 효과 자체는 각 타격마다 적용되기 때문에 모으기 공격으로 여러번 발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라이자가 기존부터 카오스 베니쉬를 통한 버프 제거 능력이 뛰어났던 만큼 사실 상 주 능력 자체는 버프제거보다는 체력 재생에 초점이 맞추어져있다. 다만 메이저하게 이용되는 일라이자중에서 체력관리 능력에 솔깃할만한 캐릭터는 흡혈영웅, 피바다, 이너 피스, 레드 벨벳 정도인데 이 캐릭터 모두 접근성이 상당히 떨어지는 캐릭터인 만큼 일류능력을 높게 올릴 수 있는 유저가 많지 않으며 능력 자체도 레벨 편차가 가장 큰 능력이기 때문에[5] 어지간한 레벨로는 큰 체감이 없다. 결국 높은 스펙을 요구하게 되는 셈.

2.5. 기술

원작의 시스템을 그대로 물려받아 하인 판정의 스킬들은 시전이 완전히 끝나기 전 까지는 다른 하인 스킬을 사용할 수 없다. 정확히는 사용은 가능하지만 일라이자가 모션만 취할 뿐 아무 효과도 발동하지 않는다. 어차피 이 하인 스킬들 아누비스의 추를 제외하면 채용률이 꽤나 낮기 때문에 그냥 인지만 해 둘 것.

세크메트 공격들은 기본적으로 상대방에게 경직을 굉장히 크게 주기 때문에 사용 즉시 일라이자 폼으로 돌아가면 지상 1타로 다시 연결이 가능하다.

필수적으로 구비해두어야 하는 기술은 아누비스의 추, 카오스 배니쉬, 세크메트의 물어뜯기다. 이 세 기술만큼은 그 어떠한 일이 있어도 채용하는 만큼 최우선적으로 마련하고, 극옵이 뜬다면 빠르게 강화하는 것을 추천한다.

이외에 캐릭터에 따라 필수 채용 기술이 되는 특수기/블록버스터의 경우 아누비스의 추, 버스트[6], 아아루의 추방, 어퍼카트, 세크메트의 분노[7], 캐프리 썬이 뽑힌다.

필수적으로 챙겨야 하는 기술 옵션은 공격력, 관통, 정확도, 특수기 재사용 대기시간 감소.

2.5.1. 특수기

카오스 배니시(Chaos Banish)
파일:Chaos_Banish.png 계수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설명 일라이자가 다리를 뱀의 형상으로 변형시켜 상대를 공격한 뒤, 낫으로 상대방과 뱀을 함께 베어버린다.
1레벨 부가 효과 없음.
3레벨 적중 시 모든 이로운 효과를 제거하고 4초 동안 회복 불가 효과를 부여합니다.
9레벨 적중 시 모든 이로운 효과를 제거하고 8초 동안 회복 불가 효과를 부여합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적중 시 모든 이로운 효과를 제거하고 12초 동안 회복 불가 효과를 부여합니다.
공중의 적을 타격 시, 상대방을 일정 높이까지 띄운다.
다단히트, 총 4타
일라이자의 상징과도 같은 기술. 상대방의 모든 버프를 지워버리고 회복 불가까지 거는 사기적인 부가효과로[8] 인하여 모든 일라이자들이 예외 없이 반드시 채용한다. 저레벨에서는 피해량이 꽤 낮은 편이지만 레벨이 오를 수록 피해량이 크게 증가하며, 저레벨을 기준으로도 상대방을 특정 높이까지 다시 띄우는 판정 덕분에 콤보 연계에서 굉장히 유용하기 때문에 실전 딜량이 낮다고 보기는 힘들다.
어퍼 카트(Upper Khat)
파일:Upper_Khat.png 계수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설명 일라이자가 낫으로 바닥을 찍으면, 피로 만들어진 하인이 솟아나 상대방을 공격한다.
1레벨 부가 효과 없음.
3레벨 적중 시 25%의 확률로 상대를 4초간 기절시킵니다.
9레벨 적중 시 25%의 확률로 상대를 6초간 기절시킵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적중 시 50%의 확률로 상대를 6초간 기절시킵니다.
투사체 판정, 시전 중 무적판정
터치를 통하여 3회까지 공격 가능.
무난한 피해량과 기절이라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는 특수기. 시전 동작 시 전신 무적 판정이 붙기 때문에 돌진하는 AI를 카운터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지만, 후딜레이가 길기에 가드 당하면 사실상 확정 사망이므로 어지간히 숙련된 유저가 아닌 이상 달려오는 상대를 이 기술로 캐치하려는 것은 좋은 생각은 아니다.[9]
풀강 기준 1타 당 50%라는 높은 기절 확률과 6초라는 긴 지속시간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메인 딜링 용도로도 좋지만, 특히나 태그 안정성을 확보하는 용도로 매우 좋은 기술이다. 덕분에 잦은 태그 플레이가 필요한 이너피스, 블러디 밸런타인, 레드 벨벳 등의 서브딜러 캐릭터가 필수적으로 채용한다.
오시리스의 소용돌이(Osiris Spiral)
파일:Osiris_Spiral.png 계수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설명 일라이자가 낫을 자신의 몸에 감싸 돌린다.
1레벨 부가 효과 없음.
3레벨 적중 시 5% 확률로 5초 동안 상대에게 대량출혈 효과를 부여합니다.
9레벨 적중 시 5% 확률로 10초 동안 상대에게 대량출혈 효과를 부여합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적중 시 10% 확률로 10초 동안 상대에게 대량출혈 효과를 부여합니다.
다단히트, 총 8타
무난한 피해량과 더불어 대량출혈을 입히는 효과로 인하여 메인딜러를 맡는 일라이자가 주로 채용하는 기술. 다만 지상에서 사용 시 후딜레이로 인하여 이후 콤보 연계가 불가능하기에, 반드시 상대를 띄우고 사용해야하며 높이까지 어느정도 맞추어주어야 하는 까다로운 조건으로 인하여 사용이 상당히 까다롭다. 심지어 이 높이를 맞추기 위해서는 일반 어퍼가 아니라 후술할 아누비스의 추로 상대를 띄운 뒤 대쉬 1타로 고도를 조정해 줘야 한다. 다만 적절하게 사용해준다면 이후 콤보 연계까지 가능한데다가 가뜩이나 피해량이 낮은 일라이자 입장에서 준수한 피해량과 대량출혈이라는 효과 자체가 굉장히 반가운 요소이기 때문에 채용 가치는 충분히 높다.
아누비스의 추(Weight of Anubis)
파일:Weight_Of_Anubis.png 계수 피해량 없음
설명 일라이자의 수하 알버스가 상대 발 밑에서 나타나 붙잡은 뒤, 일라이자가 있는 방향으로 내던진다.
부가 효과 없음.
하인 판정, 잡기 판정
일라이자 콤보의 시작. 피해량이 없는 원거리 특수잡기로, AI가 시전할 경우 플레이어 입장에서 회피하기 굉장히 어려운 기술이다. 물론 피하기 어렵다는 점은 AI 입장에서도 마찬가지이며, 아얘 AI의 경우 가드 위로 1~2타 공격 후, 혹은 쓰러진 상대가 기상하기 전 허공에 대쉬 1타 이후 사용해주면 절대 회피하거나 반격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대방에게서 공격권을 확정적으로 가져오는 일라이자의 핵심 기술로 활용된다.
호루스의 강하(Dive of Horus)
파일:Dive_of_Horus.png 계수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설명 일라이자의 수하 호레이쇼가 공중에서 날아와 상대방을 짓밟는다.
1레벨 부가 효과 없음.
3레벨 크리티컬 확률이 25% 상승합니다.
9레벨 크리티컬 확률이 50% 상승합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크리티컬 확률이 100% 상승합니다.
하인 판정, 투사체 판정
적중 시 상대방을 공중으로 띄운다.
나쁘지 않은 피해량에 치명타 확률 보정이 붙어있기 때문에 작정하고 치명타 피해량 세팅을 해 줄 경우 피해량이 매우 높은 편에 들어간다. 문제는 일라이자는 애초부터 노크리 유틸 캐릭터의 대표격 캐릭터로 손꼽히는 만큼, 이 기술은 일라이자의 기본 플레이에 정면으로 반하는 기술이라는 것. 결국 그 어떤 일라이자 캐릭터들도 사용하지 않는 폐기물 기술로 취급받는다.
이시스의 왕좌(Throne of Isis)
파일:Throne_of_Isis.png 계수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설명 일라이자의 수하 호레이쇼와 알버스가, 일라이자의 가마를 끌고 상대방에게 돌진한다.
부가 효과 없음.
하인 판정, 투사체 판정
적중 시 상대방을 공중으로 띄운다.
피해량이 굉장히 높지만, 아무런 부가효과가 없으며, 결정적으로 콤보 연계가 전혀 불가능한 기술이기 때문에 실질적인 딜량도 오시리스의 소용돌이에 밀린다. 덕분에 전혀 사용되지 않는 기술.
스핑크스의 코(Middle of the Sphynx)
파일:Middle_of_the_Sphynx.png 계수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설명 일라이자가 피를 조종해 자신의 몸을 스핑크스 처럼 변형시켜 상대방을 공격한 뒤, 재채기를 해 코를 발사하여 추가로 한번 더 공격한다.
1레벨 적중 시 상대방의 게이지를 25% 감소시킵니다.
6레벨 적중 시 상대방의 게이지를 35% 감소시킵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적중 시 상대방의 게이지를 50% 감소시킵니다.
터치를 통하여 2회까지 사용 가능.[10]
세번째 타격은 투사체 판정.
다단히트, 총 3타
피해량 자체는 무난하며 블록버스터 게이지를 감소시키는 유용한 능력을 지니고 있다. 다른 캐릭터라면 필수로 채용하고도 남을 고성능 부가효과이지만, 일라이자는 무한콤보가 가능하여 사실상 게이지 관리의 중요성이 극도로 떨어지는 캐릭터이며, 콤보 연계 또한 블록버스터가 없다면 불가능한 관계로 거의 채용되지 않는다.
핏빛 숙녀들(Scarlet Ladies)
파일:Scarlet_Ladies.png 유형 도발
일라이자가 세크메트를 뽑아내어 자신을 과시한다.
1레벨 10초 동안 재생 효과를 얻습니다.
6레벨 12초 동안 재생 효과를 얻습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2px;" 15초 동안 재생 효과를 얻습니다.
블록버스터로 캔슬 가능
재생을 주기 때문에 소량이나마 체력 회복에 도움을 주는 유용한 도발 스킬. 자체 재생 능력이 없으며 특수기 위주의 플레이를 펼쳐야 하는 캐릭터들이 주로 채용한다. 혹은 소중한 미이라도 가드 불가 블록버스터 위주의 플레이를 한다면 꽤나 높은 확률로 채용한다.
아아루의 추방(Exile from Aaru)
파일:Exile_from_Aaru.png 유형 강제태그
일라이자가 다리의 피를 변형시켜 바닥에서 칼날을 소환시켜 상대방을 묶은 뒤 낫을 휘둘러 상대방을 쳐낸다.
특이사항 없음
여느 캐릭터들이든 모두 가지고 있는 강제 태그기. 상하단 판정이 꽤 넓은 편이며 공중에 띄우는 기술이 많은 일라이자인 만큼 사용 난이도는 상당히 낮은 편이다.
버스트
파일:Eliza_Burst.png 유형 버스트
일라이자가 세크메트가 드러날 정도로 대량의 피를 폭팔하듯 방출하여 상대를 밀쳐낸다.
1레벨 적중 시 5초 동안 상대에게 재앙 효과를 부여합니다.
6레벨 적중 시 7초 동안 상대에게 재앙 효과를 부여합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2px;" 적중 시 10초 동안 상대에게 재앙 효과를 부여합니다.
-
재앙 효과를 주는 기술은 블록버스터 세크메트의 물어뜯기에도 존재하지만, 15레벨 기준 50%인 세크메트의 물어뜯기와는 달리 이 기술은 무려 100% 확률로 재앙을 주기 때문에 일장 일단이 존재한다. 확정적으로 재앙을 걸 필요가 있는 상황에서 채용한다,

