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 황후 | |||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 세조 | 성종 | 무종 |
소예황후 남필 황후 대황후 탑랄해 노한 백요올진 활활륜 속가답사 | 정자정의황후 불루간 홀첩니 | 답랄마팔랄 선자혜성황후 속가실리 완자알 백홀적 인헌장성황후 문헌소성황후 | |
인종 | 영종(英宗) | 진종 | |
장의자성황후 답리마실리 백안홀독 | 장정의성황후 아팔홀도로 이황후(二皇后) 타이지반 황후 | 바부칸 황후 팔불한 역련진팔랄 홀랄 야속 살답팔랄 복안겁리미실 실렬첩목아 철니 필한 속가답리 | |
문종 | 명종 | 영종(寧宗) | |
복답실리 | 팔불사 정유휘성황후 안출한 월로사 불안홀로도 야소 탈홀사 아제리 | 답납야특미실 | |
혜종 | 소종 | 천원제 | |
다나시리 황후 백안홀도 옹기라트 보현숙성황후 목납실리 삼황후 보안홀도 | 오지하슨다리氏 권황후 김황후 | - | |
추존 | |||
월륜태후 | 광헌익성황후 | 홀로륜 | 활리걸담 | 탈홀사 | 첩목륜 | 역련진팔랄 | 불안홀독 | 홀란 | 고야별속 | 역걸렬진 | 탈홀사 | 야수 | 홀로합랄 | 아실륜 | 독아합랄 | 찰합 | 아석미실 | 완자홀도 | 야속간 | 홀답한 | 합답안 | 알자홀사 | 연리 | 독해 | 모개 | 아복합 | 기국공주 | 올걸욱진 | 소단 | 별토출미실 황백비 | 야속륜 황백비 | 현의장성황후 | 패랄합진 대황후 | 양회 | 홀첩니 | 탈렬가나 | 해미실 | 내만진 | 정절황후 | 야속아 | 독특미 | 출비 | 이키레스 | 명리홀도로 화라차 | 소헌원성황후 | |||
원 황제 | }}}}}}}}}}}} |
원나라의 황후 장의자성황후 | 里莊懿慈聖皇后 | |
| |
시호 | 선자혜성황후(宣慈惠聖皇后) |
성 | 옹기라트(弘吉剌) |
휘 | 라드나시리(弘吉剌阿纳失失里) |
출생 | ??? |
사망 | 1322년 |
재위 | 원나라의 황후 |
1313년 ~ 1320년 | |
원나라의 황태후 | |
1320년 ~ 1322년 | |
부군 | 인종 |
[clearfix]
1. 개요
里莊懿慈聖皇后(? ~ 1322)
원나라 인종 아유르바르와다의 첫번째 황후이자 원 영종 시디발라의 어머니.
2. 생애
그가 언제 아유르바르와다와 결혼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1302년 2월 22일 아들 시데발라를 낳았다. 황경 2년(1313년) 3월에 인종으로부터 황후로 책봉되었다.1316년 인종은 형 무종의 아들을 후계자로 삼겠다는 약속 대신, 자신의 아들 시데발라를 황태자로 삼았다. 이는 옹기라트부와 다기 카툰의 뜻이었다. 시데발라가 황태자가 되자 라드나시리 여왕의 영향력이 커졌지만, 그녀는 두 왕의 어머니인 다기 카툰의 세력보다는 한수 아래였다. 라드나시리 카툰은 다기 카툰처럼 정치에 관여하지 않고 겸손하게 행동했다.
연우 7년 3월 1일(1320년) 인종이 붕어(崩御)하고, 1320년 4월 19일 그녀의 아들 시데발라 태자가 영종으로 즉위하자 그녀는 황태후가 되었다. 지치 2년(1322년)에 라드나시리가 붕어하자, 영종은 그녀에게 장의자성황후(莊懿慈聖皇后)라는 시호를 내렸다. 태정 4년(1327년) 8월 원 태정제 예순테무르(也孫鐵木兒)는 그녀의 시호를 선자혜성황후(宣慈惠聖皇后)라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