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26 11:27:57

정령섬/가지와 발톱/정령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정령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정령섬/가지와 발톱
적대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정령 및 능력 카드 목록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Spirit_Island.png 파일:branch_and_claw.webp 파일:jagged_earth.png 파일:nature_incarnate.png
기본판 가지와 발톱 찢긴 땅 자연의 화신
정령 능력 카드 정령 능력 카드 정령 능력 카드 정령 능력 카드
파일:Feather_and_Flame_box.png 파일:Horizons_of_Spirit_Island_box.png
깃털과 불꽃(프로모션) 정령섬의 지평
정령 정령
}}}}}}}}} ||

1. 개요2. 목록
2.1. 금단의 자연을 수호하는 자
2.1.1. 퍼져나가는 적의 양상
2.2. 수풀 뒤에 웅크린 날카로운 송곳니
2.2.1. 포위 양상2.2.2. 족쇄풀린 양상

1. 개요

보드게임 정령섬의 확장판 가지와 발톱의 정령들을 설명하는 페이지.
가지와 발톱에서는 2개의 정령이 추가되었다.

2. 목록

2.1. 금단의 자연을 수호하는 자

이미지 파일:Keeper_of_the_Forbidden_Wilds.png
이름 금단의 자연을 수호하는 자
Keeper of the Forbidden Wilds
특수 규칙 금단의 땅(Forbidden Ground) : 언제든 당신이 파일:Sacredsiteicon.png를 만들때 마다, 그곳의 모든 파일:Dahanicon.png을 밀어낸다. 다한 이벤트로는 결코 파일:Dahanicon.png을 당신의 파일:Sacredsiteicon.png로 옮길 수 없다. 하지만 능력으로는 옮길 수 있다.
성장 두 가지 선택
파일:Reclaimall.png

카드 회수
파일:Energy_Plus_1.png

에너지 획득
파일:Gaincardicon.png

능력 카드 획득
+ 파일:Presenceicon.png
파일:wildicon.png 혹은 파일:Presenceicon.png
3
파일:Rangeicon.png
험지 혹은 당신의 현신이 있는 지역 한 곳에,
현신 1개 추가
파일:Energy_Plus_1.png

에너지 획득
파일:Energy_3.png 비용 파일:Gaincardicon.png

능력 카드 획득
+ 파일:Presenceicon.png
파일:Noblighticon.png
3
파일:Rangeicon.png
오염이 없는 지역 한 곳에,
현신 1개 추가
현신 트랙 에너지/차례: 파일:Energy_2.png - 파일:Esun.png - 파일:Energy_4.png - 파일:Energy_5.png - 파일:Eplant.png - 파일:Energy_7.png - 파일:Energy_8.png - 파일:Energy_9.png
카드 사용: 파일:Cardplay1.png - 파일:Cardplay2.png - 파일:Cardplay2.png - 파일:Cardplay3.png - 파일:Cardplay4.png - (파일:Cardplay5.png파일:Reclaimone.png[카드1장회수])
타고난 능력 침입자를 벌하다(Punish Those Who Trespass)
속도: 파일:Slowicon.png 사정 거리: 사거리 0 대상: 원하는 곳
2 파일:Simple_sun.png 1 파일:Simple_fire.png 2 파일:Simple_plant.png : 피해2. 파일:Dahanicon.png 1개 파괴.
2 파일:Simple_sun.png 2 파일:Simple_fire.png 3 파일:Simple_plant.png : 당신이 보유한 파일:Simple_sun.png 파일:Simple_plant.png 당 피해 +1.
4 파일:Simple_plant.png : 이 능력으로 주는 피해를, 대상 지역과 또 다른 당신의 지역 한 곳 사이에 나누어 줄 수 있다.
퍼져나가는 야생의 자연(Speading Wilds)
속도: 파일:Slowicon.png 사정 거리: 사거리 1 대상: 파일:Blighticon.png이 없는 지역
2 파일:Simple_sun.png : 대상 지역에서, 당신이 보유한 2파일:Simple_sun.png파일:Explorericon.png 1개를 밀어낸다.
1 파일:Simple_plant.png : 대상지역에 파일:Explorericon.png 가 없다면, 파일:wildicon.png 1개 추가.
3 파일:Simple_plant.png : 이 능력의 사정거리에 1을 더한다.
1 파일:Simple_air.png : 이 능력의 사정거리에 1을 더한다.
준비 당신의 시작 보드에 있는 가장 높은 숫자의 정글에 파일:Presenceicon.png 1개와 파일:wildicon.png 1개를 놓습니다.
진행 스타일 천천히 자라나는 방벽입니다. 때때로 확장에 지장이 생길 때도 있습니다만, '금단의 자연을 수호하는 자'가 뿌리를 내리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동일하게 침략자가 돌파하기는 힘들 것입니다.
섬이 넓을 경우, 게임 초반에 멀리 떨어진 지역 한두 곳에서 시작해 점점 퍼져 나가는 것 그리고 천천히 성장할 수 있는 지점을 여러 군데 확보하는 것이 게임 진행에 유용할 것입니다.
복잡도 중간
능력 분석 공격
조종
공포
방어
기능
[ 배경 이야기 ]
> 인간의 손길이 닿지 않은 야생 그 자체가 국소적으로 뭉쳐서 정령섬 전체에 퍼집니다. 그 중 몇몇 지역에는 그 자신들과 연관된 성지의 정령들이 있습니다. 잎사귀들이 속삭이는 언어 속에는 불청객을 향한 노여움과 경고와 금단의 언어가 담겨 있고, 그 이야기를 들을 줄 아는 다한은 그곳에서 멀찍이 떨어져서 살아갑니다.
몇몇 정령 예언자들이 주장하는 바에 따르면 저런 자연 정령들은 더욱 강력한 존재를 섬기는 한낱 경비이자 집사에 지나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들이 섬기는 존재는 쉽사리 깨어나지 않는, 고대의 숲과 깊은 뿌리의 정령이라고 하면서요. 물론 진실을 밝히려고 달려드는 사람은 없습니다.