2.5.2. 블록버스터

세크메트의 물어뜯기(Sekmet's Bite)
파일:Sekhmets_Bite.png 계수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설명 세크메트를 해방시켜 피로 만든 도끼로 내려찍는다.물어뜯기라며
1레벨 부가 효과 없음.
3레벨 적중 시 25%의 확률로 10초 동안 방어막 파괴와 재앙 효과를 부여합니다.
9레벨 적중 시 35%의 확률로 10초 동안 방어막 파괴와 재앙 효과를 부여합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적중 시 50%의 확률로 10초 동안 방어막 파괴와 재앙 효과를 부여합니다.
세크메트 공격
캐릭터 능력을 발동시킬 수 있는 세크메트 시리즈 1. 특수기 하나보다 못 한 수준이긴 하지만, 세크메트 시리즈 중 가장 높은 피해량을 자랑하며 부가효과도 재앙과 방어막 파괴로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일라이자의 모든 기술을 통틀어서 가장 채용률이 높은 기술들 중 하나. 다만 3레벨 기준으로는 25%라는, 발동을 기대하면 안되는 수준의 확률을 지니고 있어서 빠른 레벨업이 필수적이며, 15레벨 기준으로도 50%로 사실상 운에 맡겨야 하는 수준인 만큼, 도발로 대체해야 하는 상황도 꽤나 자주 발생한다.
세크메트의 차례(Sekmet's Turn)
파일:Sekhmets_Turn.png 계수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설명 세크메트를 해방시켜 피로 만든 검으로 벤다
1레벨 부가 효과 없음.
3레벨 적중 시 25%의 확률로 10초 동안 출혈과 회복 불가 효과를 부여합니다.
9레벨 적중 시 적중 시 35%의 확률로 10초 동안 출혈과 회복 불가 효과를 부여합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적중 시 50%의 확률로 10초 동안 출혈과 회복 불가 효과를 부여합니다.
세크메트 공격
세크메트 시리즈 2, 세크메트 시리즈 답게 처참하게 낮은 피해량을 자랑하는 대신, 출혈과 회복불가라는 부가효과가 붙어있다. 회복 불가는 어차피 카오스 배니쉬를 통하여 확정적으로 걸 수 있는 만큼 큰 가치가 없지만 출혈 효과는 이 기술의 처참한 피해량을 어느정도는 보완해줄 수 있다. 물론 50% 라는 확률을 뚫어야 이 기술의 단점이 보완된다는 점에서 사실상 구멍에 가까운 기술. 덕분에 세크메트를 극단적으로 활용해야 하는 디바의 침략같은 캐릭터가 아니라면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세크메트의 격노(Sekmet's Fury)
파일:Sekhmets_Fury.png 계수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설명 세크메트를 해방시켜 피로 만든 검으로 난도질한다.
1레벨 부가 효과 없음.
3레벨 적중 시 25%의 확률로 10초 동안 분노와 신속효과를 획득합니다.
9레벨 적중 시 35%의 확률로 10초 동안 분노와 신속효과를 획득합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적중 시 50%의 확률로 10초 동안 분노와 신속효과를 획득합니다.
세크메트 공격
세크메트 시리즈 3. 세크메트 시리즈 답게 없는 것과 다를 바 없는 피해량이 특징. 심지어 15레벨 이전까지는 대쉬 1타보다도 약한 경이로운 피해량이 인상적이다. 유일하게 2타로 이루어진 세크메트 스킬이며, 부가효과도 두 번 발동될 수 있다. 심지어 제공해주는 효과는 일라이자가 다른 특수기나 블록버스터로 획득할 수 없는 분노와 신속이기 때문에 차별화가 가능하다. 다만 분노는 몰라도 신속의 경우 일라이자가 크게 필요로 하지 않는 옵션이며, 분노 때문에 이 기술을 채용하기에는 필수적인 기술이 너무 많아서 비효율적이다. 덕분에 세크메트 기술을 자주 꺼내야 하는 디바의 침략, 이너피스 정도가 아니라면 잘 사용하지 않는 편.
케프리 썬(Khepri Sun)
파일:Khepri_Sun.png 계수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설명 피를 몸에 둘러 스캐럽의 형상으로 변신하여 상대방에 돌진한다.
1레벨 부가 효과 없음.
3레벨 상대방에게 해로운 효과가 적용되어 있다면 25%의 추가 데미지를 줍니다.
9레벨 상대방에게 해로운 효과가 적용되어 있다면 35%의 추가 데미지를 줍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상대방에게 해로운 효과가 적용되어 있다면 50%의 추가 데미지를 줍니다.
마지막 타격이 들어가기 전 까지 상대방의 체력이 1 이하로 떨어지지 않는다.
마지막 타격에 반사피해가 적용될 경우, 상대방의 남은 체력 여부와 관계 없이 반사피해를 입는다.
다단히트, 24타
풀히트 피해량이 굉장히 높은 고타수 블록버스터. 다만 기술의 시전 시간이 굉장히 길기 때문이 DPS가 높은 기술은 아니다. 어지간한 타 캐릭터들의 가드 불가 블록버스터 수준의 긴 시전시간을 자랑하는 만큼, 시간을 엄청나게 잡아먹기 때문에 어지간해서는 추가피해를 입힐 수 있도록 디버프를 건 상태에서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재앙을 줄 수 있는 기술이 굉장히 많은 일라이자의 특성 상 높은 타수가 큰 문제가 되지 않는 만큼, 리프트 전투에서 블록버스터 마무리 및 콤보 점수를 챙기는 용도로 굉장히 자주 사용되는 준필수 스킬이다.
네크베트 브레이커(Nekbet Breaker)
파일:네크베트브레이커.png 계수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설명 피로 날개를 만들어 상대방을 붙잡고 날아오른 뒤 바닥으로 떨어뜨린다.
1레벨 부가 효과 없음.
3레벨 적중 시 25%의 확률로 8초 동안 방어막 파괴 효과를 부여합니다.
9레벨 적중 시 35%의 확률로 8초 동안 방어막 파괴 효과를 부여합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적중 시 50%의 확률로 8초 동안 방어막 파괴 효과를 부여합니다.
잡기 판정
마지막 타격에 반사피해가 적용될 경우, 상대방의 남은 체력 여부와 관계 없이 반사피해를 입는다.[11]
일라이자의 모든 기술 중 가장 강력한 한 방 피해량을 보유하고 있는 블록버스터. 케프리 썬에 비해서 기술이 훨씬 빠르게 끝나기 때문에 DPS로는 훨씬 높긴 하지만, 2레벨 블록버스터라는 특성 상 충전량을 고려하면 사용 빈도가 높지 않다는 점이 문제. 부가효과 자체도 세크메트의 물어뜯기의 하위호환이라 블록버스터 마무리 용도가 아니라면 잘 사용하지 않는다. 심지어 해당 용도로도 케프리 썬이 존재하기 때문에 좋은 평은 못듣는 편.
학살의 숙녀(Lady of Slaughter)
파일:Lady_of_Slaughter.png 계수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설명 세크메트를 해방시켜 상대방을 난도질한다.
1레벨 부가 효과 없음.
3레벨 50%의 확률로 10초 동안 무작위 해로운 효과를 부여하며, 상대방의 특수기와 태그에 재사용 대기시간을 적용시킵니다.
9레벨 75%의 확률로 10초 동안 무작위 해로운 효과를 부여하며, 상대방의 특수기와 태그에 재사용 대기시간을 적용시킵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100%의 확률로 10초 동안 무작위 해로운 효과를 부여하며, 상대방의 특수기와 태그에 재사용 대기시간을 적용시킵니다.
세크메트 공격
가드 불가
모든 가드 불가 블록버스터 중 애니의 짤방의 시간과 함께 DPS가 가장 저열한 가드 불가 블록버스터. 심지어 일라이자는 블록버스터 게이지가 잘 안차는 캐릭터들 중 하나인 편이라서 블록버스터 게이지를 획득하는 고유능력이라도 있는 것이 아니라면 어지간해서는 채용할 일이 없다. 사실 그런 고유능력을 지니고 있어도 케프리 썬 쪽이 훨씬 유용하지 이 쪽을 쓰는 일은 드믄 편.

