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이 문서의 부대가 주둔하는 해군기지}}}에 대한 내용은 [[부산 해군기지]]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부산 해군기지#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부산 해군기지#|]]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이 문서의 부대가 주둔하는 해군기지: }}}[[부산 해군기지]]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부산 해군기지#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부산 해군기지#|]]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 |
국방정보본부 [[정보사령부| 정보사령부 ]][[777사령부| 777사령부 ]] | 육군지상정보여단 | 해군해양정보단 | 공군항공정보단 | |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국군의 편제 | ||||
※ 둘러보기: 참모본부 | 작전사령부 | 사관학교 | 교육사령부 | 군수사령부 | 근무지원단 | 국군병원 | 형사사법기관 | 파병부대 |
| |||
| | | |
제5기뢰/상륙전단 | 제8전투훈련단 | 해군특수전전단 | 해양정보단 |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해군의 편제 |
해양정보단 海洋情報團 Maritime Intelligence Group | |
| |
해양전장의 주역 | |
창설일 | 1995년 10월 1일 (30주년) |
약칭 | 해정단 |
소속 | 대한민국 해군 |
상급부대 | 해군작전사령부 |
규모 | 전단 |
역할 | 해양정보 수집·분석·전술자료화 및 해양환경예보 |
단장 | 준장 조충호 (해사 49기) |
위치 | 부산광역시 남구 부산 해군기지(부산항 신선대부두) |
1. 개요
해군작전사령부 직할부대인 해양정보단(약칭 해정단, 정보단)은 대한민국 해군의 작전세력을 위해 해양정보를 융합·분석·판단해 표적정보를 생산하고, 기상·해양·음향 정보 등을 지원하는 것을 주임무로 하는 군사정보부대다.#각 함대 및 예하 작전부대, 군함은 해양환경과 관련된 전술정보 및 예보자료를 해양정보단에서 지원받는다.#
2. 역사
1995년 10월 1일 해양기상, 전자전 등을 담당하는, 해군작전사령부 예하 해양전술정보단(Maritime Tactical Intelligence Group)으로 창설됐다.# 2012년 2월 1일 해양정보단으로 개편됐고, 2017년 2월 해군 정보 병과 부활에 맞춰 해군정보단(Naval Intelligence Group)으로 개편했다.#2022년 8월 다시 해양정보단으로 부대명이 변경되고, 2023년 10월 진해 해군기지에 위치했던 본부를 부산 해군기지로 이전했다.
3. 역대 전단장
지휘관인 전단장의 계급은 대령이었으나, 2023년 준장으로 격상됐다.[1]역대 해양정보단장 | |||||
대 | 이름 | 계급 | 임관 | 재임기간 | 비고 |
- | 최봉재 | 대령 | 해사 44기 | - | 前 단장 |
- | 박재식 | 대령 | 해사 44기 | - | 前 단장 |
- | 전용규 | 준장 | 해사 47기 | - | 前 단장 |
- | 이용태 | 준장 | 해사 51기 | - | 前 단장 |
- | 조충호 | 준장 | 해사 49기 | 2025~ | 現 단장 |
4. 조직
해양정보단 예하 함정의 정확한 위치와 세부적인 편제사항, 내부 시설, 병력현황 등에 대한 모든 내용은 특수 군사 II급비밀로 분류됩니다.- 해양정보단(부산 해군기지)
대외적으로 공개된 조직으로는 해양정보처, 대잠정보지원처 등이 있으며 외국 정보활동을 위한 해양정보함(AGS) 운용을 담당하고 있다.
4.1. 해양정보함
| |||
해양정보함 | 훈련함 | 수상함구조함 | |
신세기함 AGS-I | 신기원함 AGS-II | 한산도함 ATH | 통영급 ATS-II |
잠수함구조함 | 군수지원함 | ||
청해진함 ASR | 강화도함 ASR-II | 천지급 AOE-I | 소양급 AOE-II |
수중음향정보·전파정보·해양환경정보 등 군사정보 수집이 주요 임무인 해양정보함(해양조사함)을 갖추고 있다. 해군은 해양정보단으로부터 각종 군사정보를 제공받아 대잠전, 전자전 등 정보작전을 수행한다.
해양정보함 함명은 신천지(新天地), 신세기(新世紀), 신기원(新紀元) 등 창조와 개척의 의미를 지닌 추상명사를 사용하고 있다. 타국 해군에서 운용하는 유사 군함의 현황에 관해서는 정보수집함 문서에서 참조할 수 있다.
4.1.1. 신천지함(AGS-11)
신천지함(AGS-11)은 대한민국 해군의 첫 국산 해양조사함으로, 1993년 취역한 1,000톤급 함정이다. 지휘관인 함장이 중령인 2급함으로 구형 장비, 부족한 정보분석 능력 등으로 비교적 일찍 도태되어 2013년 12월 퇴역했다.##4.1.2. 신세기함(AGS-12)
신세기함(AGS-12)은 대한민국 해군의 두 번째 해양조사함으로 2003년 취역했다. SWATH 쌍동선 형태의 2,800톤급 함정이다.## 무인기(UAV) 운용이 가능하다.#[2]4.1.3. 신기원함(AGS-13)
신기원함(AGS-13)은 '신천옹(AGX-II) 사업'을 통해 건조된 대한민국 해군의 세 번째 해양조사함이다. 2012년 인수한 신기원함은 길이 114m, 경하배수량 3,500톤급 함정이다. 신세기함(AGS-12)과 마찬가지로 무인기(UAV) 운용이 가능하고 상선과 비슷하게 생겼다고 한다4.1.4. AGX-III
대한민국 해군은 2021년부터 국방개혁 2.0의 일환인 감시정찰 전력 강화를 위해 AGX-III(해양정보함-III)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개념설계는 현대중공업이 수행했다.5. 기타
- 해양정보함에 탑재할 영상정보 확보용 무인항공기(UAV) 도입 사업이 수년째 지지부진한 상태다.## 총 3대 중 2대가 추락하고 1대가 방치되면서 이를 대체하기 위해 2010년도부터 긴급소요로 사업을 추진했지만, 결국 전력화에는 실패하면서 부실한 사업계획에 대한 논란이 불거졌다.
- 전 신천지함(AGS-11) 함장이 쓴 해양조사함에 대한 참고기사 : [윤석준의 차·밀] 중국의 수중통제권 장악이 시작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