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06 00:47:20

정도영(아나운서)

파일:KBS 로고.svg 파일:한국방송공사워드마크.svg 전직 아나운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강서은 강성곤 강수정 강영숙 강찬선
고민정 공정민 김경란 김도연 김동건
김동우 김명숙 김민정 김병찬 김선근
김선동 김성수 김영호 김윤지 김지원
김태욱 김한별 김현욱 김현태 노현정
도경완 맹관영 박경희 박영주 박용호
박은영 박종세 박지윤 박찬숙 박태남
박현선 박현우 배성재 변웅전[A] 서기원
서기철 손미나 손범수 손석기 송경희
송지헌 신영일 신은경 오영실 오유경
오정연 왕종근 원종배 위서현 위진록
유덕훈 유수호 유애리 유정아 유지철
윤소희 윤영미 이계진 이광용 이규원
이금희 이미선 이성민 이숙영 이장우
이정민 이지애 이지연 이창호 이한숙
이혜성 임성민 임수민 임택근[A] 장기범
장은영 장혜원 전영우 전인석 전현무
정다은 정도영 정미정 정미홍 정세진
정은승 정은아 조수빈 조우종 조충현
지승현 진양혜 차다혜 최계환 최동석
최선규 최세훈 최송현 최연택 최영미
최은경 표영준 한석준 홍지수 황수경
황인용 황우겸[A] 황유선 황정민 황현정
현직 아나운서 | 지역 아나운서
}}}}}}}}} ||
{{{#!folding [ 각주 펼치기 · 접기 ]

[A] 1973년 공사화 이전에 퇴사[A] [A]
이름 정도영(鄭都永)
생년월일 1942년
데뷔 1971년 KBS 공채 아나운서
학력 서울교육대학교 출신


1. 개요2. 출연3. 중계 스타일 및 여담

1. 개요

대한민국의 전직 아나운서였던 방송인. 1971년 KBS에 입사하여[1] 1990년대 프로야구/메이저리그의 메인 캐스터로 활동하였다. 2000년에는 KBS를 퇴직한 후에는 SBS Sports로 옮겨가서 야구 중계를 하기도 했다.

1944년생이지만 출생연도에는 1942년생으로 되어 있다.

2005년 야구용어위원회 전문위원으로 선임되기도 하였다.

2. 출연

  • KBS 야구 캐스터(1982~1998)
  • KBS 장기 고수전 MC[2]

3. 중계 스타일 및 여담

KBS의 야구 캐스터 계보[3]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캐스터다. 1990년대 중/후반 KBS 야구 중계를 대표하는 캐스터로, 거의 일정한 톤의 중저음이 특징이다. 그의 시그니쳐 멘트는 N점짜리 실책입니다.(주로 상대팀에게 실책으로 점수를 내줄 때)/큽니다, 쭉~ 뻗습니다.(홈런 콜) 등이 있다. 1993년 한국시리즈에서 해태 타이거즈가 팀 통산 7번째 우승을 확정짓는 순간과 1994년 한국시리즈에서 LG 트윈스가 우승을 확정짓는 순간도 정도영 캐스터가 중계했다.

1980~1990년대 KBS에서 스포츠 중계, 그 중에서도 야구 중계를 전담한 아나운서들은 원래 KBS 출신인지, 아니면 TBC 출신인지에 따라 중계 스타일이 크게 갈렸다. 이세진, 정도영 아나운서 같은 KBS 출신 아나운서들은 목소리 톤의 큰 변화가 없는 정석적인 중계를 선보였던 한편으로, 이장우, 유수호 등 TBC 출신 아나운서들은 특유의 말투와 톤이 살아있는 중계를 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후배 아나운서들 중 김현태 아나운서가 이런 중계 스타일로 2010~2020년대 들어 비판이 많아졌다. 중계의 톤이 조금 높아지고 속도감이 살아났을 뿐, 멘트는 과거 스타일을 답습했던 것이 원인으로 꼽힌다. 정도영 아나운서의 중계 스타일은 당시의 사회 분위기와 방송 트렌드를 잘 타고났던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여담으로 역대 6번[4]의 한국시리즈 최종전을 생중계하며 이 분야 공동 1위에 올라있는데, 함께 공동 1위에 오른 사람이 바로 김현태 아나운서[5]다.[6]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스포츠 분야에서 활약한 김윤한 아나운서가 그의 동기로, 이 기수는 KBS의 공사화 이전 마지막 기수다.[2] 1992년~1993년에 매주 일요일 아침에 방영했던 말그대로 장기를 두는 프로기사들이 나와서 겨뤘던 프로그램이다. 링크에 연결된 건 1993년 추석특집때 방영된 방송분량이다.[3] 이규항-이세진/이장우/정도영-표영준/유수호-김현태/유지철-이광용/강승화-김진웅.[4] 1986, 1987, 1990, 1993~1995.[5] 2008, 2010~2013, 2016.[6] 이 두 캐스터 다음으로 최종전 중계를 많이 한 캐스터는 임주완(1982, 1986, 1987, 1992), 양진수(1991, 1995, 1997, 1998) 총 4회, 그 다음으로는 김정일(2000~2002), 표영준(1999, 2004, 2006), 이광용(2018~2020), 김나진(2021~2023) 총 3회 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