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7 16:45:19

일산고등학교

일산고에서 넘어옴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이며, 로그인 후 수정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가좌고등학교 경기영상과학고등학교 고양예술고등학교 대화고등학교
덕이고등학교 백송고등학교 신일비즈니스고등학교 일산고등학교
일산국제컨벤션고등학교 일산대진고등학교 일산동고등학교 주엽고등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경기도 고양시의 특성화고등학교
경기영상과학고등학교 고양고등학교 신일비즈니스고등학교 일산고등학교 일산국제컨벤션고등학교
일산고등학교
一山高等學校
Ilsan High School
파일:일산고등학교_로고.png
<colcolor=#373a3c><colbgcolor=#ffce2e> 개교 1956년
유형 특성화고등학교
성별 남녀공학
형태 공립
교장 안계현
교감 정진우
교훈 성실
학생 수 638명
(2023학년도 기준)
교직원 수 74명
(2023학년도 기준)
주소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원일로 53 (일산동)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학교 연혁3. 학교 상징
3.1. 교가
4. 학과
4.1. IoT디자인과4.2. 인테리어디자인과(스마트공간디자인과)4.3. 뷰티디자인과4.4. 조리디자인과4.5. 제과제빵과4.6. 바이오화장품과
5. 학교 시설6. 학교 생활7. 출신 인물8. 대중교통
8.1. 버스8.2. 도시철도
9. 기타

1. 개요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일산동에 위치한 특성화고등학교로 1956년 개교하였다.

형제 학교인 일산중학교와 나란히 붙어있다.

2. 학교 연혁

1956년 5월 <colbgcolor=#fff,#191919> 일산상업고등학교 개교
1974년 9월 일산종합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1979년 3월 일산중•고등학교 분리
1974년 9월 일산종합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1990년 11월 전자과 인가(현 loT디자인과)
1992년 9월 화학공학과 인가(현 바이오화장품과)
1993년 3월 일산실업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1998년 3월 일산공업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1998년 9월 건축과 인가(현 인테리어디자인과)
2006년 8월 미용과학과 인가(현 뷰티디자인과)
2008년 1월 일산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2008년 8월 조리과학과 신설(현 조리디자인과)
2011년 7월 특성화고 지정
2011년 7월 제과제빵과 인가
2024년 1월 제 66회 191명 졸업(총 13,009명)
2024년 3월 제 28대 안계현 교장 취임

3. 학교 상징

파일:일산고등학교_학교상징.jpg

3.1. 교가

파일:일산고등학교_교가.jpg
일산중학교와 교명만 바꾸어 공유한다.