3. 플레이 스타일

우수한 능력치와 더불어 출중한 유틸을 지닌 캐릭터.

DPS를 제외한 기본 성능 자체는 완벽에 가깝다고 평가받는다.
처음 일라이자를 사용하는 유저들이 당황하는 점은 기본기의 판정이 굉장히 짧고 대쉬관련 능력이 상당히 굼뜨기에 선타를 잡기 어렵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은데, 사실 일라이자는 다른 캐릭터들처럼 기본기로 상대방을 인터셉트 할 필요 없이 특수기 아누비스의 추를 통하여 상대방을 강제로 끌어오는 방식으로 선타를 확정적으로 잡을 수 있다. 이것을 이용한 무한 콤보가 가능하며, 아누비스의 추가 없더라도 돌진 + 블록버스터 순간 무적 + 유사불굴 판정을 세트로 가지고 있는 주제에 1레벨 블록버스터라 게이지가 순식간에 차오르는 세크메트 블록버스터들로 아주 쉽게 인터셉트가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숙련된 유저들의 입장에서는 말 그대로 모든 캐릭터들 중 가장 쉽게 선타를 잡아올 수 있는 캐릭터로 손꼽히며, 캐릭터의 특수기가 전반적으로 공중에 있는 적을 다시 높게 띄우는 판정이 많기 때문에 콤보를 이어나가기도 매우 쉽다.다만 이에 대한 대가로 전반적인 계수가 전체적으로 많이 낮은 편이라 DPS 자체는 별로 높지 않은 편.

기술의 부가효과가 굉장히 우수한 캐릭터인데, 재앙[12], 기절[13], 회복불가[14], 출혈[15]가 있으며 이 중에서 특히나 재앙의 경우 다른 캐릭터의 경우 고유능력에 재앙을 거는 능력이 있다는 이유로 채용이 될 정도로 고성능 디버프로 손꼽히는 만큼 일라이자 플레이의 핵심은 바로 이 디버프를 걸 수 있는 세크메트의 물어뜯기라고 평가받는다.
그리고 무엇보다 가장 핵심스킬로 평가 받는 기술은 바로 카오스 베니쉬. 상대에게 걸린 모든 버프를 지워버리는데,[16] 방어한 상대에게 카오스 배니쉬를 긁어주는 것 만으로도 버프삭제가 발동된다. 더욱이 이러한 버프 제거 효과의 경우 디버프가 아니기 때문에 저항을 통하여 방지하는 것도 불가능하기에 이 게임 전체에서도 가장 사기적인 스킬을 고르라고 할 때 반드시 들어가는 일라이자의 상징이라고도 할 수 있는 스킬.

이외에도 재생을 얻을 수도 있으며 일류능력을 찍은 경우 체력회복 수단까지 생기며, 기술 선택에 따라서 히트 수도 높힐 수 있기에 말 그대로 리프트에서 필요한 요소들은 전부 다 가지고 캐릭터라고 부를 수 있다.[17]

덕분에 높은 등급의 캐릭터들은 어지간히 고유능력이 처참한 것이 아닌 이상 A급 이상의 캐릭터로 평가받고 있으며 실전에서 사용되는 공격캐릭터가 가장 많은 캐릭터에 들어간다. 그러나 방어자로서는 최악에 가깝다. 일라이자는 전반적으로 부실한 기본기를 가지고 있는데, 공격자 일라이자는 아무래도 상관 없는 반면, 방어자 일라이자는 일어나자마자 무작정 상대에게 무방비 상태로 돌진하는 샌드백에 가깝다.[18] 그렇다고 스퀴글리처럼 방어자로서 뛰어난 고능을 가지고 있는 캐릭터도 없기에 방어형 일라이자는 사장된 상태.

4. 평가

4.1. 장점

  • 초고성능의 기술 부가효과
    상대방의 모든 버프를 제거하는 카오스 배니쉬, 재생을 획득하는 도발, 긴 지속시간의 기절을 거는 어퍼카트, 재앙을 거는 버스트와 세크메트의 물어뜯기 등 일라이자의 기술들은 하나같이 버릴 게 전혀 없다는 평가를 받을 만큼 사기적인 부가효과를 가진 기술들이 포진해있다. 일라이자가 상황에 따라서 채용을 포기하는 기술들인 어퍼카트나 세크메트의 차례, 세크메트의 분노 같은 기술들은 다른 캐릭터들에게 있었다면 핵심 스킬로 반드시 활용되고도 남을 기술인 걸 생각해보면 일라이자의 이러한 유틸은 스컬걸즈 모바일 내에서도 독보적인 수준이라는 말이 아깝지 않다.
  • 우월한 공격 선제권
    고스펙 유저의 경우 특수기 아누비스의 추를 통하여 말 그대로 무한콤보가 가능하다. 저스펙 유저라도 세크메트의 시전 무적 + 유사 불굴 판정을 통하여 돌진하는 상대방을 역공하는 방식으로 선타를 잡을 수 있다. 낮은 딜을 보완해주는 장점으로, 일라이자는 콤보 DPS가 낮을지언정, 사실상 전투 시간을 공격에 최대로 활용할 수 있는 캐릭터이기에 치유방해로 막을 수 없는 회복이나 차단막같은 변수만 없다면 실전에서 클리어 타임은 느리다고 보긴 힘든 편이다.
  • 저열한 궁극능력 성능으로 인한 노크리 운영
    저열한 궁극능력 성능이 단점으로 보일 수 있겠지만 오히려 치명타 공격을 카운터치는 요소가 산재한 스컬걸즈 모바일 특성 상 오히려 스킬트리의 치명타 확률을 찍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 의외로 엄청난 메리트가 된다. 특히나 방어자로써 가장 까다로운 페인휠 방어자를 큰 타격 없이 찢어버릴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 육성 재화도 굉장히 많이 아낄 수 있는 것은 덤.
  • 조절 가능한 히트 수
    우수한 콤보력을 가지고 있기에 특수기의 순서를 변경해도 어지간해서는 비슷한 길이의 콤보를 짤 수 있다. 각종 촉매 및 대전효과를 피해가기 위해 적절히 타수를 낮게 조절해가면서 때릴 수 있으며 리프트 고득점을 위해 캐프리썬 등의 기술로 50타를 넘게 때리는 플레이도 가능하다.
  • 기절 특수기를 이용한 안전한 태그 플레이
    특수기 어퍼카트는 15레벨 기준 50% 확률로 6초의 기절을 거는 기술로, 총 3타로 이루어져있기에 87.5% 확률로 상대방에게 6초 기절을 건다. 일라이자는 아군이 안정적으로 태그 인 할 수 있는 기반을 잡아줄 능력을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셈이다. 이로 인하여 태그 플레이를 하게 될 경우 어지간해서는 일라이자가 조합에 들어가게 된다. 스컬걸즈 모바일에서 태그는 각종 초고성능 서포터들의 고유능력 발동 트리거이며, 방어 및 공격조합에 엄청난 영향을 끼치는, 고스펙으로 올라갈 수록 필수적으로 활용하게 되는 컨트롤인 만큼, 플레이어가 고스펙이 되어 상위 티어로 갈 수록 일라이자의 중요도가 굉장히 높아지는 셈이다.
  • 압도적인 리프트 성능
    위의 장점들이 시너지를 일으켜서 나오는 장점. 일라이자는 각종 촉매의 영향을 가장 쉽게 피해갈 수 있는 캐릭터이며, 피하지 못하였어도 손쉽게 변수를 틀어막을 수 있다. 맞을 일이 거의 없다보니 체력관리도 수월하며 콤보수도 높게 찍을 수 있기에 콤보점수까지 챙기기 좋다. 그나마 클리어 타임이 약간 발목을 잡는 편이지만, 변수가 많은 상위티어 리프트 특성 상 애초에 이런 변수를 완전히 틀어막아버리는 일라이자가 클리어 타임이 더 빠른 경우도 많이 발생하는 만큼, 사실상 리프트에서의 성능만큼은 독보적인 캐릭터로 취급받는다.
  • 모든 컨텐츠에서 안정적인 종합 성능
    리프트에 집중된 장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현상금에서도 위협적인 페인휠 방어자를 쌈싸먹을 수 있으며, 배수진, 무적, 축복 같은 패배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버프를 차단할 수 있다. 무엇보다 강제 선타 + 기절기까지 존재하는 만큼 선타를 잡기 힘든 딜러를 보조해주는 플레이도 가능하다. 결국 평행세계나 현상금 전투에서도 평균 이상의 성능을 보여주는 셈.