  • 특수 규칙
    특수 규칙은 성소를 만들면 그곳의 모든 다한을 밀어내는 규칙으로, 쓰기에 따라 페널티가 될 수도, 유용한 능력이 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이 정령 (수호자)은 깊은 내륙지역부터 침략자를 제거해 나가며 퍼져나가는 플레이 양상을 띠기 때문에, 내륙 지역에 쓸모없어진 다한들을 밀쳐내는 것은 유용한 능력이 될 수 있다. 반면 강제로 다한을 이동시켜야 하는 상황도 있는 만큼 잘 고려해야 하는 능력.
  • 성장 및 현신 트랙
    • 성장 능력은 깃털과 불꽃(프로모)/가지와 발톱의 다른 정령들과 마찬가지로 4가지 중 2가지를 선택하게 되어 있다. 이 중 특이하게도 4번째 성장 능력은 3 에너지를 소모하는 대신 능력 카드 획득과 현신 추가가 동시에 달려 있는 파격적인 효과인데, 이를 선택하면 한 턴에 2현신+1카드 / 1현신+2카드 성장을 할 수 있다는 뜻이다. 에너지를 지불해야 하긴 하지만 이런 성장이 가능한 것은 정령섬 전체를 통틀어 수호자가 유일하다. 특히 수호자는 중후반을 가면 에너지가 넘쳐나기 때문에, 그 때부터는 4번째 성장 능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게 된다. 매 턴 에너지를 2씩은 남겨놓아 3+4번 성장옵션으로 현신을 2개 까는 각을 노리는 것이 좋으며, 특히 1턴에 1코스트 이하의 카드를 사용하여 2턴부터 바로 3+4번을 선택하는 것이 정석이다.
    • 3번째 성장 능력으로 인해 초중반에 수호자의 확장 방식은 꽤 제한돼있고, 이것이 수호자의 플레이 스타일을 결정한다. 에너지가 부족한 초반에는 현신을 놓기 위해 3번째 성장 능력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데, 문제는 사정거리는 길지만 현신을 이미 자기 현신이 있는 곳이나, 험지 토큰이 있는 곳에 놓을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수호자는 자신의 능력 카드나 타고난 능력으로 험지 토큰을 퍼뜨리고, 그 곳에 현신을 퍼뜨리는 방식으로 매우 천천히 확장하게 된다. 또한 수호자는 스타팅 포인트가 반드시 가장 높은 숫자의 정글이기 때문에, 수호자는 섬의 가장 중심부부터 천천히 확장하는 플레이 형태를 띨 수밖에 없게 된다. 반면 에너지가 충분한 중반부터는 4번째 성장 옵션을 선택함으로써 멀리까지도 확장할 수 있게 된다.
    • 성장 트랙은 매우 준수한데, 최종적으로 얻을 수 있는 에너지와 카드 한도가 9에너지/5카드로 모두 최상위권이기 때문에 후반부에 수호자는 다른 어떠한 정령들보다도 강력한 모습을 보인다. 카드 트랙 마지막에는 카드 1장 회수 옵션까지 달려 있어서 강력한 주요 능력 카드를 매 턴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덤.

  • 타고난 능력
    • 첫 번째 능력은 심플하게 피해를 주는 능력이며, 빛/식물 원소를 모을 때마다 피해량이 커지고, 식물을 4개 모으면 무려 피해를 여러 곳에 나누어 줄 수 있어 유틸성이 크게 증가한다. 빛/식물은 고유 능력 카드에도 많기 때문에 중후반부터 이 능력을 난사하다 보면 수호자의 현신이 있는 곳에는 침략자가 남아나질 않게 된다.
    • 두 번째 능력은 탐험가를 밀어내거나 험지 토큰을 추가하는 (혹은 둘 다 하는) 능력. 수호자는 확장하려면 험지 토큰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이 능력이 필수이다. 홀로 있는 탐험가를 밀어내며 험지 토큰을 깔고, 다음 턴 시작에 현신까지 깐다면 가장 이상적이다. 반면 오염 토큰이 없는 지역이어야 한다는 것 흠이다.