4. 학과

4.1. IoT디자인과

2022학년도 신입생까지는 '멀티미디어디자인과'였다가 2023학년도 신입생부터 'IOT디자인과'로 이름이 바뀌었다.
IoT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반 지식과 기술을 배우는 학과로 전기·전자회로, 프로그래밍, 정보통신 분야의 과목을 학습하며,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여 정보기술(IT)분야의 진로로 연결되도록 지원합니다.
학과특성
* IT분야의 주요 기술(코딩 및 회로)에 대한 이론을 학습하고 실습합니다.
* 정보 관련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는 방과후 수업을 들을 수 있습니다.
* 교과 내용과 관련된 동아리 활동과 기능향상대회를 실시합니다.
전공교과
* 1학년: 정보통신/전기회로
* 2학년: 성공적인 직업생활/공업 일반/디지털 논리회로/전자회로/프로그래밍/사물인터넷
* 3학년: 가전기기 하드웨어 개발/응용 프로그래밍 개발/컴퓨터 네트워크
교육내용
* 공업일반: 공업의 각 분야에서 기능 기술인으로서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초 지식과 산업체 현장 실무 기능 기술을 습득
* 성공적인 직업생활: 산업현장의 직업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덕목과 지식을 습득
* 정보통신: 정보 통신에 관한 지식과 기능을 습득하고 전공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실무 능력 향상
* 정보 처리와 관리: 컴퓨터 활용 능력을 향상시키고 정보처리 관련 실무(워드프로세서, 스프레드시트, 프리젠테이션, 데이터베이스 등)를 습득
* 전기 회로: 전기 전바 분야의 직무 수행에 필요한 기초 지식과 기술력을 습득하고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과 창의적인 문제 해결력 함약
* 전자 회로: 기초적인 전자 회로의 동작과 용도를 이해하고 간단한 응용 전자 회로를 해석하고 고장을 수리할 수 있는 능력 함양
* 디지털 논리 회로: 아날로그 및 디지털 논리 회로 해석, 전자부품 판독 및 특성 파악, 브레드보드 및 만능기판을 이용한 전자회로 조립
* 프로그래밍: C언어를 이용한 프로그래밍 실습, 웹 개발 프로그래밍, 전자기기 개발을 위한 프로그래밍 실습
* 사물인터넷: 센서 기술에서 통신 및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인공지능, 인터넷 기술까지 전 영역에 걸쳐 있는 사물인터넷의 개념을 학습하고 이들 간의 융합을 이해
* 가전기기 하드웨어 개발: 전자캐드 프로그램을 이용한 도면 및 PCB 설계, PSpice를 이용한 아날로그 및 디지털 전자회로 시뮬레이션, PCB 제작 장비를 이용한 전자회로 PCB 기판 제작
* 응용 프로그래밍 개발: 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테스트하여 배포하는 능력을 습득함으로써 산업 현장에서 응용 프로그래밍 개발에 관련된 직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 함양
* 제품 디자인: 아이디어 발상 및 스케치, 3D 모델링 및 제품디자인 구체화, 3D 프린터를 이용한 제품 모형 제작
* 컴퓨터 네트워크: 데이터 통신과 네트워크의 상호 연관 부분을 학습하고, 인터넷을 중심으로 OSI 7 계층을 학습하여 통신망에 대한 기본 개념 학습
전공 자격증 취득
* 전자캐드 기능사: 전자, 통신 및 컴퓨터 등의 응용기기 및 제품의 설계 및 제작을 위하여 전자회로를 설계하고, 전자회로도의 표현, 부품도 작성, 인쇄회로기관의 설계도면 작성, 회로의 제작 및 시험 등을 컴퓨터 설계 프로그램을 활용해서 처리하는 직무수행
* 정보처리 기능사: 컴퓨터를 사용하는 영역에서 정보처리에 관한 숙련기능을 가지고, 컴퓨터 시스템의 운용 및 개발 업무를 수행
* 정보기기 운용 기능사: 컴퓨터 및 네트워크 관련 장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네트워크 및 통신장비릐 설치, 조작, 유지보수 수행
* IoT 지식능력검정: 사물인터넷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사물인터넷 관련 플랫폼, 네트워크, 서비스, 디바이스 등의 소양 수준을 평가하는 자격
* SW 코딩자격: 디지털 시대의 미래 인재 핵심 역량인 컴퓨팅 사고력을 평가하기 위한 자격
* 정보기술자격(ITQ): 정보화 시대의 기업, 기관, 단체 구성원들에 대한 정보기술능력 또는 정보기술 활용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시험
동아리활동
* 코딩주행: 프로그래밍을 통해 자동차의 주행을 제어하여 다양한 코스를 주행하도록 공부하는 동아리
* 재미있는 전자회로: 기판에 회로소자를 배치하여 다양한 기능을 전자회로를 제작하는 동아리

4.2. 인테리어디자인과(스마트공간디자인과)