4.2. 단점

  • 낮은 피해량
    각종 화력을 보충해 줄 유틸이 존재하기는 하지만, 그걸 감안해도 딜량이 높지는 않다. 당장에 위에서는 여러 변수를 통제하기에 어지간한 메인딜러보다 클리어 타임이 빠를 때도 있다고 서술하였지만, 역으로 말해보자면 심각한 억까를 당하지 않는 이상 다른 공격자 캐릭터들은 일라이자보다 빠른 클리어 타임을 보여준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 디버프 제어 능력이 전무함
    6.1 패치 이후에 부각된 단점. 상대방의 버프를 제어하는 능력만큼은 독보적이지만, 반대로 자신에게 걸리는 디버프를 제어할 능력이 전무하기 때문에, 전력 과부하 촉매가 필수 촉매가 된 2024년에는 면역이나 디버프 제거 옵션을 제공해줄 서포터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5. 총평

중하위권의 딜량을 제외하면 단점이 전혀 없는 만능 캐릭터.

선술하였듯 완벽한 버프제어, 쓸만한 수준의 체력관리, 압도적인 성능의 선타잡이를 모두 갖추어 유틸적인 면에서는 완벽에 가까운 캐릭터인 만큼 안정성 하나만큼은 스컬걸즈 모바일에서 최고 수준을 다툰다. 무한콤보가 가능한 캐릭터는 여럿 있지만 버프제거, 기절, 재앙까지 모두 갖추고 있는 캐릭터는 일라이자 이외에는 전혀 없다.

또한 인터셉트가 까다로운데다가 기본 성능부터 방어자로써 사기적이며, 촉매마저 사기적인 성능을 자랑하기에 장장 3년에 걸쳐서 메이저한 방어자로 활약중인 페인휠의 완벽한 카운터이기도 하다. 기본적으로 궁극능력과 약간의 공격력을 포기하고 치명타 확률을 전혀 찍지 않기에 치명타 반사피해를 입지 않고, 아누비스의 추를 통하여 강제로 선타를 잡아올 수 있어서 선타싸움에서도 유리하며 전체적인 기술의 타수가 많은 대신 한발 한발의 피해량은 작은 편이라서 어지간해서는 부에르 촉매까지 피해가기 때문. 이로 인하여 다이아몬드 티어 이상에서부터는 리프트에서 적어도 두 종류 이상의 일라이자를 반드시 사용할 수 밖에 없는 만큼, 리프트 점수를 본격적으로 올려보기 위해서는 반드시 사용해야 하는 캐릭터이기도 하다.

무한 콤보가 가능한 캐릭터인 만큼, 의외로 실전에서 플레이하다 보면 어지간한 딜러랑 비슷한 클리어 타임을 보여줄 때도 존재한다. 특히 고전투력으로 갈 수록 AI가 미쳐날뛰기 시작하기에 각종 억까를 당해서 전투가 망하는 판이 굉장히 자주 벌어지는데, 일라이자의 경우 무한콤보로 인하여 AI를 역으로 억까한다.

무한콤보는 그 자체만으로도 강력한 유틸이며, 그 외에 기본유틸도 최상위권이라서 방어자에게 적용되는 능력치 보너스가 낮은 전투에서는 메인딜러, 능력치 보너스가 높은 전투에서는 서브딜러로 엄청난 활약을 한다.

다만 확연히 떨어지는 화력만큼은 그 누구도 부정 못하는 단점. 전체적인 계수가 많이 낮기 때문에 혼자서 캐리하는 유형의 캐릭터는 아니다. 전체적인 화력이 가장 높은 캐릭터가 태생 골드의 피바다인데, 이 캐릭터도 화력은 다른 출혈딜러들에 비해서 많이 떨어진다. 물론 대량출혈을 입히는 기술이 있는 만큼 전체적으로 화력을 보충할 방법이 없지는 않지만 그걸 감안하더라도 화력이 높다고 보기는 힘들다.

이로 인하여 능력치나 고유능력이 심각하게 떨어지는 캐릭터를 제외한 대부분의 캐릭터들이 리프트에서 최상위권의 필수딜러로 취급받으며, 현상금에서도 기본 판정이 구려서 게임 시작 직후 선타를 잡기 어려운 캐릭터들과 조합하여 유용하게 사용된다.

다만 선술한 화력으로 인하여 일라이자가 딜을 맡는 전투의 경우 스펙차가 심하게 나는 게 아니라면 전체적으로 클리어 시간 점수에서 크게 감점을 먹고 들어간다. 물론 작정하고 긴 콤보를 넣는 다면 50콤보는 우습게 넣는 특성 상 어느정도 보완이 가능하긴 하지만 확실히 3인방부터는 깡공격력이 높고 속성보너스까지 챙기는 흡혈영웅이 아닌 이상 콤보점수보다 시간 점수로 인한 손해가 더 크다. 때문에 이 게임에서 일라이자의 평가 자체는 매우 좋을지언정, 일라이자를 얼마나 적게 사용하는가가 천상계에서 플레이어의 실력과 등수를 판가름내는 요소로 작용한다.[19]

5.1. 기타 플레이 팁

일라이자는 사실상 대부분의 상황에 대처할 능력이 있는 캐릭터이지만, 반대로 플레이어가 상황을 예상하고 기술을 골라가야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그렇기 때문에 스컬걸즈 모바일을 본격적으로 파고들어간다면 필수적으로 연습해야 하는 캐릭터인 만큼, 기술 세팅에 따라서, 누굴 상대하느냐에 따라서, 어떤 변수가 터지느냐에 따라서 콤보가 굉장히 유동적으로 들어가는 만큼, 순간적인 변수에 대처하는 플레이어의 눈치가 굉장히 중요한 캐릭터다.

그렇기 때문에 딜과 클리어 속도에 욕심을 내기보다는 유틸기 위주를 적재적소에 활용해가면서, 안정적인 플레이를 한다는 마음가짐으로 다루는 것을 추천한다.

특히 초보 유저들이 가장 실수하는 점은, 특정 상황에서 세크메트 하단 공격이 여러번 들어간다는 점을 노리고 세크메트 폼에서 계속 머무르는 플레이인데, 어차피 일라이자는 세크메트 상태에서도 딜량이 낮으니 그냥 세크메트 블록버스터는 적에게 유용한 디버프를 거는 특수기와 다를 바 없다는 마음가짐으로 콤보를 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6. 스킨

6.1. 다이아몬드

흡혈영웅 파일:스걸모 바람속성.png
파일:Stand_Out.webp
카드
파일:SG_eli_color15.png
인게임
"평생 빵을 얼마나 먹어보셨나?"
고유 능력
뷔페
일라이자의 체력비율이 상대보다 낮은 경우 상대에게 준 피해량의 75%를 체력으로 회복합니다. 상대방이 공격을 방어하여도 적용됩니다.
상대가 이로운 효과를 얻을 때 마다 50% 확률로 제거되고[20] 일라이자의 모든 블록버스터 게이지가 즉시 25%만큼 충전됩니다.
능력치 유형 : 밸런스형
다이아몬드 공격력 체력
1레벨 60레벨 1레벨 60레벨
613 11770 4169 80045
컬러링 모티브는 DIO, 세크메트는 더 월드. 번역명으로는 알아차리기 어렵지만 원래 스킨명은 "Stand Out"이고 소개문도 노골적으로 "너는 지금까지 먹은 빵의 개수를 일일이 기억하나?"를 패러디했다.

2018년 태생 다이아몬드 업데이트로 등장한 최초의 태생 다이아몬드 캐릭터들 중 하나로, 출시 초기에는 모든 일라이자들 중 가장 높은 공격력을 지니고 있었음에도, 성능에 대한 평가가 굉장히 나쁜 캐릭터였다.

허나 리프트 전투라는 신규 컨텐츠의 출시와 약 반년 뒤에 이루어진 리프트 전투 촉매 시스템의 출시로 인하여, 필수 캐릭터의 위치에서 약 5년 이상 내려오지 않았던 기염을 토하는 등, 컨텐츠 추가로 재대로 인생역전한 캐릭터로 손꼽힌다.

고유능력은 상대방의 버프 관리에 최적화되어있는데, 사실 일라이자 자체가 재앙을 활용할 수 있으며, 카오스 배니쉬를 통하여 버프를 통째로 지울 수 있다는 점 덕분에 고유능력 2가 발동되지 않더라도 큰 손해는 아니다.

다만 그렇다고 쓸 대 없는 고유능력으로 오해하면 안되는 것이, 블록버스터 게이지를 채워주기 때문에 세크메트의 물어뜯기에 재앙 효과가 붙어있는 일라이자의 특성 상, 저 고유능력이 발동됨으로써 재앙을 더 자주 활용할 수 있으며, 강한 화력의 블록버스터인 케프리썬이 굉장히 빠르게 돌아오는 덕에 블록버스터 마무리도 굉장히 쉬워진다.

고유능력 2의 버프제거의 특이사항으로는, 하나의 버프가 여러 스택으로 들어오는 경우 해당 버프 스택 수 만큼 버프 제거 고유능력이 여러번 적용되는데, 단 한번이라도 버프 제거가 발동된다면 모든 스택이 한 번에 지워진다는 점이다. 쉽게 이야기해서 같은 버프를 여러 스택으로 획득하는 캐릭터들을 상대할 경우 고유능력 2가 사실상 확정적으로 발동된다.[21]

오해하면 안되는 것이, 기존에 걸려있는 버프를 지우는 고유능력은 아니기 때문에 버프 제거가 발동되지 않았다면 고유능력 2로 절대 지울 수 없다. 이 경우에는 카오스 배니쉬로 지워주도록 하자.