  • 고유 능력 카드
    이름 재성장 능력의 지원
    Boon of Growing Power
    파일:Boon_of_Growing_Power.png

    에너지 비용 1

    속도 파일:Slowicon.png

    사정거리 -

    대상 지역 원하는 정령

    원소 파일:Esun.png파일:Emoon.png파일:Eplant.png

    효과 대상 정령은 능력 카드 1장을 얻는다.

    당신이 아닌 정령을 대상으로 했다면, 대상 정령은 추가로 에너지 1을 얻는다.

    능력 카드를 얻게 해주는 서포팅 능력. 능력의 축복에 비하면 보조 능력이 아니라 주요 능력을 얻을 수도 있고, 에너지 1을 전송해주는 효과도 있다.



    이름 다시 생장하는 그루터기
    Regrow from Roots
    파일:Regrow_from_Roots.png

    에너지 비용 1

    속도 파일:Slowicon.png

    사정거리 1

    대상 지역 파일:Junglewetland.png

    원소 파일:Ewater.png파일:Eearth.png파일:Eplant.png

    효과 대상 지역에 있는 파일:Blighticon.png이 2개 이하라면, 파일:Blighticon.png 1개 제거.

    오염 제거 카드 치고는 지역 제한도 걸려 있고 애매한 편이지만, 수호자는 오염 토큰이 있는 곳에는 확장할 수 없기 때문에 확장하려면 어쩔 수 없이 써야 한다.



    이름 신성한 황야
    Sacrosanct Wilderness
    파일:Sacrosanct_Wilderness.png

    에너지 비용 2

    속도 파일:Fasticon.png

    사정거리 1

    대상 지역 파일:Blighticon.png이 없는 지역

    원소 파일:Esun.png파일:Eearth.png파일:Eplant.png

    효과 파일:Dahanicon.png 2개를 밀어낸다.
    다음 중 하나를 선택한다:
    대상 지역의 파일:wildicon.png 1개당 피해 2.
    혹은
    파일:wildicon.png 1개 추가.

    다한을 밀어내고, 험지 토큰에 비례해서 피해를 주거나 험지 토큰을 추가하는 카드. 험지 토큰을 다른 능력을 통해 설치해뒀다면 빠른 능력으로 피해 2는 꽤 준수한 편이지만, 2코스트로 험지 토큰 추가는 꽤 효율이 낮은 편이라 쓰기가 꺼려진다.



    이름 우뚝 솟은 분노
    Towering Wrath
    파일:Towering_Wrath.png

    에너지 비용 3

    속도 파일:Slowicon.png

    사정거리 파일:Sacredsiteicon.png로부터 1

    대상 지역 원하는 곳

    원소 파일:Esun.png파일:Efire.png파일:Eplant.png

    효과 파일:Fearicon.png 2.
    대상 지역/인접한 지역에 있는 당신의 파일:Sacredsiteicon.png 1개당, 피해 2.
    모든 파일:Dahanicon.png 파괴.

    공포와, 조건부로 막대한 피해를 줄 수 있는 카드. 수호자는 일반적으로 내륙지역부터 천천히 확장하는 플레이 방식을 따르기 때문에, 성소를 적절히 뭉쳐둔 후 침략자들이 몰려 있는 곳에 사용하면 가장 효율이 좋다. 다만 침략자들이 많은 곳에 천천히 성소를 쌓기도 어렵고, 효율을 볼 수 있는 지역들이 꽤 제한적인 편인데 수호자 본인은 어차피 타고난 능력으로 자신의 현신이 있는 땅의 침략자들을 잘 처리하는 편이라 여러 번 대박을 치기는 어렵다.

  • 총평
    수호자라는 컨셉에 맞추어 섬 중심부부터 천천히 퍼져나가며, 자신의 땅에 있는 침략자와 다한을 가리지 않고 제거하는 정령. 기본적으로 정령섬은 특정 구역에 있는 마을/도시를 싹 다 정리하여 탐사 단계를 스킵하게 하는 게 기본적인 승리 전략 중 하나인데, 수호자는 이러한 플레이에 특화되어 있다. 섬의 중심부부터 시작하며, 타고난 능력으로 자신의 현신이 있는 곳에 있는 침략자를 지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기 때문. 추가로 그 지역에 험지 토큰까지 깔아, 정리한 지역에 다시 침략자가 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NI까지 나온 현재에는 후반에 게임을 접수할 파워를 낼 수 있는 캐리 정령의 숫자도 꽤 늘어났지만, 수호자는 그 중에서도 극단적인 특성을 가진 정령이라고 평가받는다. 다른 캐리 정령들은 초반에도 컨트롤 능력이나 서포팅 능력 등으로 어느 정도의 보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데, 수호자는 초반에는 확장도 느리고 고유 능력도 애매하기에 정말 답답하다. 대신 중반부터는 4번째 성장 능력을 쓰면서 슬슬 성장에 가속이 붙기 시작하고 후반에는 엄청난 에너지와 카드플레이, 그리고 시간이 지날수록 강력해지는 첫 번째 타고난 능력으로 게임을 터뜨려 버릴 수 있다.

