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5 11:24:04

정세영(야구선수)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570514> 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키움 히어로즈
2026 시즌 투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0 박주성 · 8 김성민 · 11 이강준 · 13 정현우
· 19 김윤하 · 20 조영건 · 21 이준우 · 30 주승우
· 31 오석주 · 35 박윤성 · 37 손힘찬 · 40 이태준
· 41 안우진 · 42 메르세데스 · 43 조성훈 · 46 원종현
· 49 김선기 · 50 하영민 · 54 알칸타라 · 55 양지율
· 59 김서준 · 62 전준표 · 63 손현기 · 66 이승호
· 67 김인범 · 68 김연주 · 69 김주훈 · 77 정세영
· 80 박승호 · 82 임진묵 · 83 오혜성 · 84 백진수
· 85 정동준 · 94 박정훈 · 95 윤석원 · 96 윤현
· 99 김동규 · 00 오상원 · 100 김성진 · 102 이우석
· 104 한민우 · # 박준현 · # 박지성 · # 정다훈
· # 이태양 · # 최현우 · # 김태언 · # 박준건
· # 김유빈
최종 편집: 2025년 10월 4일
프런트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등록 선수육성선수응원단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키움 히어로즈 등번호 77번
이병규
(2024)
정세영
(2025~)
현역
파일:정세영프로필.jpg
<colbgcolor=#570514><colcolor=#FFFFFF> 키움 히어로즈 No.77
정세영
Chung Seyoung
출생 2006년 9월 23일 ([age(2006-09-23)]세)
서울특별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학동초 - 언북중 - 경기상고
신체 177cm[1] | 82kg
포지션 투수
투타 좌투좌타
프로 입단 2025년 8라운드 (전체 71번, 키움)
소속팀 키움 히어로즈 (2025~)
연봉 2025 / 3,000만 원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2.2. 키움 히어로즈
2.2.1. 2025 시즌
3. 플레이 스타일4. 연도별 성적5. 여담6. 관련 문서

1. 개요

키움 히어로즈 소속 좌완 투수.

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파일:경기상고_정세영.jpg

2018년 제3회 이천시장기 양준혁 전국 초등학교 야구대회에서 대회 MVP를 수상했다.

2024년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 결승에서 투구수 제한을 꽉 채워 6.2이닝을 책임지며, 팀을 창단 후 첫 전국대회 결승으로 이끌었지만 전주고에 패해 아쉬운 준우승을 기록했다. 2024년 총 16경기 등판해 7승 0패 50⅔이닝 ERA 1.06 WHIP 0.94를 기록하는 등 뛰어난 활약을 했다.

2.2. 키움 히어로즈

2025 KBO 신인 드래프트 8라운드 키움의 지명을 받았다.

2.2.1. 2025 시즌

6월 12일 정식선수 전환과 함께 1군에 콜업되었다.

6월 17일 고척 SSG전 크게 지고 있던 상황에 올라왔다.[2] 1이닝 무피안타 무실점 1사사구를 기록했다.

6월 22일 대전 한화전에서 1이닝 3피안타 2실점을 기록했다.

6월 25일 고척 KIA전에서 0이닝 3피안타 1실점(무자책)을 기록했다.

8월 3일 고척 롯데전에 선발로 등판했다. 상대팀 1번 장두성과 2번 고승민을 연달아 삼진으로 처리하며 출발이 좋았으나, 3번 손호영 - 4번 레이예스 - 5번 윤동희에게 연속안타 맞고 1실점[3] 후 6번 전준우 - 7번 유강남 - 8번 한태양에게 연속 사사구를 내주며 밀어내기 두번에 3실점을 하고 임진묵과 교체됐다. 다행히도 임진묵이 9번 타자 박승욱을 삼진처리하며 추가 실점은 없었다. 이후 팀이 9:3으로 패배하며 패전 투수가 되었다. 최종 성적은 0.2이닝 3피안타 3실점 3사사구 2탈삼진을 기록했다.

3. 플레이 스타일

크지 않은 신장과 평균 구속이 약 138km/h, 최고 구속이 143km/h로 빠른 공을 던지는 투수는 아니지만 뛰어난 체인지업을 포함해 완성도 높은 변화구를 구사할 수 있는 좌완 투수다. 포심 회전수가 2300~2400 대로 구속 보다 구위가 좋은 투수 중 한명이다. 같은 팀에 김재웅과 비슷한 유형으로 볼 수 있다.[4]

4. 연도별 성적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정세영의 역대 KBO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WHIP ERA- sWAR
2025 키움 4 0 1 0 0 2.2 16.88 9 0 4 0 2 4.88 432.55 -0.28
KBO 통산
(1시즌)
4 0 1 0 0 2.2 16.88 9 0 4 0 2 4.88 432.55 -0.28

5. 여담

  • 2025 KBO 드래프트에서 경기상고는 추세현, 임진묵, 임다온, 정세영, 한지윤, 유재현 등 6명이 지명을 받아 그 해 드래프트 최다지명교에 이름을 올렸다.
  • 비공식으로 147km/h를 던졌다고 한다.

6. 관련 문서


[1] 고교시절 착화신장 프로필은 180cm[2] 이것으로 키움은 당해 신인 12명이 1군에 데뷔하는 기록을 세웠다.[3] 이 중 윤동희의 안타는 바가지 안타였다.[4] 김재웅도 마찬가지로 포심과 체인지업을 주로 사용한다. 다른 점은 김재웅 같은 경우에는 수직무브먼트가 거의 KBO 최상위급에 속할 절도로 좋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