21세기 신 성장 산업에서 디자인 (Design)은 중요한 화두이다. 그 중에서도 실내 공간을 창조하는 건축인테리어 디자인은 인간생활과 가장 밀접한 분야로써 최근 일반인의 관심이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인테리어디자인과’에서는 디자인(Design), 기술(Technology)환경 (Environment)의 조화로 인간 생활을 풍요롭게 하는 생활공간 문화를 창조하는데 교육의 중점을 두고 있으며, 컴퓨터를 이용한 최첨단 교육시스템으로 인테리어 디자인 및 시공 기술을 익혀, 아름답고 편리하고 개성있는 실내 공간을 창조하는 건축인테리어 전문가를 양성하고 있습니다.
학과특성
* ‘나만의 라이프 스타일’ 새로운 공간을 연출하는 인테리어전문가 양성
* 無에서 有를 창조하는 空間의 美學을 아는 인테리어디자인 전문가를 양성
* 인간 생활과 가장 밀접한 실내공간을 창조하는 인테리어 전문가를 양성
* Design은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미래성장 산업으로 실무중심의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통해 기본에서부터 전문적인 분야까지 도달할 수 있는 교육을 실시
전공교과
* 1학년: 성공적인 직업생활/공업일반/기초제도
* 2학년: 건축일반/실내건축설계
* 3학년: 컴퓨터그래픽/건축 도면 해석과 제도/실내디자인
교육내용
* 성공적인직업생활: 일과 직업생활, 기업과 산업활동, 직업 능력 개발과 평생 학습, 취업과 창업, 근로 관계와 산업 안전, 직업 윤리와 직업 사회 등
* 기초제도: 제도규칙과 기호에 따라 기본적인 설계도를 작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를 활용한 설계(CAD) 등
* 공업일반: 산업사회와 공업, 생산과 경영, 산업 안전에 관한 기초 지식을 습득, 올바른 직업관의 정립 등
* 실내건축설계: 인테리어 설계에 관한 표현기법, 인테리어 설계 및 컴퓨터를 이용한 인테리어 도면 작성 등
* 건축일반: 건축물을 계획하는 전반적인 과정, 건축설비, 건축법규 등
* 실내디자인: 실내디자인의 이해, 변천, 실내 공간의 구성요소 별 실내디자인(드로잉, CAD, REVIT, 3Ds Max, Photoshop, SketchUP 등)
* 컴퓨터그래픽: CAD, Photoshop, SketchUP, REVIT 등의 프로그램을 활용한 인테리어 도면의 시각화 등
* 건축도명해석과제도: 건축제도의 이해, 건축 CAD, 건축물 구조부 이해, 주택 도면 해석 및 제도 등
전공 자격증 취득
* 실내건축기능사: 건축물 내부의 장식·방음·실용성 제고를 목적으로 각종 자재를 이용하여 방음 설비· 마루·칸막이·천정·목(木)장식품 등을 제작·설치
*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건축사사무실이나 건설현장, 용역회사에서 건축사나 건축기사에 의해서 설계된 각종 건축물의 기본설계도, 또는 계획설계도에 따라 컴퓨터를 사용하여 건축설계에서 의도하는 바를 현장에 필요한 도면으로 표현
* 건축도장기능사: 붓, 롤러, 브러쉬, 스프레이 등의 도장기기와 설비를 사용하여 페인트, 바니쉬 및 유사 재료를 건물의 외부 및 내부표면과 장식물에 칠함으로써 건물과 장식물을 보호 또 는 장식
* 건축목공기능사: 각종 수공구와 목공기계를 사용하여 목구조의 골조 구성과 철근콘크리트조의 거푸집 제작, 설치 및 일반 건축물의 내외부를 목재로 마감하는 작업 수행.
* 워드프로세서, 컴퓨터활용능력, ITQ, GTQ: 효율적인 효율적인 문서작성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및 편집능력
동아리활동
* 공무원준비반: 경기도교육청, 경기도청, 서울시청 기술직(건축) 공무원 시험 준비를 위한 특별준비반으로 2018, 2019년 연속합격생 배출 및 수석합격생을 배출하는 등의 실적을 자랑함.
* 스페이스(건축CAD): 다양한 건물 외부 및 내부 공간을 AutoCAD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도면으로 시각화함
* 인테리어(실내디자인): 가구 설계, 주택, 원룸, 상업 공간 등의 설계 등 아름답고 편안하며 개성 있는 공간을 디자인하고 도면으로 시각화함
* 건축모형제작: 복제모형 제작, 환경조형물 제작, 인테리어 모형 제작, 주거단지 모형 제작 등의 다양한 작품 활동을 하며 프로젝트 수업의 일환으로 최종 Presentation까지 진행함