    다른 정령이 후반에 강력해진다 하더라도 3단계 침략부터 이곳저곳에서 물밀듯이 들어오는 침략자들을 못 막는 경우도 있는 반면, 수호자는 특성상 섬 중심부부터 깔끔히 정리하는 타입이기 때문에 후반만 간다면 거의 확실한 승리를 보장한다. 그렇기에 수호자는 파트너로 자신을 보조해줄 수 있는 서포터보다는 1~3턴을 버티는데 도움을 주는 탱커 타입을 선호하는데, 어차피 중반부터는 4번째 성장 옵션을 써서 알아서 무럭무럭 크기 때문. 4번째 성장 능력과 첫 번째 타고난 능력이 워낙 발군이고, 후반으로 갈 수록 침입자들을 말 그대로 갈아버리며 강력한 주요 능력을 난사할 수 있어 각종 커뮤니티에서 꽤 상위 티어 정령으로 평가받는다.

2.1.1. 퍼져나가는 적의 양상

이름 퍼져나가는 적의(Spreading Hostility)
복잡도 더 복잡함
다음을 대체 가장 오른쪽 성장 옵션[2], 에너지 수입이 줄어듭니다.
준비 에너지 1을 얻습니다.
효과 인간에게 적대적인 대지(Lands Hostile to Humanity)
당신의 파일:Sacredsiteicon.png파일:Badlands.svg로 취급할 수 있습니다.(각 액션마다 선택)
가르침의 씨앗이 움트고 자라다(Seeds of Teaching Sprout and Grow)
당신이 위쪽 현신 트랙에서 얻는 에너지 수입이 절반이 됩니다.(소수점 이하 올림)
가차 없고 퍼져가는 적개심(Implacable and Spreading Enmity)
당신의 가장 오른쪽 성장 옵션을 다음으로 대체한다:
파일:spreading_hostility_growth_option.png

불 원소 획득

현신 1칸 옮기기

현신 1칸 옮기기

사정거리 0 지역에 피해 1

자연의 화신에 추가된 양상. 수호자의 OP성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었던 4번 성장 옵션과 높은 에너지 수입을 약화시키는 대신, 화력에 좀 더 힘을 실어주었다.
원래 수호자가 후반 지향형 정령이었다면, 이 양상은 성소가 불모지 취급된다는 능력 + 현신을 이동시킬 수 있는 4번째 성장 옵션을 이용해서 마치 들불과 같은 템포 정령처럼 운영하게 된다. 이 때 수호자의 스타팅(가장 높은 정글 지역) + 험지에만 깔 수 있는 성장옵션으로 인해 섬 중심부부터 천천히 정리해나가는 식으로 플레이 스타일이 정해진다. 사실 원래 수호자는 빠르면 2턴부터 4번 성장 옵션을 누르며 멀리까지 확장할 수 있었던 걸 생각하면 오히려 이 쪽이 더 디자인 컨셉에 맞는 편이다.
보통은 너프의 정도가 너무 크기 때문에 원래 수호자보다 한참 약한 버전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맞다. 일단 현신을 한 턴에 2개씩 깔 수 있는 수단이 사라짐으로써 성장과 확장이 크게 지체되고, 원래 2-9 로 최상위권이었던 에너지 수입은 1-5로 평범해진다는 것이 매우 큰 단점이기 때문. 하지만 이 게임에서 초반 침략자를 정리하고 고립 구역을 만들 수 있다면 그 밸류가 굉장히 크기 때문에 원본보다 마냥 안 좋다고 할 수는 없다.[3] 오히려 스웨덴이나 프로이센 등 초반 템포가 중요한 매치업에서는 원판보다 더 잘 활약할 수 있다. 여러모로 원래 중후반에 너무 극단적으로 강력했던 수호자보다 더 컨셉에 어울리는/밸런싱된 버전이라고 볼 수 있으며, 적대국이나 같은 팀 정령[4] 조합에 따라 더 나은 성능을 보여줄 수도 있다는 점에서 꽤 잘 만들어진 양상이다.

