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명의 1884년생 독립유공자에 대한 내용은 표영준(1884) 문서 참고하십시오.
전직 아나운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강서은 | 강성곤 | 강수정 | 강영숙 | 강찬선 | ||||
고민정 | 공정민 | 김경란 | 김도연 | 김동건 | |||||
김동우 | 김명숙 | 김민정 | 김병찬 | 김선근 | |||||
김선동 | 김성수 | 김승한 | 김윤지 | 김지원 | |||||
김태욱 | 김한별 | 김현욱 | 김현태 | 노현정 | |||||
도경완 | 맹관영 | 박경희 | 박영주 | 박용호 | |||||
박은영 | 박종세 | 박지윤 | 박찬숙 | 박태남 | |||||
박현선 | 박현우 | 배성재 | 변웅전[A] | 서기원 | |||||
서기철 | 손미나 | 손범수 | 손석기 | 송경희 | |||||
송지헌 | 신영일 | 신은경 | 오영실 | 오유경 | |||||
오정연 | 왕종근 | 원종배 | 위서현 | 위진록 | |||||
유덕훈 | 유수호 | 유애리 | 유정아 | 유지철 | |||||
윤소희 | 윤영미 | 이계진 | 이광용 | 이규원 | |||||
이금희 | 이미선 | 이성민 | 이숙영 | 이장우 | |||||
이정민 | 이지애 | 이지연 | 이창호 | 이한숙 | |||||
이혜성 | 임성민 | 임수민 | 임택근[A] | 장기범 | |||||
장은영 | 장혜원 | 전영우 | 전인석 | 전현무 | |||||
정다은 | 정도영 | 정미정 | 정미홍 | 정세진 | |||||
정은승 | 정은아 | 조수빈 | 조우종 | 조충현 | |||||
지승현 | 진양혜 | 차다혜 | 최계환 | 최동석 | |||||
최선규 | 최세훈 | 최송현 | 최연택 | 최영미 | |||||
최은경 | 표영준 | 한석준 | 홍지수 | 황수경 | |||||
황인용 | 황우겸[A] | 황유선 | 황정민 | 황현정 | |||||
현직 아나운서 | 지역 아나운서 | |||||||||
{{{#!folding [ 각주 펼치기 · 접기 ] |
表永準
1954년 11월 27일 ~ ([age(1954-11-27)]세)
1. 개요
KBS 출신의 프리랜서 아나운서. 본관은 신창(新昌)[1].2. 생애
1954년 11월 27일 서울특별시에서 아버지 표윤광(表錀光, 1923. 9. 4 ~ ?. 11. 29)과 어머니 밀양 박씨 박동순(朴東順, 1933. 4. 15 ~ )[2] 사이에서 두 아들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서울 성남고등학교[3]와 건국대학교 지리학과를 졸업하고 2001년 6월 동국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에서 신문방송학 석사 학위[4]를 취득했다.건국대학교 졸업 후 학군사관(ROTC)(15기)를 거쳐 장교로 복무했다고 하며, 1979년에 KBS에 공채 6기로 12월 10일자로 입사하여 2013년에 정년퇴임했다.
3. 경력
아나운서 세부 분야 중에서 주로 라디오 뉴스와 시사 프로그램, 스포츠 중계가 전문 분야이다. 스포츠 중계를 제외하면 가끔씩 하는 TV 뉴스 외에 텔레비전에 좀처럼 출연하지 않는 편이다. 다만 1999년 KBS 파업 당시에는 임시로 공개수배 사건 25시의 진행을 맡는 등 대리 진행 경력도 제법 있다. 또한 1995년 광복 50주년을 기념하여 방송된 KBS 영상실록의 내레이션을 담당했다.[5]스포츠에서는 1990년대 후반[6]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KBS 지상파 야구 중계(고교, 대학(아마추어 한정), 프로)의 간판 캐스터였다.[7] KBS가 중계하는 프로야구 경기(올스타전, 포스트시즌 포함)에 캐스터로 나섰다. 1999년 한국시리즈에서 한화 이글스가 팀 역사상 첫 한국시리즈 우승을 확정짓는 순간과 2004년 한국시리즈 당시 폭우 속에서 치러졌던 9차전 중계도 표영준 아나운서가 중계한 것이다. 중계 파트너는 주로 하일성 해설위원이었고, 하 위원이 KBO 사무총장으로 잠시 떠났던 2006 시즌 초반부터는 이용철 해설위원(첨부사진 왼쪽)과 함께 호흡을 맞추기도 했다. 2007년 한국시리즈 1차전 중계를 맡은 이후로 잠시 중계 마이크를 내려놓고 있다가 2009년 한국시리즈 3차전에서 실로 오랜만에 표영준-하일성 콤비가 호흡을 맞추어 중계 마이크를 잡았다.