4.3. 뷰티디자인과

뷰티디자인과는 세계의 뷰티트렌드를 창조해 나가는 디자이너, 글로벌 해외취업(호주, 대만) 뷰티실무자 현장실습 실시
* 스마트한 디지털 지식을 겸비한 뷰티리더 양성
* 뷰티콘텐츠를 크리에이팅 할 수 있는 융합형 인재 양성
* 글로벌 문화 소통으로 K-뷰티 산업을 리드할 인재 양성
학과특성
* 졸업시 전원 100% 종합미용면허증 획득
* 1인2개 국가기술자격증 획득(미용사 일반, 피부, 메이크업, 네일), 다양한 방과후 프로그램 실시
* 글로벌 해외 취업(대만, 호주)프로그램 진행
중국어 어학 연수(강남)무료 지원, 준오헤어 본사 아카데미 교육 무료 지원 등
* 다양한 전공교과 동아리(뷰티아트 동아리, 뷰티인사이드, 랑데부티, 뷰티풀스토리 등)
전공교과
* 1학년: 미용의기초/네일미용
* 2학년: 헤어미용/문화 콘텐츠 산업 일반/색채관리
* 3학년: 피부미용/메이크업/타학과융합교과[택1]제품디자인, 조형, 화장품생산관리, 베이커리실무, 디자인드로잉, 호텔외식조리
교육내용
* 미용의 기초: 헤어미용, 피부미용, 메이크업, 네일의 기초 이론
* 미용안전보건: 공중보건의 이해, 감염병 관리, 미용산업위생관리
* 성공적인직업생활: 일과 직업의 세계, 취업과 창업, 근로관계법
* 헤어미용: 헤어샴푸, 베이직 헤어펌, 헤어커트, 베이직 헤어컬러, 헤어컬러분석, 두피모발관리, 특수목적샴푸, 미용업 안전 위생관리, 고객응대서비스, 웨이브 드라이, 매직프레스 헤어펌 등
* 피부미용: 피부 미용 피부 분석, 얼굴 각질 관리, 얼굴 매뉴얼 테크닉, 얼굴 팩·마스크, 몸매 하체 관리, 몸매 상체 후면 관리, 림프관리, 피부 미용 기초 화장품 사용
* 메이크업: 메이크업 위생관리, 베이스메이크업, 색조메이크업, 본식 웨딩메이크업, 트랜드메이크업, 메이크업카운슬링, 속눈썹 연장, 미디어 캐릭터 메이크업, 메이크업 고객 서비스
* 네일미용: 네일 숍 위생서비스, 네일기본관리, 네일 컬러링, 기초 팁네일, 랩 네일, 팁위드랩, 젤 네일, 아크릴 네일
전공 자격증 취득
* 미용사(일반): 샴푸 및 두피스케일링, 커트(4가지유형), 퍼머넌트웨이브, 블로우드라이, 염색
* 미용사(피부): 얼굴관리, 팔,다리관리, 림프, 제모
* 미용사(메이크업): 뷰티메이크업, 시대별 메이크업, 노인분장, 발레, 한국무용, 속눈썹연장, 수염
* 미용사(네일): 습식매니큐어, 패디큐어, 젤네일, 실크익스텐션, 아크릴네일, 인조네일제거
* 민간자격증: 업스타일, 스타일리스트, 병원코디네이터, 발관리, 속눈썹연장, 아로마테라피스트 등
동아리활동
* 뷰티아트동아리: 헤어스타일링, 네일아트, 레인보우타투, 페이스페인팅, 핸드마사지 등을 통하여 지역사회 행사 및 축제에 참여하고 학교홍보 및 체험부스운영을 통하여 미용직업에 관한 다양한 활동을 체험함으로써 자신감과 성취감을 얻음.