2.2. 수풀 뒤에 웅크린 날카로운 송곳니

이미지 파일:Sharp_Fangs_Behind_the_Leaves.png
이름 수풀 뒤에 웅크린 날카로운 송곳니
Sharp Fangs Behind the Leaves
특수 규칙 맹수의 동맹군(Ally of the Beasts) : 당신의 파일:Presenceicon.png파일:beastsicon.png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언제든 파일:beastsicon.png가 당신의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할 때 파일:Presenceicon.png 1개를 함께 옮길 수 있다.)
야수를 부르다(Call Forth Predators) : 각 정령 단계 동안, 당신의 파일:Presenceicon.png 1개를 파일:beastsicon.png 1개로 바꿀 수 있다. 교체된 파일:Presenceicon.png은 게임에서 제거된다 (이는 파괴된 것이 아니므로, 파괴된 파일:Presenceicon.png을 되어가져오는 능력으로 이 파일:Presenceicon.png을 다시 가져올 수 없다).
성장 두 가지 선택
파일:Energy_1.png 비용파일:Reclaimall.png

카드 회수
파일:Gaincardicon.png

능력 카드 획득
+ 파일:Presenceicon.png
파일:JungleLand.png 혹은 파일:beastsicon.png
3
파일:Rangeicon.png
정글 혹은 맹수가 있는 있는 지역 한 곳에, 현신 1개 추가
파일:Gaincardicon.png

능력 카드 획득
파일:Energy_Plus_1.png

에너지 획득
파일:Energy_Plus_3.png

에너지 획득
현신 트랙 에너지/차례: 파일:Energy_1.png - 파일:Eanimal.png - 파일:Eplant.png - 파일:Energy_2.png - 파일:Eanimal.png - 파일:Energy_3.png - 파일:Energy_4.png
카드 사용: 파일:Cardplay2.png - 파일:Cardplay2.png - 파일:Cardplay3.png - 파일:Reclaimone.png[카드1장회수] - 파일:Cardplay4.png - (파일:Cardplay5.png파일:Reclaimone.png[카드1장회수])
타고난 능력 원거리 사냥(Ranging Hunt)
속도: 파일:Fasticon.png 사정 거리: 1 대상: 파일:Blighticon.png이 없는 지역
2 파일:Simple_animal.png : 파일:beastsicon.png 1개를 끌어올 수 있다.
2 파일:Simple_plant.png 3 파일:Simple_animal.png : 파일:beastsicon.png 1개당 피해 1.
2 파일:Simple_animal.png : 파일:beastsicon.png를 2개까지 밀어낼 수 있다.
난폭한 습격(Frenzied Assault)
속도: 파일:Slowicon.png 사정 거리: 1 대상: 파일:beastsicon.png가 있는 지역
1 파일:Simple_moon.png 1 파일:Simple_fire.png 4 파일:Simple_animal.png : 파일:Fearicon.png1 그리고 피해 2. 파일:beastsicon.png 1개 제거.
1 파일:Simple_moon.png 2 파일:Simple_fire.png 5 파일:Simple_animal.png : 파일:Fearicon.png+1 그리고 피해+1.
준비 당신의 시작 보드에 있는 가장 높은 숫자의 정글에 파일:Presenceicon.png 1개와 파일:beastsicon.png 1개를 놓습니다. 섬 전체에서 파일:beastsicon.png가 있는 지역 한 곳을 골라 그 곳에 파일:Presenceicon.png 1개를 놓습니다.
진행 스타일 정글과 맹수, 이 두 단어로 요약됩니다.
초반에는 굉장히 빠르지만 다른 몇몇 정령이 보여주는 후반 뒷심은 좀 부족합니다. 오염된 지역에서는 제대로 힘쓰기가 어려울 것입니다. 타고난 능력인 "원거리 사냥"은 핵심 중의 핵심입니다. 특히 게임 초반에 빛을 발하죠. 이 능력을 잘 활용한다면 차례가 돌아올 때마다 맹수 토큰을 이동시키면서 그와 동시에 길 잃은 탐험가/마을도 암살할 수 있습니다.
복잡도 중간
능력 분석 공격
조종
공포
방어
기능
[ 배경 이야기 ]
> 이 정령은 정글의 포식자 정령이자 동물과 인간 모두의 추적자 겸 사냥꾼입니다. 이 정령이 머무르는 곳이면 어디든 사나운 육식동물들이 나타나며 정글에는 어두움과 불길함이 깔립니다.
'날카로운 송곳니'는 다한과 교류하는 데 신경을 쓰지 않습니다. 가끔은 다한을 사냥하기도 하고 쫓아내기도 하지만, 대체로는 다한을 무시하는 편입니다. 예부터 내려오는 다한의 전설 속에는 '날카로운 송곳니'가 다한을 맹렬히 사냥하던 시절의 이야기가 담겨 있습니다. 그 다한 사냥은 어떤 쌍둥이 남매 전사들의 활약으로 종지부를 찍었습니다. 그 전사들은 덫과 속임수로 '날카로운 송곳니'를 몰아냈고, 그 뒤 상황이 역전되어 '날카로운 송곳니'가 쫓기는 형국이 되었다고 합니다. 그 때부터 이 정령은 다한을 사냥감으로만 취급하지 않고 일종의 경외심 또한 품게 되었다고 합니다.