하일성 해설위원은 생전 표영준 아나운서를 최고의 중계 파트너라고 언급하는 등 상당히 높게 평가했는데, 표 아나운서는 마치 초심자가 야구를 보듯이 해설이 필요한 장면에서 해설위원에게 상황을 묻는 방식으로 진행했던 것이 이유라고 했다. 이는 유수호 아나운서가 방대한 지식으로 해설자와 균형을 맞추는 중계 방식을 취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그렇다고 표영준 아나운서가 유수호 아나운서보다 야알못이라서 그런 식으로 중계를 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야구에 대한 지식과 내공이 엄청나게 쌓였으니 해설이 필요한 포인트를 정확하게 짚을 줄 아는 것이다. 즉, 표 아나운서는 이런 방법으로 해설자의 해설을 자연스럽게 유도하면서 아나운서의 역할과 해설자의 역할을 정확하게 구분한 것이다. 그렇게 시청자의 귀에 거슬리지 않는, 물이 흐르는 듯한 중계가 가능한 것이다.
타 방송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계 멘트가 점잖은 KBS 아나운서 중에서 "안타~압니다", "호옴~런~~" 같은 개성 있는 샤우팅으로 상당한 임팩트를 보여주기도 했다.[8] 사실 1980~1990년대 KBS에서 스포츠 중계, 그 중에서도 야구 중계를 전담한 아나운서들은 원래 KBS 출신인지, 아니면 TBC 출신인지에 따라 중계 스타일이 크게 갈렸던 것으로 전해진다. 이세진, 정도영 등 KBS 출신 아나운서들이 목소리 톤의 큰 변화가 없는 표준에 가까운 중계를 선보였다면, 이장우, 유수호 등 TBC 출신 아나운서들은 특유의 말투와 톤이 살아있는 중계를 했는데, 표영준 아나운서는 KBS 출신임에도 독특한 말투와 톤을 갖고 있었다. 여기에 베이스 온 볼스, 힛 바이 피치드 볼 등 미국 본토 용어를 많이 사용하면서 중계의 재미와 품격을 모두 살렸다는 평을 받았다.
1997년 KBS 뉴스 네트워크의 앵커를 진행하여 이중에서 전국체전 방영도중 KBS 뉴스특보를 내보내면서 폭격 도발 관련 속보 앵커로 모습을 드러내기도 했다. 1999년 KBS 바둑왕전 17기 시상식으로 우승자 이창호 9단, 준우승자 정수현 9단(명지대학교 바둑학과 교수-학과장) 진행을 맡았다. 또한 2000 시드니 올림픽 폐회식[9]과 육상경기, 야구 동메달 획득 순간,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 개, 폐회식, 2002 부산 아시안 게임 폐회식[10]을 중계했고, 쇼트트랙의 김동성이 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에서 극적인 막판 날들이밀기로 금메달을 따는 순간과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에서 아폴로 안톤 오노에게 금메달을 강탈당하는 순간을 모두 중계했다. 한국야구사 최악의 수중전으로 꼽히는 2004년 한국시리즈의 폭우 속 최종전도 이 분이 중계했으며, 지금 들어도 어색하지 않은 꽤 인상적인 우승콜을 남겼다.[11]
이 분의 특징은 어조가 상당히 표준적(...)이라는 것인데, 특히 1990년대 후반 경의 KBS 제1라디오 시보를 들어보면 소름 끼칠 정도로 상당히 표준스럽다.[12] 2000년대 중후반경 버전의 시보 멘트는 그 포스가 그것보다는 덜한 듯하다. 한번 들어보자. 9분 14초부터 9분 27초까지이다.