4.4. 조리디자인과

음식 조리 분야는 한 나라의 역사와 문화가 담긴 식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리 음식의 세계화와 과학적인 우리 음식 문화에서 다양한 외국의 음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가 있다. 음식 조리 분야의 경력 개발은, 분야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조리 관련 보조 조리사로부터 총 주방장에 이르기까지 고등학교에서 배운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조리 산업 현장에서 실무 능력을 갖추어 경력 개발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음식 조리 분야의 교육은 음식 조리 분야의 기능과 기술을 바탕으로 자기 주도적으로 사고하고 실천하며 음식 조리를 담당할 실무 전문가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학과특성
* 고등학교에서 배운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이론과 실무 능력을 겸비한 조리 전문가를 양성합니다.
* 실무 중심의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통해 기본에서부터 전문적인 분야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교육을 실시합니다.
* 조리 관련 자격증 취득을 위한 실습뿐만 아니라 궁중요리, 전통한과, 동남아시아음식, 프랑스·이탈리아음식 등 트렌드에 맞는 최신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 차별화된 진로진도를 통한 맞춤형 취업 및 진학지도를 실시합니다.
전공교과
* 1학년: 식품과 영양/급식관리/성공적인직업생활
* 2학년: 한국조리/서양조리/색체관리/문화 콘텐츠 산업 일반
* 3학년: 한국조리/서양조리/중식조리/제빵 중 택3
교육내용
* 식품과 영양:영양소가 우리 몸에서 하는 역할, 질병에 따른 영양 관리, 생애 주기에 따른 영양, 식품의 특성과 이용, 식품의 가공 및 저장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더 나아가 음식 조리 분야의 직무를 수행할 때 균형 잡힌 메뉴 구성 및 조리 과정에서 일어나는 변화 등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구성된 과목이다.
* 급식관리: 급식 산업의 이해, 식단 관리, 식품 재료 관리와 구매, 대량 조리와 배식, 대량 조리 설비와 기기 관리, 위생 관리, 안전 관리 등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여 조리 관련 분야의 직무를 수행할 때 필요한 급식 관리 실무 능력을 함양하여 조리 산업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구성한 과목이다.
* 성공적인직업생활: 노동 시장에 성공적으로 이행하기 위해 고등학교 재학 중에 학습해야 할 필요가 있는 직업기초능력, 일과 산업의 이해, 취업과 창업, 산업 안전, 근로관계, 직업윤리 등을 학습하는 기초적인 성격의 과목이다.
* 한국조리: ‘한국 조리’는 음식 조리 분야의 조리과 관련 학생들이 우리 음식의 역사와 문화를 올바로 이해하고 조리 실무 능력을 습득하여 한국 조리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한 것으로, 전체 조리 관련 과목 중에서 가장 먼저 학습하는 과목이다. 이수해야 할 내용은 한식 위생 관리, 한식 안전 관리, 한식 구매 관리, 한식 재료 관리, 한식 기초 조리 실무, 한식 밥 조리, 한식 죽 조리, 한식 면류 조리, 한식 국・탕 조리, 한식 찌개 조리, 한식 전골 조리, 한식 찜・선 조리, 한식 조림・초 조리, 한식 볶음 조리, 한식 전・적 조리, 한식 구이 조리, 한식 생채・회 조리, 한식 숙채 조리, 김치 조리, 장아찌 조리, 음청류 조리, 한과 조리 등으로, 한국 음식과 관련하여 주식, 부식, 김치, 음청류 등에 이르기까지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여 지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 서양조리: ‘서양 조리’는 국제화 시대에 서양의 음식과 문화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조리 실무 능력을 습득하여 서양 조리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한 과목이다. 