  • 특수 규칙
    • 첫 번째 특수 규칙은 천둥과 비슷하게 맹수가 이동할 때 자신의 현신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송곳니의 능력들은 대부분 사정거리가 짧은 편이기 때문에 타고난 능력을 통해 현신을 적재적소에 옮길 필요가 있다.
    • 두 번째 특수 규칙은 현신을 맹수 토큰으로 바꾸는 능력. 맹수를 형상화한 정령이라는 컨셉에 맞추어 현신이 맹수 그 자체가 되는 시스템을 넣은 듯하다. 송곳니의 능력들이나 각종 이벤트는 그 효과가 맹수 토큰의 개수에 비례하는 경우가 꽤 있기 때문에 꽤 유용하다. 하지만 너무 빈번히 사용하면 현신이 남아나질 않으니 적절한 개수는 남겨두도록 하자.
  • 성장 및 현신 트랙
    • 성장 능력은 깃털과 불꽃(프로모)/가지와 발톱의 다른 정령들과 마찬가지로 4가지 중 2가지를 선택하게 되어 있다. 성장 능력들의 효율은 적당한 편인데, 특이하게도 정글이나 맹수 토큰이 있는 곳에만 확장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송곳니는 자연스럽게 섬 곳곳에 있는 정글을 중심으로 거점을 잡은 후, 그 정글을 중심으로 돌아다니며 활약을 하게 된다.
    • 에너지 트랙은 에너지보다는 원소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특히 송곳니 운영에 핵심이 되는 동물 원소를 주로 제공한다. 에너지 수입이 꽤 빈약한 데다가 카드 회수를 하려면 에너지를 또 1씩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송곳니는 주요 능력보다는 자잘한 보조 능력들, 그리고 특히 타고난 능력을 중심으로 활약하게 된다.
    • 카드 사용 트랙은 꽤 준수한 편. 최대 5장까지 늘어날 수 있으며, 최대 레벨에서는 카드를 한 턴에 무려 두 장씩 회수할 수 있어 손패가 좀처럼 마르지 않는다.

  • 타고난 능력
    • 첫 번째 능력은 사실상 송곳니의 초중반 핵심이 되는 능력으로, 맹수 토큰의 이동과 피해를 한꺼번에 제공한다. 사용할 때는 순서에 주의해야 하는데, 지역을 하나 선택한 후 반드시 맹수 1개 끌어오기 -> 맹수 1개당 피해 1 -> 맹수 2개까지 밀어내기 순서로 진행해야 한다. 다른 정령들이 첫 한두턴 정도는 성장에 치중하는 데에 비해 송곳니는 들불과 더불어 첫 턴부터 침략자들을 적극적으로 제거해나갈 수 있으며, 이는 초반부에 침략자들이 퍼져나가지 못하게 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기본적으로는 홀로 있는 탐험가를 손쉽게 처리할 수 있으며, 맹수 토큰을 적당히 모았다면 마을과 도시까지도 공략해볼 수 있다. 다만 이 능력은 오염 토큰이 있는 지역에는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오염 토큰이 있는 곳에서는 송곳니의 활동이 크게 제한된다.
    • 두 번째 능력은 첫 번째보다는 발동하기 어렵지만, 최대 공포2/피해3 까지 줄 수 있으며 오염된 지역에도 사용할 수 있다. 반면 느린 능력인데다 맹수 토큰을 제거해버리는 것은 단점.

  • 고유 능력 카드
    이름 건축가를 노리는 맹수
    Prey on the Builders
    파일:Prey_on_the_Builders.png

    에너지 비용 1

    속도 파일:Fasticon.png

    사정거리 0

    대상 지역 원하는 곳

    원소 파일:Emoon.png파일:Efire.png파일:Eanimal.png

    효과 파일:beastsicon.png 1개를 끌어올 수 있다.
    대상 지역에 파일:beastsicon.png가 있으면, 이번 차례에 침략자들은 그곳에 건설 행동을 하지 않는다.

    이 보조 능력 카드와 비슷하게 건설 행동을 스킵하는 준수한 효과. 송곳니 주변에 맹수 토큰은 항상 넘쳐나고, 사정거리가 짧긴 하지만 타고난 능력으로 현신을 자유자재로 옮길 수 있으니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



    이름 어둠 속에서 빛나는 송곳니들
    Teeth Gleam from Darkness
    파일:Teeth_Gleam_from_Darkness.png

    에너지 비용 1

    속도 파일:Slowicon.png

    사정거리 파일:Junglepresence.png로부터 1

    대상 지역 파일:Blighticon.png이 없는 지역

    원소 파일:Emoon.png파일:Eplant.png파일:Eanimal.png

    효과 파일:Fearicon.png 1. 파일:beastsicon.png 1개 추가
    혹은
    대상 지역에 파일:beastsicon.png와 침략자가 있으면 파일:Fearicon.png 3.

