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장 | 편대장 | 함장 | 전대장 | 전단장 | 함대사령관 | 해군작전사령관 |
1. 개요
戰團長. 전단의 지휘관으로 보통 준장을 보임한다. 계급으로는 대한민국 육군의 여단장과 동일하지만 기능적으로는 사단장에 대응한다.[1] 대한민국 공군의 경우 비행단장에 상응한다. 대한민국 해군에서는 과거에 '전단장'이라는 명칭 대신 '전단사령관'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다.전단장 밑에는 몇 명의 전대장들이 근무한다. 해군 특수전전단(UDT/SEAL)은 일반 해군의 편제와 달리 대대 등 육군과 비슷한 편제를 활용한다. 대한민국 해병대는 아예 사단장, 여단장이란 용어를 쓴다.
함대와 전단을 분리하는 해군의 정책으로 수상함의 지휘관은 상륙함, 기뢰함 부대를 지휘하는 제5기뢰/상륙전단장이나 구축함과 군수지원함 부대를 지휘하는 제7기동전단장 밖에 없었으나, 2015년 2월에는 해상전투단이라는 이름으로 해역함대[2] 소속 전단을 부활시켰다.[3]
용어가 생소한 탓인지 전단장을 전(前)단장으로 알아듣는 사람들도 있다(…). 해군에서도 전단을 줄여나가는 식이라서 해군에서도 점차 생소해지고 있다.
2. 대한민국 해군의 전단장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1B69> | 대한민국 해군 현직 전단장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제1해상전투단장 | 제2해상전투단장 | 제3해상전투단장 | |
이종이 | 이재섭 | 문종화대령 | ||
제5기뢰/상륙전단장 | 제7기동전단장 | 제8전투훈련단장 | ||
조충호 | 공석 | 박태규 | ||
특수전전단장 | 해양정보단장 | |||
김학민 | 이용태 | |||
※ 둘러보기: 대장 | 중장 | 사단장 | 함대사령관 | 공군기능사령관 | 비행단장 | 주임원사 | }}}}}}}}} |
[1] 미국 해군처럼 규모가 큰 곳에서는 대한민국 해군의 전단)에 해당하는 부대의 지휘관이 준장이 아닐 때도 있다.[2] 제1함대사령부, 제2함대사령부, 제3함대사령부[3] 제1해상전투단, 제2해상전투단, 제3해상전투단[4] 제1해상전투단장은 제1함대사령부의 부사령관을 겸임한다.[5] 제2해상전투단장은 제2함대사령부의 부사령관을 겸임한다.[6] 제3해상전투단장은 제3함대사령부의 부사령관을 겸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