이수해야 할 내용은 양식 위생 관리, 양식 안전 관리, 양식 구매 관리, 양식 재료 관리, 양식 기초 조리 실무, 양식 스톡 조리, 양식 소스 조리, 양식 수프 조리, 양식 전채 조리, 양식 샐러드 조리, 양식 샌드위치 조리, 양식 어패류 조리, 양식 육류 조리, 양식 파스타 조리, 양식 조식 조리에 이르기까지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여 지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 중식조리: ‘중식 조리’는 중국의 음식과 문화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조리 실무 능력을 습득함으로써 중식조리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과 관광 및 외식 산업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한 과목이다. 이수해야 할 내용은 중식 위생 관리, 중식 안전 관리, 중식 구매 관리, 중식 재료 관리, 중식 기초 조리 실무, 중식 절임・무침 조리, 중식 육수・소스 조리, 중식 냉채 조리, 중식 딤섬 조리, 중식 수프・탕 조리, 중식 볶음 조리, 중식 튀김 조리, 중식 조림 조리, 중식 면 조리, 중식 밥 조리, 중식 후식 조리에 이르기까지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여 지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 제빵: ‘제빵’ 과목은 제빵에 관한 기초 지식과 기본적인 제품을 만들 수 있는 기술을 습득하여 제빵 관련 산업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창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기를 수 있는 과목이다. ‘제빵’ 과목에서 이수해야 할 내용은 빵류 제품 재료 구매 관리, 빵류 제품 생산 작업 준비, 빵류 제품 재료 혼합, 빵류 제품 반죽 발효, 빵류 제품 반죽 익힘, 빵류 제품 마무리, 냉동 빵 가공, 빵류 제품 품질관리, 빵류 제품 위생 안전 관리, 매장 관리에 이르기까지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여 지도할 수 있는 과목이다.
전공 자격증 취득
* 한식조리기능사: 한식메뉴 계획에 따라 식재료를 선정, 구매, 검수, 보관 및 저장하며 맛과 영양을 고려하여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음식을 조리하고 조리기구와 시설관리 수행여부를 평가한다. 요구작업 내용은 지급된 재료를 갖고 요구하는 작품을 시험 시간 내에 1인분을 만들어내는 작업이며, 주요 평가내용은 위생상태(개인 및 조리과정) ·조리의 기술(기구취급, 동작, 순서, 재료다듬기 방법) ·작품의 평가 ·정리정돈 및 청소이다.
* 양식조리기능사: 양식메뉴 계획에 따라 식재료를 선정, 구매, 검수, 보관 및 저장하며 맛과 영양을 고려하여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음식을 조리하고 조리기구와 시설관리 수행여부를 평가한다. 요구작업 내용은 지급된 재료를 갖고 요구하는 작품을 시험 시간 내에 1인분을 만들어내는 작업이며, 주요 평가내용은 위생상태(개인 및 조리과정) ·조리의 기술(기구취급, 동작, 순서, 재료다듬기 방법) ·작품의 평가 ·정리정돈 및 청소이다.
* 중식조리기능사: 중식메뉴 계획에 따라 식재료를 선정, 구매, 검수, 보관 및 저장하며 맛과 영양을 고려하여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음식을 조리하고 조리기구와 시설관리 수행여부를 평가한다. 요구작업 내용은 지급된 재료를 갖고 요구하는 작품을 시험 시간 내에 1인분을 만들어내는 작업이며, 주요 평가내용은 위생상태(개인 및 조리과정) ·조리의 기술(기구취급, 동작, 순서, 재료다듬기 방법) ·작품의 평가 ·정리정돈 및 청소이다.
* 제빵기능사: 빵류제품을 제공하기 위한 체계적인 기술과 생산계획을 수립하여 판매, 생산, 위생 및 관련 업무 실행 여부를 평가한다. 요구작업과 주요 평가내용은 제빵평량, 반죽(발효), 성형, 굽기 등의 공정을 거쳐 요구하는 제빵 작품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 제과기능사: 제과제품을 제공하기 위한 체계적인 기술과 생산계획을 수립하여 판매, 생산, 위생 및 관련 업무 실행여부를 평가한다. 요구작업과 주요 평가내용은 제과평량, 반죽(발효), 성형, 굽기 등의 공정을 거쳐 요구하는 제과 작품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동아리활동
* 요리조리: 한·중·일·양식의 다양한 주제로 레시피를 만들고 팀별 Course요리를 제공하는 활동 실시
* 셰프의 쿡: 다양한 외식업체 방문·메뉴체험 및 보고서작성 후 직접 만들어 보는 등 외식트렌드 연구
* 조주동아리: 한국의 전통주와 음주문화, 나라별 다양한 주류를 알아보고 칵테일 등 조주레시피 연구
* 제빵동아리: 세계 각국의 다양한 빵과 과자를 알아보고 실습하며, 빵 나눔 등 지역사회봉사에도 기여