    공포와 맹수 토큰을 추가할 수 있는 카드. 초반에는 맹수 부스팅용으로 사용하게 되며, 중반부터는 다른 1코스트 3공포 카드들과 달리 꽤나 쉬운 조건으로 3공포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 좋은 편이다.



    이름 공포의 추격
    Terrifying Chase
    파일:Terrifying_Chase.png

    에너지 비용 1

    속도 파일:Slowicon.png

    사정거리 0

    대상 지역 원하는 곳

    원소 파일:Esun.png파일:Eanimal.png

    효과 파일:Explorericon.png/파일:Townicon.png/파일:Dahanicon.png 2개를 밀어낸다.
    대상 지역의 파일:beastsicon.png 1개당 추가로 파일:Explorericon.png/파일:Townicon.png/파일:Dahanicon.png 2개를 밀어낸다.

    침략자를 하나라도 밀어냈다면 파일:Fearicon.png 2.

    탐험가/마을/다한을 대규모로 밀어내고 공포를 생성하는 카드. 맹수 토큰이 1개만 있어도 밀어내기/끌어오기 전문인 강물의 능력을 상회하는 데다 추가로 공포를 2나 생성하니 꽤 효율이 좋은 편이다.



    이름 너무 가까운 정글
    Too Near the Jungle
    파일:Too_Near_the_Jungle.png

    에너지 비용 0

    속도 파일:Slowicon.png

    사정거리 파일:Junglepresence.png로부터 1

    대상 지역 파일:Blighticon.png이 없는 지역

    원소 파일:Emoon.png파일:Eplant.png파일:Eanimal.png

    효과 파일:Fearicon.png 1. 파일:Explorericon.png 1개 파괴

    심플하게 공포와 탐험가 파괴를 하는 카드. 송곳니의 다른 능력들이 그렇듯이, 홀로 있는 탐험가 제거에 특화되어 있다.


  • 총평
    맹수를 형상화한 정령이라는 컨셉에 맞추어 정글을 본거지로 떼지어 다니며 탐험가와 소규모 정착지를 하나하나 처리하는 정령. 다른 정령들이 초중반에는 성장에 초점을 맞추고 중후반에 강력한 주요 능력 등으로 활약한다면, 송곳니는 극초반부터 활약하며 초동대처에 능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타고난 능력을 비롯해 여러 능력이 홀로 있는 탐험가 처리/건설 방지에 특화되어 있고, 기동성도 매우 좋은 편이라 초반부터 섬 곳곳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초반에만 강력한 것도 아닌 것이, 현신을 최대로 깔면 매 턴 카드를 4에너지/5카드에 2장회수가 가능하기 때문에 후반에도 강력한 콤보를 매 턴 쓸 수 있다. 특히 주요능력카드 중에는 끝없이 먹어치우는 벌레 무리바다 괴물들, 사냥에 나서는 호랑이 등 성능이 준수하고 동물 원소/동물 토큰이 많으면 효과가 더더욱 강해지는 카드들이 있으므로 이런 카드들을 최대 효율로 매 턴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무시못할 장점.
    반면 단점은 오염된 지역에서 활약이 제한되고, 후반으로 갈 수록 생기는 대규모 정착지를 처리하기 어렵다. 다른 정령들이 어마어마한 주요 능력으로 활약할 때, 송곳니는 에너지가 부족한 편이라 주요 능력을 비교적 많이 활용하기 힘들고, 타고난 능력/능력 카드도 소규모 교전에 특화되어 있기 때문. 하지만 후반을 가더라도 (특히 3단계 침략부터는) 곳곳에 하나씩 새로 생기는 탐험가/정착지를 처리하는 것은 중요하므로 제역할은 충분히 할 수 있는 편이다. 전체적으로 명확한 장단점과 플레이 스타일을 가진 정령이며, 각종 커뮤니티에서는 보통 중위권 티어 정도로 평가받는다.
    이외에도, 각종 이벤트 카드나 주요 능력 카드 중 맹수 토큰과 상호작용하는 카드가 많기 때문에 플레이 중에 의도치 않은 이득을 보는 경우가 꽤 있다.