고유능력 2는 영구버프 또한 제거가 가능하다.

리프트 전투에 촉매가 추가된 순간부터 언제나 OP 자리를 유지하던 냉기 방어막 촉매를 사실상 자신의 블록버스터 게이지 포션으로 활용할 수 있었던 캐릭터였기 때문에, 냉기 방어막 촉매가 너프를 먹고 난 뒤에는 입지가 상당히 줄어들긴 했다.

특히나 흡혈 영웅도 일라이자의 고질적인 약한 피해량이라는 단점을 피해가지는 못하는데, 6.1 패치 이후 물속성 방캐의 수가 상당히 줄어들면서 속성 보너스를 받지 못하게 되어버려 더더욱 단점이 부각되는 중이다.

물론 여전히 장밋빛, 부식 전문 요원 등 흡혈영웅이 활약할 수 있는 방덱은 상당히 많은 만큼, 아직까지는 리프트 준 필수 캐릭터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는 캐릭터.

또한 일라이자들 중 가장 높은 공격력을 지니고 있어서 현상금 성능 또한 안정적이다. 모든 스킬 레벨 15레벨 기준으로는 분리된 상 정도를 제외한다면 사실상 카운터가 전혀 없는 무상성 캐릭터. 다만 클리어 속도는 꽤 오래 걸리는 편이며, 상대방의 부활 고유능력을 차단할 수 없다는 점에서 데스위시의 하위호환. 물론 이건 데스위시가 대놓고 사기캐릭터인거지 흡혈영웅도 고스펙 기준으로는 현상금 상위권 강캐다.

소중한 미이라 파일:스걸모 빛속성.png
파일:Mummy_Dearest.webp
카드
파일:SG_eli_color18.png
인게임
"인생은 즐거워."
고유 능력
완전한 장악
특수기를 사용하면 최대 체력을 10% 만큼 희생하여 블록버스터 게이지가 35% 충전되고 10초동안 대량 재생 효과를 얻습니다.
세크메트 모드 돌입 시 30초 동안 축복과 면역 효과를 얻습니다.
능력치 유형 : 방어형
다이아몬드 공격력 체력
1레벨 60레벨 1레벨 60레벨
521 10004 4586 88052
2019년 할로윈 이벤트에 추가된 태생 다이아 스킨이다. 모티브는 킬라킬의 키류인 라교.

출시 초기부터 꽤 오랜 시간동안 일명 미닼[22][23]이라는 멸칭으로 불리며 태생 다이아몬드 최하위권 캐릭터로 평가받았으나[24], 2022년 버프, 2024년 촉매 대개편 패치를 통하여 재대로 떡상한 리프트 전투 전용 공격 캐릭터.

특수기 사용 시 체력을 약간 희생하여 블록버스터 게이지 획득하며, 세크메트 기술 사용 시 면역을 획득하는 유틸리티를 보유한 대신 매우 낮은 공격력으로 인하여 높은 딜링 능력을 요구하지 않는 전투에서 주로 사용된다.[25]

애시당초에 딜링 능력이 필요 없는 상황에서 꺼내는 만큼, 낮은 딜량은 큰 단점이 되지 않으며, 일라이자의 자체적인 유틸리티 + 면역이라는 완벽한 유틸리티를 보유하고 있다고 이해하면 된다.

단점은 사용 난이도가 상당히 높다는 점. 특수기를 사용 시 대량재생을 얻기는 하지만, 대량재생은 스택을 쌓을 수 없는 버프이기 때문에 사실상 대량 재생이 끝나기 전 까지 3개 이상의 특수기를 사용한다면 사실상 체력에서 손해를 볼 수 밖에 없는 구조다. 덕분에 한 콤보에 사용할 수 있는 특수기가 2개로 줄어드는데, 한 콤보만으로 세크메트의 물어뜯기가 발동되지 않는다면 체력 관리가 상당히 빡빡해지는 편이다. 조작 난이도보다는 전반적으로 운영 난이도가 상당히 높은 전형적인 뇌지컬 캐릭터.

주로 1인방에서 버스트와 도발을 챙기고 블록버스터나 케프리썬을 통하여 상대방을 한 방에 죽이는 방식으로 플레이한다. 이런 플레이 시 1인방에서 1970점 이상의 점수를 낼 수 있다. 다만 다이아몬드 2티어 이상부터 주로 1인방에 배치되는 블루 스크린, 부식 전문요원, 그림자 인형, 어새신 그리드 등의 메이저 방어 캐릭터들과는 상성이 나쁘기 때문에 어느정도 티어가 오를 수록 1인방이 아니라 2인방, 3인방에서 활용된다.

6.1 패치 이후 전격 무력화 촉매가 사실상 필수 촉매로 부상하자 면역을 획득할 수 있는 미이라의 주가가 폭등, 사실상 리프트에 한해 흡혈영웅과 동급이라는 평가를 받을 만큼 평가가 올랐다. 이후 6.2 패치에서 전격 무력화가 너프를 먹기는 했지만, 2인방에서 10초마다 상대방의 블록버스터 게이지를 리셋 시키는 바람 속으로 촉매가 떡상하기 시작하자, 블록버스터를 미친듯이 난사할 수 있는 미이라가 한 번 더 떡상, 천상계에 한해서 흡혈영웅보다 압도적으로 많이 쓰이는 메이저 공격 캐릭터로 떡상하는 인생 역전을 재대로 보여주었다.

6.2. 골드

디바의 침략
파일:Diva_Intervention.png파일:인게임 디바.png
고유 능력 1: 세크메트의 공격으로 입힌 피해량의 50%만큼 체력을 회복합니다.[26]
고유 능력 2: 세크메트의 공격으로 상대의 블록버스터 게이지를 8% 흡수합니다.
등급 기본 체력 기본 공격력 최종체력 최종 공격력
다이아몬드 3573 526 68602 10100
골드 1985 292 32157 4731
현상금 보상 캐릭터

팔레트 모티브는 유리안.
체력과 상대 블록버스터 관리에 특화된 스킨이다.
어지간히 운이 나쁘지 않은 이상 매칭을 반피 이하로 남겨놓는게 힘들정도로 정신나간 체력관리 능력을 보여주며 세크메트 공격으로 블록버스터 게이지까지 흡수하기때문에 게임 내내 세크메트 상태로 있는 모습도 보여준다.

일라이자의 자체 캐릭터 성능덕분에 어지간한 버프는 다 막아버리는게 가능하며 그 와중에 정신나간 콤보력과 체력관리 등 3분안에 잡을 수 있는 전투는 폭군이라고 봐도 무방한 안정성을 보여준다.

단점은 캐릭터 자체의 낮은 공격력. 애초에 공격력을 올려주는 고능이 아니기때문에 높지 않은 공격력의 벽이 상당히 크게 다가오게 되며 높은 공격력과 관통작을 해주지 않으면 빠르게 도태되어버리는 공격자라고 할 수 있다. 물론 현상금 고연승에서 그렇다는거지 리프트로 가게 되면 상대적으로 방어자들의 체력이 적기 때문에 3인방을 제외한 나머지 체력관리가 필요한 노드에서 크게 활약한다.

주 사용처는 리프트 부에르 촉매 방어방을 격파하는 용도. 버프제거로 인해 원한 페인휠은 물론 체력관리 능력을 통하여 감염된 피 페인휠까지 쉽게 상대할 수 있다. 낮은 공격력이 부에르 촉매를 역으로 카운터치는것까지 가능한것은 덤.


레드 벨벳
파일:sgm Red_Velvet.png파일:인게임 레드벨벳.png
고유 능력 1: 세크메트를 발동할 경우, 상대에게 15초 동안 저주 효과를 부여합니다. 효과 지속시간 동안 상대는 고유 능력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고유 능력 2: 상대 한 명이 저주 효과가 적용된 상태로 태그해서 나가면 다음 상대에게 15초 동안 무작위로 해로운 효과 3개를 입힙니다.[27]
등급 기본 체력 기본 공격력 최종체력 최종 공격력
다이아몬드 3931 446 75476 8564
골드 2184 248 35381 4018

스컬걸즈 모바일 내에서 저주 디버프는 상대방의 고유능력을 막아버리는, 파멸만 제외하면 게임 내에서 최강급 파괴력을 지니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수준의 초고성능 디버프다. 그 때문에 저주 디버프를 걸 수 있는 캐릭터는 무지개다리와 암흑의 심장, 그리고 혼돈 궁능을 투자한 더블과 악단차 돌진을 채용한 더블들과 레드벨벳 뿐이다.

물론 모든 더블들이 다 저주를 걸 수 있는 만큼 이 스킨의 가치가 낮아보일 수 있지만 레드 벨벳의 최대 장점은 굉장히 안정적인 일라이자라는 캐릭터가 게임 내에서 두번째로 지속시간이 긴 저주를 확정으로 걸 수 있다는 점에 있다. 앞서 말한 스킨들 혹은 더블 모두 조건부로 저주를 걸거나 아얘 확률성으로 저주를 걸기 때문에 실전에서의 활용이 굉장히 까다로운데 비해 레드 벨벳의 경우 1레벨 블록버스터 한 번 사용하는 것으로 확정적으로 저주를 걸 수 있다.