4.5. 제과제빵과

최근 사람들의 식습관이 변화되면서 제과제빵 산업과 문화가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소비자들은 가격과 거리 등의 편리성 보다는 독특하고 차별적인 제품을 지속적으로 찾아다니고 있습니다. 현재 제과제빵 산업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능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기본적이고 올바른 지식, 기술, 태도를 함양하여야 합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학생 중심 수업 및 학생 활동이 운영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제과제빵과는 제과와 제빵뿐만 아니라 여러 디저트‧음료의 기초 이론 및 실무 기술을 습득하고, 배움으로써 개인의 특성에 맞는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제품을 개발하는 전문 인재 양성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학과특성
* 제과제빵과 관련된 기본적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합니다.
* 기본적인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창의적인 능력을 증진합니다.
* 학과 내 다양한 활동과 실생활과 연계한 학생 중심 수업을 통해 안목과 경험을 신장합니다.
전공교과
* 1학년: 성공적인직업생활/식품과영양/식품위생
* 2학년: 제빵/제과
* 3학년: 제빵/제과/바리스타&떡제조 [택1]
교육내용
* 성공적인직업생활: ‘성공적인 직업생활’은 교과군과 관계없이 선택할 수 있는 전문 공통 과목으로, 노동 시장에 성공적으로 이행하기 위해 고등학교 재학 중에 학습해야 할 필요가 있는 직업기초능력, 일과 산업의 이해, 취업과 창업, 산업 안전, 근로관계, 직업윤리 등을 학습하는 기초적인 성격의 과목이다.
* 식품과영양: ‘식품과 영양’은 영양소가 우리 몸에서 하는 역할, 질병에 따른 영양 관리, 생애 주기에 따른 영양, 식품의 특성과 이용, 식품의 가공 및 저장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더 나아가 음식 조리 분야의 직무를 수행할 때 균형 잡힌 메뉴 구성 및 조리 과정에서 일어나는 변화 등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구성된 과목이다.
* 식품위생: ‘식품 위생’ 과목은 식품 가공 분야의 기초 과목으로서, 식품 위생 관련 행정, 식품의 보존, 식중독, 식품과 질병, 식품 첨가물, 식품의 오염, 식품 및 제조 시설의 위생 등에 관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식품위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총론적 성격의 과목이다.
* 제빵:‘제빵’ 과목은 제빵에 관한 기초 지식과 기본적인 제품을 만들 수 있는 기술을 습득하여 제빵 관련 산업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창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기를 수 있는 과목이다.
* 제과:‘제과’ 과목은 제과에 관한 기초 지식과 기본적인 제품을 만들 수 있는 기술을 습득하여 제과 관련 산업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창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기를 수 있는 과목이다.
* 서양조리: ‘바리스타’는 커피에 대하여 올바르게 이해하고, 커피에 대한 실무능력을 습득함으로써 커피 관련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과 관광 및 외식산업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한 것으로 이수해야 할 내용은 커피 매장 관리, 커피 원두 선택, 커피기계 운용, 커피 그라인더 운용, 커피 추출, 커피 음료 우유 스티밍, 에스프레소 커피 음료 제조, 커피 매장 고객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 바리스타: ‘떡 제조’ 과목은 설기떡류, 켜떡류, 빚어 찌는 떡류, 부풀려서 찌는 떡류, 약밥, 개피떡류, 인절미, 단자류, 경단류, 떡 공예, 가래떡류, 지지는 떡류, 고물류, 그리고 찌는 찰떡류의 제조와 떡 제조를 위한 생산 관리, 위생 관리, 안전 관리 등에 대한 가공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여 학습할 수 있는 과목이다.
전공 자격증 취득
* 제빵기능사: 제빵제품 제조에 필요한 재료의 배합표 작성, 재료 평량을 하고 각종 제빵용 기계 및 기구를 사용하여 반죽, 발효, 성형, 굽기 등의 공정을 거쳐 각종 빵류를 만드는 업무 수행
* 제과기능사: 각 제과제품 제조에 필요한 재료의 배합표 작성, 재료 평량을 하고 각종 제과용 기계및 기구를 사용하여 성형, 굽기, 장식, 포장 등의 공정을 거쳐 각종 제과제품을 만드는 업무 수행.
* 떡제조기능사: 곡류, 두류, 과채류 등과 같은 재료를 이용하여 각종 떡류를 만드는 자격으로, 필기(떡 제조 및 위생관리) 및 실기(떡제조 실무)시험에서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받은 자에게 부여하는 자격
* 양식조리기능사: 전문 직업인으로서의 위상 제고, 커피산업 발전에 공헌, 커피 산업체와의 산학협력을 통한 발전적 방향 제시, 커피문화 발전과 서비스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업무 수행
동아리활동
* 제과제빵동아리: 일산노인복지관과 연계하여 할머니, 할아버지와 함께 제과 및 제빵 제품을 만드는 동아리
* 제과디저트동아리: 사회 트렌드에 맞춰 제과와 관련된 다양한 디저트 제품을 만드는 동아리
* 바리스타동아리: 커피 및 커피와 관련된 음료, 제과 제품을 만드는 동아리
* 맛집탐방동아리: 제과제빵과 관련된 맛집을 탐방하고 창업에 대해 공부하는 동아리
* 자격증대비방과후교육: 제빵기능사, 제과기능사, 바리스타 2급 자격증, 유럽 바리스타 자격증 등 자격 취득을 위한 방과 후 활동