2.2.1. 포위 양상

이름 포위(Encircle)
복잡도 동일
다음을 대체 맹수의 동맹군[7], 원거리 사냥[8]
준비 -
효과 무리 사냥(Pack Hunting)
당신의 능력들은 파일:beastsicon.png가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할 때 +1 사정거리를 얻습니다.
방심한 먹잇감을 포위하다(Encircle the Unsuspecting Prey)
속도: 파일:Slowicon.png 사정 거리: 1 대상: 원하는 곳
1 파일:Simple_plant.png 2 파일:Simple_animal.png : 대상 지역 혹은 인접한 지역에 파일:beastsicon.png 1개를 끌어올 수 있다. 그렇게 한다면, 그 지역에 피해 1.
1 파일:Simple_moon.png 3 파일:Simple_animal.png : 대상 지역으로부터 1 사정거리 내에 파일:beastsicon.png이 둘 이상 있다면, 피해 1.
1 파일:Simple_moon.png 2 파일:Simple_plant.png 4 파일:Simple_animal.png : 파일:beastsicon.png이 있는 인접한 지역 하나마다, 피해 1.
자연의 화신 확장에 추가된 양상. 기존의 송곳니는 맹수들을 이끌고 다니며 한 지역에 맹수 토큰 수에 비례해 피해를 주는 방식이었으므로 맹수를 한 지역에 몰아서 배치하는 게 이득인데, 이 양상은 맹수가 있는 주변 지역 수에 비례해 피해를 주므로 메커니즘상 맹수 토큰을 여러 지역에 퍼뜨리는 플레이 스타일을 가지게 된다. 또한 패시브로 맹수 토큰이 있는 지역을 타겟팅할 때 +1 사정거리를 얻으므로, 맹수를 퍼뜨려 놓으면 자연스럽게 다른 능력을 사용할 때도 유연성을 얻게 된다. 맹수 관련 이벤트 자체도 맹수 토큰이 섬 곳곳에 퍼져 있을 때 더 이득인 경우가 꽤 있으므로[9] 이런 면에서도 이득을 보게 된다.
바뀐 능력은 원래 능력에 비해 일장일단이 있다. 초반에는 원래 능력보다 발동하기가 훨씬 쉬운 대신[10] 대미지 기댓값은 1-2대미지로 현저히 떨어지는 편이고[11], 중후반에는 원래 능력의 경우 끌어오는/밀어내는 맹수 토큰 수가 제한돼있기 때문에 매 턴 최대 피해를 기대하기는 힘들었던 반면, 원소 조건은 조금 더 까다롭긴 하지만 자신이 이미 장악한 지역에는 높은 피해량을 매 턴 기대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초반부 템포를 조금 희생한 대신 유연성과 후반 밸류를 살린 양상.

2.2.2. 족쇄풀린 양상

이름 족쇄풀린(Unconstrained)
복잡도 더 단순함
다음을 대체 야수를 부르다[12]
준비 -
효과 황폐화된 땅에 족쇄풀린 맹수들(Unconstrained by Ravaged Lands)
"원거리 사냥"[13] 능력이 이제 파일:Blighticon.png이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할 수 있습니다.
포식자가 깨어나다(Predators Arise)
각 정령 단계마다, 파일:beastsicon.png 1개를 준비하거나(정령 보드 옆에 둡니다.), 준비된 파일:beastsicon.png 중 원하는 만큼 당신의 지역 중 하나에 추가한다.

자연의 화신에서 추가된 양상. 원래 송곳니는 핵심인 왼쪽 타고난 능력을 오염이 있는 지역에 쓰지 못하는 게 단점이었지만, 심플하게 그 단점을 없애준다. 또한 원래 정령 단계에서 현신 하나를 맹수로 바꿀 수 있었는데 그 패시브를 없애는 대신, 매 턴마다 맹수 하나를 준비하거나 준비된 맹수를 원하는 만큼 자신의 지역에 추가할 수 있다.

원래 정령에 비해서 단점이 크게 없기 때문에 당연히 더 좋긴 하지만, 크게 나아진 점도 없기 때문에 거의 비슷한 느낌으로 플레이할 수 있다. 원본 정령과 거의 차이가 나지 않는 양상 중 하나.


[카드1장회수] 자신의 버린 카드 더미에 있는 능력 카드 1장을 손으로 가져온다.[2] 3에너지 비용으로 현신 깔기 + 능력 카드 얻기를 하는 성장 옵션[3] 이 양상은 무려 1턴부터 성장 옵션만으로 2피해를 주며 마을/탐험가를 정리할 수 있는데, 이는 그 빠르다는 들불도 못하는 것이다.[4] 같이 고립 구역을 만들 수 있는 템포/컨트롤 정령이면 더 좋다.[카드1장회수] [카드1장회수] [7] 맹수 토큰이 이동할 때 현신이 같이 이동할 수 있게 하는 패시브[8] 맹수를 모으고 데미지를 준 후 밀치는 원래 타고난 능력[9] 맹수마다 탐험가를 파괴하는 이벤트나 맹수마다 건물에 피해를 주는 이벤트 등은 아무래도 맹수 토큰이 퍼져 있을 수록 더 많은 지역을 정리할 수 있으므로 이득이다.[10] 2풀 3동물 -> 1풀 2동물[11] 단적으로 원래 능력으로는 초반에 탐험가+마을을 쉽게 정리할 수 있지만 이 양상으로는 불가능하다.[12] 정령 단계마다 현신 하나를 맹수로 바꿀 수 있는 원래 패시브[13] 맹수를 모으고 피해를 주고 밀쳐내는 원래 타고난 능력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