모 국어학자의 평가에 따르면 아나운서 중에서 장단음을 가장 잘 지켰다고 한다.
후배 아나운서들에게는 대단히 깐깐하신 분으로 알려져 있다 카더라.[13]
2012년 10월 기준으로 KBS 제1라디오 오전 11시 국제뉴스의 고정 앵커로 있었으며, 가끔 KBS 제1라디오 정오 종합뉴스를 진행하기도 했다.
2013년에 정년퇴직한 후에는 간간히 프리랜서로 스포츠 중계를 맡는 모양이다. 2015년 봄까지 KBS N 스포츠에서 프리랜서 자격으로 야구와 배구 중계를 담당했으며
좋은책신사고 2학년 1학기 중학교 교과서에 본인이 작성한 글이 나와있다.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1999년에 공개수배 사건 25시를 진행한 적이 있다. 원래는 그 해 5월 5일부터 박선규 KBS 기자가 진행했지만, 정부의 통합 방송법 제정안에 반발한 방송사 노조가 7월 13일부터 27일까지 2주 동안 연대 파업을 하면서 이에 동참한 박선규를 대신해 표영준이 진행한 것.
[1] 21세 준(準) 항렬.[2] 박재식(朴在植)의 딸이다.[3] 이전에 성남고는 성남시에 있는 학교가 아니었으나, 실제로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성남서고등학교가 2018년 3월 1일부로 성남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면서 옛말이 되었다. 하지만 성남에 있는 성남고등학교와 서울 동작구 대방동에 있는 성남고등학교는 서로 관계 없는 다른 학교인 건 변함 없다. 그러므로 일단은 최소한 서울 출신인 것은 확실하다. 그중에서도 영등포구나 동작구 출신으로 추정.[4] 석사 학위 논문 : 방송의 스포츠캐스터 專門化(전문화)에 대한 연구(2001. 6).[5] 2005년판 KBS 영상실록은 배창복 아나운서가 담당했다.[6] 1999년 이전에도 서브 캐스터(이때 메인 캐스터는 정도영 아나운서.)로 활동하였으며 1999년부터 메인 캐스터가 되었다.[7] 2007년부터는 중계에 많이 나서지 않고, 젊은 김현태 아나운서에게 메인 자리를 내주었다. 그럼에도 2013년까지도 라디오 중계와 케이블 중계에 간간히 나왔다.[8] 2006년 WBC 본선 1라운드 한일전이 대표적으로, 이진영의 다이빙 캐치와 이승엽의 역전 투런 홈런 당시 날린 샤우팅이 바로 전형적인 표영준 아나운서표 샤우팅이다. 삑사리는 덤이다. 중계 하이라이트 영상.[9] 시드니 올림픽 개회식은 조건진 아나운서가 중계했다.[10] 부산 아시안 게임 개회식은 서기철 아나운서가 중계했다.[11] 2004 한국시리즈 현대 유니콘스의 우승! 길고 치열했던 2004 한국시리즈! 가을의 전설은 현대의 몫으로 역사에 기록될 것입니다![12] 당시 KBS 제1라디오 시보 멘트로 남자 아나운서는 표영준 씨가, 여자 아나운서는 박경희 씨가 맡았는데, 박경희 씨도 KBS 최고참 아나운서 중 한 분이다. 표영준 - 박경희 구도는 2000년대 중-후반의 시보에서도 반복되었다.[13] 2004년에 방영된 인간극장의 신입 아나운서 편인 "마이크의 전사들"에서 아나운싱할 때의 호흡을 가지고 야단치는 장면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