4.6. 바이오화장품과

화장품, 바이오화학제품, 식품 분야의 생산, 안전관리, 성분분석, 품질관리(QC) 전문 실무 인력 양성
학과특성
* 미래형 교육과정을 배울 다양한 실습실 운영,
* 화학분석 실습실(기기분석)
* 정밀화학제품제조 실습실(천연 비누, 화장품 제조)
* 바이오화학제품제조 실습실(미생물 배양)
* 식품가공 실습실(바리스타, 제과제빵, 햄&쏘시지 등)
* 전공 교사에 의한 정규 교과수업, 방과후 전공 관련 자격증반, 전공 관련 동아리반의 연계 교육을 통한 전공교육 시너지 효과의 극대화
* 방과후 가스기능사( 외부 강사-대한민국 가스 명장& 대한민국산업현장교수) 맞춤형 화장품 조제 관리사, 환경기능사 자격증 취득과정 운영
* 기술계 고졸 9급 공무원(화공직) 대비반 운영
전공교과
* 1학년: 공업화학/공업일반/성공적인직업생활
* 2학년: 제조화학/식품분석/화장품제조/바이오기초기술
* 3학년: 화학분석/식품가공기술/화장품제조/위험물안전관리/위험물운송운반관리/범용바이오화학제품제조/미생물배양기술
전공 자격증 취득
* 화학분석기능사: 실험 및 검사부문에 소속되어 물질을 구성하고 있는 성분의 종류나 그 조성비를 알기 위 하여 약품, 기기, 기구를 사용하여 물질을 분석하는 업무수행.
* 위험물기능사: 위험물을 저장·취급·제조하는 제조소등에서 위험물을 안전하게 저장·취급·제조하고 일반 작업자를 지시 감독하며, 각 설비에 대한 점검과 재해 발생시 응급조치 등의 안전 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직무
* 가스기능사: 고압가스 제조, 저장 및 공급시설, 용기, 기구 등의 제조 및 수리시설을 시공, 조작, 검사하기 위한 기술적 사항의 관리, 생산공정에서 가스생산기계 및 장비를 운전하고 충전하기 위해 예방조치 점검과 고압가스충전용기의 운반, 관리 및 용기 부속품 교체 등의업무 수행.
* 환경기능사: 생활하수나 공장에서 발생되는 산업폐기물을 정화하고 중성화하여 처리하기 위한 열교환기, 펌프, 압축기, 소각로 및 관련장비를 조작하는 직무 수행.
*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 화장품법 제3조 4항에 따라 맞춤형화장품의 혼합, 소분 업무에 종사하고자 하는 자를 양성.
동아리활동
* 천연화장품&비누: 천연화장품 제조 및 천연비누 제조, 향수 제조 등
* 향기탐색: 허브 & 향신료- 허브재배, 에센셜 오일 추출, 혼합 향신료제조, 향수 제조

5. 학교 시설

6. 학교 생활

7. 출신 인물

8. 대중교통

8.1. 버스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1f2023> 한뫼초교.일산중고교(20174, 36034)
* 신원아파트앞, 탄현, 파주 방면으로 운행하는 시내버스가 정차한다.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신원아파트앞 방면
마을
일반시내
지선버스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1f2023> 한뫼초교.일산중고교(20169, 36035)
* 일산시장, 일산, 서울 방면으로 운행하는 시내버스가 정차한다.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일산시장 방면
마을
일반시내
지선버스 }}}}}}}}}

8.2. 도시철도

<rowcolor=#373a3c> 역명 노선
[[일산역|{{{#000000,#e5e5e5 일산역}}}]]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탄현역|{{{#000000,#e5e5e5 탄현역}}}]]

9. 기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국가기술자격 기술계 필기 시험이 여기서 치러진다. 고양시 일산 지구에서는 일산고등학교 하나만 있어서 고양시 내에서 불만이 크다. 덕양구성사중학교는 과목이 제한적이라 안 되는 과목이 많다. 공인중개사 시험은 또 일산고등학교가 아니라 신일비즈니스고등학교에서 치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