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6 14:55:03

정령왕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동명의 인터넷 방송인에 대한 내용은 정령왕(인터넷 방송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동명의 인터넷 방송인:
정령왕(인터넷 방송인)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1. 개요2. 창작물에서 주로 정령왕의 이름으로 쓰이는 목록3. 인터넷방송인/정령왕

1. 개요



정령들의 . 정령들을 지배하며, 정령들 중에서도 최상급의 마력을 가진 존재를 의미한다.
정확한 시초는 알 수 없으나 수많은 서양 판타지에 영향을 준 로도스도 전기에서 등장하는 상위 정령들의 별칭이 잘못 전해져서 정령왕이라 불리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로도스도 전기에는 기본 정령들을 다스리는 보다 강한 정령인 상위 정령이라는 개념이 등장하는데 정확히는 불의 상위 정령(이프리트)과 바람의 상위 정령(), 얼음의 상위 정령(펜릴)과 땅의 상위 정령(베히모스) 등이 있다. 그 외에도 번외 정령왕으로 생명의 순환을 담당하는 상위 정령인 피닉스도 존재하고, 여러 상위 정령들 중 이프리트와 진이 각각 불꽃의 왕, 바람의 왕이라는 별칭이 있었다. 이것이 조금 특이하게 정착된 것이 정령왕이라는 호칭인 셈. 실제로 로도스도 전기 중에서 정령왕이라는 호칭이 사용되진 않았었다. 디드리트는 바람의 왕 과 계약을 맺어 불꽃의 왕과 대적했다. 피닉스와도 나름대로 정식 계약을 맺은 사이라, 로도스도 전기 완결 이후 출간된 하이엘프의 숲에서 안개 형상의 언데드를 상대로 피닉스를 소환해 그 위용을 과시한 전적이 있다. 바람의 마도사에서 정령왕의 존재가 나오면서 정령들의 계급 책정이 유행했고, 사이케델리아서는 하급 정령을 성장시켜서 정령왕을 이길 수 있다는 개념을 제시했으나 이 설정은 그다지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2000년대 초부터 정령왕이 등장하는 많은 작품들이 나타났지만 정령왕 이미지의 확립은 정령왕 엘퀴네스와 정령왕의 딸 이후 이뤄졌다.

2. 창작물에서 주로 정령왕의 이름으로 쓰이는 목록

#1, #2, #3, 단순나열

대부분의 소설에서 4대 정령 이외의 정령들은 출현하지 않으나, 작가의 취향에 따라 여러 속성의 정령들이 추가되기도 한다. 이 경우 바리에이션은 죄다 제각각이나 대체로 아래의 이름들이 공통적으로 빈도가 높게 나타나는 편이다. 등장 빈도 자체는 얼음의 정령왕이 높으나 이 정령왕은 특히나 작가마다 이름이 통일되지 않아 중구난방이다.
  • 기타
    • 드라이어드(Dryad)
    • 아르카네(Archane)
    • 히에로스(Hieros)

선술했듯이 이 개념이 동양 창작물에서 나와서 그런지 서양 창작물에서는 해당 이름을 쓰는 정령왕 또는 개체의 이름이 제대로 번역되어 나오지 않는 경우가 있다.
  • 태극천자문 - 정령왕: 특이하게 2명이다. 태극문양을 본떠서 그런 듯. 다른 정령들이 백호, 청룡모양인데 비해 남성과 여성의 모습을 가지고 있다.


3. 인터넷방송인/정령왕

정령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