다만 이에 대한 페널티인지 방어자에 적합한 고유능력도 아닌 주제에 방어캐릭터의 스탯을 지니고 있으며 덕분에 태생 실버의 블러디 발렌타인보다도 낮은 처참한 공격력을 자랑한다. 덕분에 메인 딜러로 운영하기에는 특유의 고질적인 낮은 딜량으로 인하여 한계가 뚜렷한 편이다. 물론 이는 개발진들이 의도한 바로 당장에 피바다와 레드 벨벳의 공격력이 바뀌었었다면 레드 벨벳은 흡혈 영웅보다도 고평가 받았을 것이다.

아무튼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어느 정도 투자가 된 레드 벨벳의 경우 리프트 덱에서 잘 안풀리는 방어 조합을 상대할 때를 대비한 비장의 카드로 사용되는 편이며, 가뜩이나 리프트 2.0 패치 이후 극성을 부리고 있는 방어자들 모두를 상대로 굉장히 유리한 상성을 지니기에 게임 내 최고의 고급인력 취급을 받는다.

기본적인 운영은 빠르게 게이지를 쌓고 상대에게 저주를 먹인 뒤 메인 딜러와 태그하는 스위퍼 형태의 서포터이지만, 리프트 전투에서 1인방에 한해 대부분의 메타 방어자들을 상대로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기 때문에 0티어급 딜러로 취급받기도 한다. 실제로 부에르 촉매를 채용한 페인휠을 제외한[28] 모든 메타 방어자들을 상대로 1900점 이상의 점수를 보장하는 압도적인 성능과 범용성을 한번에 지니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딜러로써 레드벨벳의 최악의 단점은 성능이 아니라 다른 것에 있는데, 스위퍼로써 레드 벨벳의 성능이 너무 출중한 탓에 1인방에서 소모하기에는 너무 아깝다는 것(...).


피바다
파일:Bloodbath.png파일:인게임 피바다.png
고유 능력 1: 어느 쪽이든 블록버스터를 사용하면, 양쪽 모두 10초 동안 출혈 효과를 얻습니다.
고유 능력 2: 100% 확률로 자신에게 적용된 모든 출혈 효과를 재생 효과로 바꿉니다.
등급 기본 체력 기본 공격력 최종체력 최종 공격력
다이아몬드 3215 605 61728 11616
골드 1786 336 28934 5444

출혈과 관련된 고능을 가지고 있는 일라이자로 일라이자의 캐릭터 성능을 양껏 발휘하면서도 출혈을 통해 상대의 체력까지 너덜너덜하게 만들 수 있으며 덤으로 자신의 체력관리까지 가능한 초고성능의 캐릭터다. 태생 골드 캐릭터들 중에서 전체적인 성능이 가장 좋은 캐릭터를 논할 때 항상 다섯 손가락 안에 뽑히는 고성능 딜러.

기본적으로 어지간해선 생체퇴마사의 상위호환급의 능력을 보여준다. 애초에 높은 공격력에 힘입어 깡딜부터가 전혀 나쁘지 않은데 출혈 데미지도 무시할 수 없다. 일라이자 특유의 버프캐릭터 카운터는 물론이고 정신나간 선타잡이까지 겹쳐져서 어지간한 태생 다이아보다도 우수한 캐릭터라고 평가받는다.

단점은 말했듯이 출혈 카운터에게는 딜량이 크게 반감되어버린다는 점. 물론 대표적인 출혈 카운터인 중환자실 밸런타인에게는 역으로 회복불가를 먹여서 딜량이 반감이 되도 회복은 못하게 막는 것이 가능하기에 큰 단점으로 작용하진 않는다.

또한 유의해야 하는 점은 피바다는 딜과 안정성 모두를 잡은 캐릭터이긴 하지만, 타 폭딜러들에 비해서는 딜량이 모자라며 안정성 또한 비슷한 유형의 딜러들 중에서는 가장 떨어지는 축이라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높은 딜이 필요한 방어자를 상대할 때도, 극단적인 체력관리가 필요한 방어자를 상대할 때도 적당히 클리어가 목표라면 클리어는 가능하겠지만 높은 점수를 따기에는 무리가 있기에 천상계로 갈 수록 리프트에서는 입지가 사라지며, 현상금에서도 쓸 이유가 사라지게 된다.

결국 총평은 뭐든지 가능한 올라운더지만 모든 면에서 살짝 애매한 점이 있기에 천상계로 갈 수록 픽률이 줄어든다고 보면 된다.


호화보석
파일:Lapis_Luxury.png파일:인게임 호화보석.png
고유 능력 1: 대전마다 한 번 태그 난입 시 상대의 가장 높은 블록버스터 게이지와 동일하게 게이지 수치가 변하고 15초동안 방어막 파괴 효과를 부여합니다.
고유 능력 2: 대전마다 한 번 레벨 3 블록버스터 사용 시 상대와 체력 비율을 교환하고 15초 동안 대량 재생 효과를 얻습니다.
등급 기본 체력 기본 공격력 최종체력 최종 공격력
다이아몬드 3215 605 61728 11616
골드 1786 336 28934 5444

라피스 라줄리(스티븐 유니버스) 콜라보레이션으로 나온 태생 골드 스킨이다.
피바다와 동일한 공격력 수치 덕분에 깡데미지 자체는 나쁘지 않은 편이지만 고유능력의 존재 자체가 역으로 자살골이 되어버리기 쉽기에 상시 적용이어도 굳이 사용해야하는가 고민 할 성능인 주제에 고능이 일회용이다.

물론 이론상으론 슈퍼플레이도 보여줄 수는 있지만 그 슈퍼 플레이라는 것도 사실상 2인 이상의 전투에서 한명 잡고 고능 없는 바보가 되어버리는 것이라서 딱히 리턴이 크다고 보기에도 애매하다.

일단 2인방 방어조합에서 락스타와 조합하여 사망섬유 조합을 카운터치는 플레이가 가능하기는 하지만, 상대방 사망섬유의 체력과 호화보석의 공격력 조절을 잘 해야 한다. 결국 이런 능력치를 취사선택할 여유가 있는 천상계 유저들 전용 조합이 되어버리는 셈. 문제는 부활 고유능력을 지니고 있는 방어자[29]와 가드 불가 블록버스터 한 방으로 처리가 안되는 블루 스크린같은 방어자 그리고 지식의 저주 촉매에 굉장히 취약하다는 점인데, 천상계 기준으로 2인방 사망섬유는 어지간해서는 블루스크린과 파묻힌 광기 이외의 방어자와는 조합되질 않는다는 점에서...

결론은 그냥 전자피규어...였지만 6.1 패치로 인하여 준필수 캐릭터의 자리에 올라왔다.

별도의 상향을 받지는 않았지만 부식성 원소 촉매와 자동면역 촉매의 상향으로 인하여 기존 사망섬유의 카운터 캐릭터들이 더이상 사망섬유의 카운터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상태가 되어버렸다. 현 시점에서 사망섬유를 상대하기 위해선 호화보석 혹은 디나일같은 물속성 일라이자가 사망섬유의 체력을 어느정도 뺀 뒤, 기절을 걸고 물속성 정확성 딜러와 태그하여 처리하는 것 하나뿐이다. 이로 인하여 화력이 출중한 호화보석이 사실상 3인방 사망섬유를 처리할 수 있는 몇 안되는 희망이 되어버린 셈.


이너피스
파일:Inner_Pieces.png파일:인게임 이너피스.png
고유 능력 1 : 세크메트 모드가 될 때 팀원 하나당 15초 동안 지속되는 이로운 효과 하나를 얻습니다.해당 효과는 팀원의 속성에 따라 결정됩니다. [30]
고유 능력 2 : 일라이자와 태그해 나가거나 들어오면 100% 확률로 모든 이로운 효과를 난입하는 캐릭터에게 전달합니다.
등급 기본 체력 기본 공격력 최종체력 최종 공격력
다이아몬드 3573 526 68602 10100
골드 1985 292 32157 4731
골드 선물 상자 전용 캐릭터

랩 제로의 신작이었던 인디비지블 축전 캐릭터로 모티브는 인디비지블의 주인공 아즈나.

아군의 조합을 통해 여러가지 버프를 얻을 수 있으며 이 버프를 아군에게 전달해 줄 수 있다. 그리고 많은 유저들이 모르는 사실인데, 아군의 버프를 전달 받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공격자 중 버프에 크게 의존하는 캐릭터를 찾기 드믈며 무엇보다 영구버프는 옮기지 못하기 때문에 이 점은 1번 고유능력에 비해 운용이 조금 까다로운 편이다.

아군과의 조합을 통하여 용도가 달라지는 캐릭터.다만 아무래도 가장 많이 조합되는 캐릭터들은 당연 바람 속성 캐릭터들과 불 속성 캐릭터들이다.다른 속성들과는 다르게 상당히 체감이 크게 되는 편이기도 하고 빛속성과 어둠 속성의 경우 버프 특성 상 큰 이득을 보기 힘들기도 하고.

꽤 오랜 시간 불속성 캐릭터들과의 조합 효과인 분노를 살려서 메인딜러로 사용하는 방식이 주로 연구되고 있었는데, 불 속성에서 이너피스를 보조해줄만한 서포터 캐릭터도 없었으며 정작 5분노를 받은 이너피스보다 화력과 활용도 모두에서 압도적인 딜러들이 많았던지라 크게 주목받지 못하였다. 결국 주 포지션 자체는 솥뚜껑 손 혹은 위험한 빨간머리같은 비주류 캐릭터와 조합하여 플레이하는, 순전히 예능용 플레이가 주가 되었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며 천상계 유저들의 게임 이해도와 스펙이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하였고, 동일한 스펙이라면 클리어가 불가능한 방어조합은 거의 없어졌기에 상대방에게 최대한 큰 피해를 입히는 조합이 주목받기 시작했고 이에 데미지보다는 체력관리와 안정성, 클리어 타임이 더더욱 주목받는 메타가 찾아왔고 불속성과의 조합보다는 바람속성 캐릭터와 조합하여 재생을 획득하는 방식으로 안정성을 극단적으로 증가시키는 플레이가 주로 연구되게 되었다.

