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ecec, #fff 20%, #fff 80%, #ececec); color: #002395; min-height: 34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카페 왕조 | |||
위그 | 로베르 2세 | 앙리 1세 | 필리프 1세 | |
루이 6세 | 루이 7세 | 필리프 2세 | 루이 8세 | |
루이 9세 | 필리프 3세 | 필리프 4세 | 루이 10세 | |
카페 왕조 | 발루아 왕조 | |||
장 1세 | 필리프 5세 | 샤를 4세 | 필리프 6세 | |
발루아 왕조 | ||||
장 2세 | 샤를 5세 | 샤를 6세 | 샤를 7세 | |
<rowcolor=#002395> 발루아 왕조 | 발루아오를레앙 왕조 | 발루아앙굴렘 왕조 | ||
루이 11세 | 샤를 8세 | 루이 12세 | ||
발루아앙굴렘 왕조 | ||||
앙리 2세 | 샤를 9세 | 앙리 3세 | ||
부르봉 왕조 | ||||
앙리 4세 | 루이 13세 | 루이 14세 | 루이 15세 | |
루이 16세 | (루이 17세) | 루이 18세 | 샤를 10세 | |
(루이 19세) | (앙리 5세) | |||
프랑크 · 서프랑크 · 왕국 제1공화국 · 제국 · 7월 왕정 · 제2·3·4·5공화국 | }}}}}}}}} |
장 1세 관련 틀 | ||||||||||||||||||||||||||||||||||||||||||||||||||||||||||||||||||||||||||||||||||||||||||||||||||
|
<colbgcolor=#fff><colcolor=#002395> 프랑스 카페 왕조 제13대 국왕 장 1세 Jean I | |||
| |||
출생 | 1316년 11월 15일 | ||
프랑스 왕국 파리 | |||
사망 | 1316년 11월 20일 (향년 0세(5일)) | ||
재위기간 | 프랑스 국왕 | ||
1316년 11월 15일 ~ 1316년 11월 20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f><colcolor=#002395> 가문 | 카페 가문 | |
이름 | 장 맨(Jean Man) | ||
아버지 | 루이 10세 | ||
어머니 | 헝가리의 클레망스 | ||
형제자매 | 호아나 2세 | ||
종교 | 가톨릭 | ||
별칭 | 유복자왕 (le Posthume/the Posthumous) | }}}}}}}}} |
[clearfix]
1. 개요
프랑스 왕국의 국왕이자 카페 왕조의 제13대 국왕으로 루이 10세와 두 번째 왕비 헝가리의 클레망스[1]의 아들.[2] 그가 이런 유명세를 탄 것은 태어나자마자 즉위하고 얼마 못 가 죽었기 때문.프랑스 왕으로는 '장 1세'지만 나바르 왕으로는 '호아네스 1세'가 된다. 아버지 루이 10세가 사망할 당시 아직 태어나지도 않았던 유복자였다. 루이 10세는 테니스를 치다가 포도주를 마시고 3일 만에 급사했기 때문에 독살 의혹이 있는데, 장 역시 태어난 지 5일 만에 아버지의 뒤를 따랐기 때문에 후계자가 된 숙부 필리프 5세의 의도가 있지 않았냐고 추정해볼 수 있다. 다만 당시는 영아 사망률이 높았던 시기라서 그런 음모론보다는 영아돌연사증후군 등의 요인으로 인한 자연사일 가능성도 높다. 거기다 의료기술이 뛰어난 현대에도 신생아는 과거에 비해 많이 줄었지만 정말 다양한 이유로 태어나자마자 죽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이러한 연유로 장 1세는 생몰년도와 즉위/퇴위 연도가 똑같은 왕이 된다.[3] 그것도 공식적인 재위 기간이 불과 5일. 그래서 별명이 유복자왕 혹은 아기왕이다.
이후 왕위는 죽은 루이 10세의 동생인 숙부 필리프 5세로 넘어간다. 당대 프랑스는 살리카법을 따르고 있어서 누나 호아나 2세는 즉위할 수 없었다.
2. 대중매체
크루세이더 킹즈 2에서 1316년 6월 5일~11월 18일 사이에 연도를 맞추면 국왕으로 구현되어 있다. 그런데 게임 시스템의 한계로 현실에서 태아 상태였던 6월 5일~11월 14일에도 골라서 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1316년 6월 4일로 날짜를 맞추면 이복누나인 잔만 있고 어머니인 클레망스는 장을 임신하지 않은 상태다. 그리고 트레잇은 없으며 능력치는 모두 0이다.[1] 헝가리어 이름은 '클레멘치어(Klemencia)', 프랑스어 이름은 '클레망스(Clémence)'로, 둘 다 같은 이름이다.[2] 루이 10세의 첫 왕비 마르그리트 드 부르고뉴는 간통죄로(!) 비밀리에 살해당하고 그 딸 잔느는 평생 다른 남자의 사생아라는 의혹을 받아 부왕의 사후에도 숙부 필리프 5세에게 밀려 프랑스의 여왕이 되지 못했으나 숙부들이 모두 죽은 뒤 나바라의 여왕 호아나 2세로 즉위하게 되었다.[3] 이란 샤푸르 2세 또한 유복자로 태어나자마자 즉위하여 생몰년도와 즉위/퇴위 연도가 똑같다. 그러나 샤푸르 2세는 장수하여 재위기간이 무려 70년이다. 스페인 알폰소 13세 또한 태어나자마자 즉위했으나 불안정하던 스페인 정국 때문에 생전퇴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