연구가 진행된 2021년 후반기부터는 주로 낙서, 의무감, 상록의 악 등의 바람속성 캐릭터들과 조합하여 반사데미지를 입히는 방어조합을 상대하는 용도로 굉장히 자주 활용되는 편이다. 특히나 냉기 방어막 + 부에르 건들면 주옥되는거에요 촉매를 활용하는 조합을 상대할 때 굉장히 좋은 성능을 보여준다.

사실상 흡혈 영웅, 블러디 밸런타인, 레드 벨벳과 함께 2021~2022년 천상계 리프트 공격자 메타를 꽉 쥐고 있는 필수 캐릭터. 0티어 태생 다이아 캐릭터들 이상으로 필수 캐릭터에 들어가는 만큼 엄연한 메이저 딜러/서포터로 자리잡았다고 단언할 수 있을 정도.

또한 빛속성 캐릭터와 조합하여 축복을 얻는 방식으로 사망섬유도 간단하게 처리가 가능하다. 이 경우 가장 잘 어울리는 캐릭터는 반영구 재생과 면역까지 한번에 주는 세레벨라의 돈의 맛이 가장 잘 맞는 캐릭터라고 평가받는다.

본인이 직접 딜러로 참여해도 출중한 성능을 보여주지만, 역으로 자신이 지닌 버프를 메인 딜러에게 넘겨주는 방식으로 플레이하는 것은 이보다 더 흉악한 성능을 보여준다. 이것도 주로 바람속성 캐릭터들과 조합되는 편. 일명 엑이낙[31]을 비롯하여 여러가지 조합이 존재한다.


고귀한 거물
"그래, 난 부자라고!"
고유능력 : 찬란한 영광
1. 일라이자가 살아있다면, 모든 팀원이 20 초마다 차단막을 얻습니다.
2. 일라이자가 살아있다면, 모든 빛 속성 팀원이 자신에게 적용된 차단막 중첩 하나당 15 %의 추가 피해를 가합니다. 또 일라이자는 차단막 효과를 받는 동안에는 면역 효과를 얻습니다.
등급 기본 체력 기본 공격력 최종체력 최종 공격력
다이아몬드 3931 446 75476 8564
골드 2184 248 35381 4018

6.2 패치로 추가된 백스테이지 패스 태생 골드 캐릭터. 2024년 6월 프리미엄 백스테이지 패스 최종 보상 혹은 6월 해변의 태양 월간 현상금 유물에서 낮은 확률로 획득할 수 있으며, 2024년 12월 말에 이루어질 6.5 패치부터 일반 유물에 추가 될 예정이다.

컬러링 모티브는 원신의 응광.
조건부로 면역을 획득하는 메인딜러 겸 차단막 서포터 캐릭터.

차단막을 제공해주어 아군을 보조하는 유틸의 성능은 비슷한 차단막 서포터인 별빛 장미, 궁녀, 락스타 셋 중 가장 떨어지지만, 이 쪽은 본인이 면역효과를 얻음으로써 메인딜러로 활약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특히나 일라이자의 경우 디버프 관리 능력이 떨어진다는 점이 최악의 단점으로 뽑히는 만큼, 사실상 고유능력 1만 재대로 발동된다면 유틸로써는 단점이라는 게 전혀 없는 캐릭터가 탄생하는 셈.

다만 기본 공격력이 레드 벨벳과 함께 유독 낮은 편에 들어간다는 점이 정말 아쉬운 캐릭터. 물론 차단막을 통하여 화력을 보충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기본 공격력의 한계 + 차단막 하나 당 딜 증가로 화력 한계치도 명확하며 그 한계치를 찍는 데 걸리는 시간도 무시 못할 정도로 길기 때문에 락스타와의 조합이 아니라면 사실상 메인딜러 활용은 무리라고 봐도 된다.

다만 락스타부터 기초 화력이 뛰어난 캐릭터인 만큼, 서로가 서로의 단점을 커버해주는 태그 플레이로는 가능성이 꽤 보인다는 평가가 많다.

6.2 패치 이후 천상계의 경우 2인방에 바람 속으로 촉매를 배치하는 일이 많은데, 락스타가 바람 속으로 촉매와의 상성이 좋은 편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컨트롤 여부에 따라서 현 메타에서도 어느정도 활용 가능성은 보이는 편.

6.3. 실버

스칼렛 바이퍼
파일:sgm Scarlet_Viper.png파일:인게임 스칼렛 바이퍼.png
고유 능력 1: 세크메트가 나오면, 양쪽 캐릭터 모두에게 15초 동안 출혈 효과가 적용됩니다.
고유 능력 2: 해로운 효과가 적용된 경우 15초 동안 분노 효과를 얻습니다.
등급 기본 체력 기본 공격력 최종체력 최종 공격력
다이아몬드 2754 518 52877 9946
골드 1530 288 24786 4666
실버 850 160 11220 2112

블록버스터 사용 시 양쪽에게 출혈을 걸어버리는 상당히 충격적인 고능을 보유주는 캐릭터. 이 쌍방 출혈을 통해서 너죽고 나살자식의 플레이를 보여주는 캐릭터. 리워크 이전의 블러드 드라이브와 비슷한 고능이지만 블러드 드라이브가 리워크 이후 더 구려졌기때문에 블러드 드라이브보다 상황이 낫다. 자체적으로 도발을 통하여 출혈을 지울 수 있는 것도 장점.

그러나 피바다라는 완벽한 상위호환이 존재하므로 이 캐릭터를 굳이 쓸 이유는 없다.


블러디 발렌타인
파일:sgm Bloody_Valentine.png파일:인게임 블발.png
고유 능력 1: 어느 쪽이든 특수기를 사용하면 체력이 10% 회복됩니다.[32]
고유 능력 2: 어느 쪽이든 블록버스터를 사용하면 블록버스터 게이지가 15% 충전됩니다.
등급 기본 체력 기본 공격력 최종체력 최종 공격력
다이아몬드 3062 450 58791 8640
골드 1701 250 27557 4050
실버 945 139 12474 1835

태생 실버 캐릭터 중 사악한 프로스티, 두꺼비 전사와 더불어 천상계에서도 자주 사용되는 고성능 탈실버 캐릭터.

꽤 오랜 시간동안 디바의 침략 하위호환으로 여겨졌었지만, 2021년 재평가를 받고 천상계 유저들에게는 현 시점 가장 악랄한 방어조합 중 하나인 냉기 부에르 방어자의 극단적인 카운터로 평가받고는 메타 캐릭터로 정착했다.

그저 그런 실버 캐릭터로 보일 수는 있지만 그 실체는 디바의 침략을 넘어서는 체력 관리의 끝판왕. 한 콤보에 여러개의 특수기를 때려박는게 가능한 일라이자 특성 상 그야말로 줄지 않는 체력을 보여준다.

다만 자체 공격력이 상당히 떨어지는 만큼 현상금 고연승에서 사용할 경우 높은 기술작이 되어있지 않다면 타임아웃 당할 확률이 높다. 주로 현상금에서는 아누비스의 추나 세크메트의 차례같은 출혈 기술을 채용하여 대처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에는 중환자실 밸런타인이나 피바다, 그외에도 각종 면역을 획득하는 출혈 카운터 캐릭터들에게 약해질 거 같이 보이지만 아누비스의 추 - 버스트를 통하여 상대 가드를 씹고 먼저 재앙을 건다던가, 카오스 베니쉬를 통하여 면역을 지우고 오시리스의 소용돌이를 사용한다던가 하는 방식으로 해당 캐릭터들을 역으로 엿먹이는게 가능하기에 사실 상 카운터도 별로 없다.

물론 세크메트의 차례와 오시리스의 소용돌이 모두 후속 콤보가 굉장히 난해해지고, 스킬 세팅이 꼬이기 때문에 어지간해가지고는 그냥 높은 기술작으로 커버하는 것을 추천한다.

2022년 시점으로 보스방에 3인 페인휠이 늘어나면서 부에르 카운터로써의 입지가 더더욱 단단해졌다. 특히 아얘 방어방이 파훼당하더라도 최대한의 피해를 입히기 위해 일부러 체력을 낮추고 반사데미지에 집중하는 공격자 스킬 세팅 부에르 조합도, 아얘 한번 걸리면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주겠다고 벼르고 있는 체력 몰빵 부에르 조합 모두에게 강한[33] 만큼 블러디 밸런타인의 입지는 더더욱 단단해졌다.

물론 이 내용은 어디까지나 최상위권 유저들 한정.
공격력, 관통, 정확성 등등 필수적인 스킬 능력치 세팅이 철저하지 않다면 블러디 밸런타인은 그저 노딜 좀비캐에 불과한 만큼 적어도 실전에서 사용한다면 세팅이 완료되어야 한다는 것을 잊지 말자.


툼 앤 글룸
파일:Tomb_Gloom.png파일:인게임 툼글룸.png
고유 능력 1: 블록버스터를 사용하면 상대에게 10초 동안 쇠퇴, 재앙, 치유 방해, 저주, 또는 죽음의 표식 효과를 적용합니다.
고유 능력 2: 또한 5/7/10초 동안 1중첩 회피 효과를 얻습니다
등급 기본 체력 기본 공격력 최종체력 최종 공격력
다이아몬드 3370 382 64704 7335
골드 1872 212 30327 3435
실버 1040 118 13728 1558

컬러링은 레이븐의 패러디.
고능 1로 묻히는 디버프는 나쁘진 않은데 어차피 콤보마다 최대 3개만 먹일 수 있어서 크게 의미는 없다. 회피옵션도 세크메트 한번 당 1중첩은 너무 짜며 결정적으로 공격력이 심하게 낮아서 공격자로는 낙제점.

6.4. 브론즈

무덤에서 나온 자
파일:Decrypted.png파일:인게임 무나자.png
고유 능력 1: 생존한 적 팀원 수당 25%의 추가 피해를 입힙니다.
고유 능력 2: 세크메트 모드에 돌입하면 상대방의 이로운 효과 하나를 자신에게 적용시키고 상대방에게 10초 동안 쇠퇴 효과를 부여합니다.
등급 기본 체력 기본 공격력 최종체력 최종 공격력
다이아몬드 3178 362 61018 6951
골드 1766 201 28610 3257
실버 981 112 12950 1479
브론즈 545 62 5559 633

방어형 스탯을 가지고는 있지만 태생 브론즈 캐릭터 특성 상 밑의 디나일과 비교해서 공격력이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덕분에 실질적으로 공격형이라고 봐도 무방한 태생 브론즈 스킨.

4.10 패치로 고유능력이 변경되었는데 이전에는 이로운 효과 복제와 쇠퇴를 거는 능력이 아니라 이로운 효과가 걸린 상대방에게는 50%의 추가 데미지를 입히는 나름 파격적인 수치의 데미지 증가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변경된 능력에 대한 평가가 별로 좋지 않은 편. 일라이자가 원래부터 상대 블록버스터 게이지에 대한 부담이 적은 캐릭터였던 만큼 괜히 데미지만 깎아내린 너프라는 악평을 듣고 있다.


디 나일
파일:In_Denile.png파일:210px-SG_eli_color1.png
고유 능력 1: 세크메트 모드에 돌입하면 5/10/15초 동안 방어막 파괴 효과를 부여합니다.
고유 능력 2: 세크메트 발동 시, 해로운 효과를 전부 제거하고 15초 동안 면역 효과를 얻습니다.
등급 기본 체력 기본 공격력 최종체력 최종 공격력
다이아몬드 2624 385 50381 7392
골드 1458 214 23620 3467
실버 810 119 10692 1571
브론즈 450 66 4590 674

공격자로 굴릴 때 태생 브론즈 캐릭터들 중에서 최고의 안정성을 자랑한다. 디버프까지 제거해버리며 면역과 방어막까지 얻기에 잘 안죽고 튼튼하기 때문.

물론 태생 브론즈 밸런스형 캐릭터들 특유의 처참한 스탯 덕분에 기대 딜량 자체는 처참하게 낮은 편이다. 다만 의외로 푸쿠아 현상금에서 피로를 제거할 수 있으며 낮은 딜량은 독기 버프로 보충이 가능하기때문에 어지간한 태생 골드 캐릭터들보다 좋은 성능을 보여준다. 물론 딱 그게 끝이라는게 흠이지만. 그리고 이제 현상금도 다이아 현상금이 출시되어서 이 녀석을 키우는 의미는 그야말로 말끔하게 사라져버렸다.

이쪽도 태생 골드 일라이자가 없을 때 일라이자 체험판 정도로 써먹어봄직하다.


[1] 아이러니한 점은, 공격력 2점 캐릭터인 빅밴드, 마리, 스퀴글리 또한 공격에서 전혀 장점이 없는 궁극능력을 지니고 있기에 사실상 노크리로 운영된다는 점. 물론 공격력 2점인 밸런타인은 크리티컬을 찍기 때문에 실전 공격력은 일라이자(3점 노크리) = 밸런타인(2점 일반) > 빅밴드, 마리, 스퀴글리(2점 노크리)라고 이해하면 된다.[2] '세크메트의 격노', '세크메트의 물어뜯기', '세크메트의 차례', '학살의 숙녀'.[3] 유사 불굴이라 서술한 이유는 강제태그나 버스트같이 일반적인 불굴 상태에선 당하지 않는 넉백에는 바로 풀려버리기 때문[4] 블록버스터 세크메트의 차례는 해당기술 마지막 타격의 모션을 그대로 재사용한 것이다.[5] 1레벨과 100레벨의 확률차이가 무려 4배. 다른 캐릭터들은 2배 수준에 이르르는 것을 생각하면 굉장히 부당한 수치다.[6] 레드 벨벳[7] 레드 벨벳, 블러디 밸런타인 같이 기본 공격력이 낮은 캐릭터의 경우 유용하다.[8] 다른 캐릭터를 기준으로는 두 옵션 중 하나만 붙어있어도 실전성이 있을정도로 두 효과 모두 사기적인 부가효과다.[9] 무적판정을 이용해서 들어오는 상대방의 공격 모션을 보고 사용하면 적중하기는 하지만, 이미 말했듯 게임 자체에 어느정도 숙련된 유저가 아닌 이상 어렵다.[10] 1회 공격은 2타, 2회 공격 1타[11] 마지막 타격에 흡혈 판정이 발동할 경우에도 상대방의 남은 체력 여부와 관계 없이 체력을 회복한다.[12] 버스트, 세크메트의 물어뜯기[13] 어퍼 카트[14] 카오스 베니쉬, 세크메트의 차례[15] 오시리스 스파이럴은 대량출혈을, 세크메트의 차례는 일반 출혈을 입힌다.[16] 영구적인 버프 효과에는 적용되지 않는다.[17] 보통 높은 히트수는 리프트에서 장점이 아닌데, 이는 타격 시 발동되는 촉매나 고유능력, 대전효과로 인한 점이 크다. 다만 일라이자는 이러한 촉매가 발동되어도 재앙, 카오스배니쉬의 버프제거를 통하여 씹어버릴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높은 타수는 콤보 점수를 높게 받게 만들어주는 장점만 남는다.[18] 특히 하단공격이 가장 큰 문제인데, ai는 기본적으로 하단공격을 멀리서 연타하며 견제하는 일이 많으나 일라이자의 하단공격은 적 앞까지 돌진하는 기술이기에 일어나자마자 하단공격으로 적 앞까지 날아가서 선타를 내주는 일이 매우 많다. 전진형 하단공격을 가진 모든 캐릭터들이 공유하는 단점이지만, 일라이자는 적 바로 앞까지 전진해버리기에 더욱 단점이 크다.[19] 주의할 점은 천상계에서는 일라이자를 안쓴다는 것이 아니라는 것. 현 메타에서는 페인휠과 같은 방어자는 일라이자보다 높은 점수로 처리하는 것이 불가능에 가까운 만큼, 페인휠이 배치되는 3인 방어 노드에는 이를 처리하기 위해 거의 항상 일라이자가 들어갈 수 밖에 없다.[20] 고유 능력이지만 효과가 제거될 때 '재앙' 문구가 잠깐 표시된다.[21] 대표적으로 차단막을 3개 획득하는 부식 전문 요원, 깃털칼날, 가시를 5개 획득하는 파묻힌 광기 등...[22] 다크마이트[23] 위험한 빨간머리[24] 출시 초기에는 세크메트 기술 사용 시 면역 없이 축복 버프만 제공하였고, 특수기 사용 시 모든 아군의 전체체력 25%를 소모했다. 이후 자신의 현재 체력의 25%로 버프를 받았지만, 여전히 대량재생 하나로는 저 정신나간 체력 소모를 견딜 수 없었기 때문에 2022년 버프 이전까지는 소중한 미이라가 가장 강력한 순간은 고유능력을 비활성화 시키는 저주 디버프에 걸렸을 때 라는 비아냥만 들었다.[25] 스펙이 높다면 리프트 3인방까지는 메인딜러 혹은 서브딜러로 활약한다. 물론 당연히 현상금 고연승 전투나 평행세계에서는 부적합하다.[26] 고유 능력 1과 2 모두 세크메트 모드에 돌입한 후부터 적용된다. '세크메트의 격노' 등을 시전 시 최초로 타격하는 것이나 '학살의 숙녀'의 타격 연출은 고유 능력을 적용받지 않는다.[27] 강제태그도 포함된다.[28] 이쪽은 굳이 레드벨벳이 나설 필요가 없는 것일 뿐 노크리로 운영하는 레드벨벳 특성 상 여기서도 무난하게 고득점을 내기는 한다.[29] 대표적으로 파묻힌 광기, 킬호순[30] 불속성 -> 분노, 물속성 -> 방어막, 바람속성 -> 재생, 어둠속성 -> 신속, 빛속성 -> 면역, 중립속성 -> 차단막[31] 엑스봇, 이너피스, 낙서 조합.[32] 사용한 쪽이 아니라, "일라이자의" 체력이 10% 회복된다는 뜻이다. 고유 능력 2도 마찬가지.[33] 단 체력 몰빵 조합의 경우 기술세팅 수준이 높아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어차피 연승 공격력 보너스, 그리고 페인휠 자체의 낮은 체력 덕분에 수월한 클리어가 가능한거지 블러디 밸런타인의 공격력으로 드림밴드나 분리된 상 같은 체력돼지 캐릭터를 상대했다가는 공격력 150% 관통 50%로 세팅해도 타임아웃 당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