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color=#fff><colbgcolor=#000> 제프리 엡스타인 Jeffrey Epstein | |
| |
본명 | 제프리 에드워드 엡스틴[1] Jeffrey Edward Epstein |
출생 | 1953년 1월 20일 |
미국 뉴욕주 브루클린 | |
사망 | 2019년 8월 10일 (향년 66세) |
미국 뉴욕주 광역 교정 시설[2] | |
국적 |
|
학력 | 뉴욕 대학교 중퇴 |
직업 | 금융인 |
1. 개요
미국의 자수성가한 억만장자 금융인이자 아동 성범죄자.2. 생애
평범한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나서 쿠퍼 유니언에 입학했다가 뉴욕 대학교의 쿠란트 수학 연구소로 편입했으나 학위는 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사립 학교 달튼스쿨에서 수학, 물리를 가르치다가 베어스턴스 회장 아들의 과외 선생을 한 인연으로 1976년에 베어스턴스에 입사하면서 금융계에 입성했다. 베어스턴스 인사 담당자가 넷플릭스 다큐멘터리《제프리 엡스타인: 괴물이 된 억만장자》에서 발언한 바에 따르면 당시 그는 제프리의 이력서 학력이 거짓임을 알아내고 해고를 위해 면담 과정에서 자백을 받고도 용서해 준 것이 일생의 후회로 남았다고 한다.이후 월 스트리트로 무대를 옮겨 애버크롬비 & 피치, 빅토리아 시크릿 CEO 레슬리의 자산을 관리하면서 부를 축적했다. VVIP만을 대상으로 하는 자산 투자사를 설립하였고 수십억 달러에 달하는 자산과 막대한 인맥을 손에 쥐었다.
유대인인 제프리 엡스타인이 이스라엘의 모사드 요원으로서 유력인사들에게 허니 트랩을 실행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있다.#
터커 칼슨: 제 생각에 진짜 답은 제프리 엡스타인이 정보기관을 위해 일하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그것은 아마 미국이 아닐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그가 누구를 위해 일했는지 물어볼 권리가 있습니다. 70년대 후반 달튼 스쿨에서 대학 학위 없이 수학 교사로 일하던 이 사람이 어떻게 여러 대의 비행기, 개인 섬, 맨해튼에서 가장 큰 주택을 갖게 되었을까요? 그 모든 돈은 어디서 나왔을까요? 아무도 그 진실을 밝히지 못했습니다. 아무도 시도조차 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터커 칼슨: 게다가, 이 사람이 외국 정부와 직접적인 연줄이 있었다는 것은 누구든 지켜보면 너무나 명백합니다. 그 외국 정부가 이스라엘이라고 말하는 것은 누구에게도 허락되지 않습니다. 우리는 어떻게든 그것이 나쁜 짓이라고 생각하도록 겁먹었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말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 아닙니다. 증오심이 담긴 말도 아닙니다. 반유대주의적인 말도 아닙니다. 반이스라엘적인 것도 없습니다.
(중략)
터커 칼슨: 그러니까 정부 기관의 행동을 비판한다고 해서 증오하는 사람이 되는 게 아니라는 거죠. 오히려 자유로운 사람이 되고, 시민이 되는 거죠. 노예가 아니기 때문에 그렇게 할 수 있는 겁니다. 시민이니까요. 그리고 정부가 당신의 이익에 반하는 행동을 하지 않을 거라고 기대할 권리가 있습니다. 그리고 외국 정부가 당신의 이익에 반하는 행동을 하지 못하도록 요구할 권리가 있습니다. 그건 소름 끼치는 일이 아닙니다. 금지되어서는 안 됩니다. 그런데도 우리 모두는 그런 말을 하면 안 된다고 생각하도록 훈련되어 왔습니다.
Tucker Carlson’s Message to America on the Epstein Cover-Up
터커 칼슨: 게다가, 이 사람이 외국 정부와 직접적인 연줄이 있었다는 것은 누구든 지켜보면 너무나 명백합니다. 그 외국 정부가 이스라엘이라고 말하는 것은 누구에게도 허락되지 않습니다. 우리는 어떻게든 그것이 나쁜 짓이라고 생각하도록 겁먹었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말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 아닙니다. 증오심이 담긴 말도 아닙니다. 반유대주의적인 말도 아닙니다. 반이스라엘적인 것도 없습니다.
(중략)
터커 칼슨: 그러니까 정부 기관의 행동을 비판한다고 해서 증오하는 사람이 되는 게 아니라는 거죠. 오히려 자유로운 사람이 되고, 시민이 되는 거죠. 노예가 아니기 때문에 그렇게 할 수 있는 겁니다. 시민이니까요. 그리고 정부가 당신의 이익에 반하는 행동을 하지 않을 거라고 기대할 권리가 있습니다. 그리고 외국 정부가 당신의 이익에 반하는 행동을 하지 못하도록 요구할 권리가 있습니다. 그건 소름 끼치는 일이 아닙니다. 금지되어서는 안 됩니다. 그런데도 우리 모두는 그런 말을 하면 안 된다고 생각하도록 훈련되어 왔습니다.
Tucker Carlson’s Message to America on the Epstein Cover-Up
나폴리타노 판사: 네타냐후 총리가 여기 있는 동안 정부가 엡스타인 관련 파일에 대해 180도 입장을 바꿨고, 법무장관이 그 파일들이 제 책상 위에 있으며 지금 검토 중이라고 말한 후 고객 명단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밝힌 것과 어떤 연관성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아니면 그에 대한 분석을 제시해 주시겠습니까? 네타냐후 총리의 여기 방문과 그의 기지 관련 발표에 대해 이 기이하고 불쾌한 발언 사이에 어떤 연관성이 있습니까?
존 미어샤이머 교수: 연관성을 보여주는 확실한 증거는 없지만, 맥스 블루멘탈이 얼마 전 진행한 쇼에서 말했듯이 제프리 엡스타인이 모사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을 가능성이 크지만, 아마도 CIA와도 연관되어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는 정황 증거가 많이 있습니다.
(중략)
나폴리타노 판사: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 노동부 장관이자 엡스타인과의 유죄 인정 협상을 담당했던 알렉산더 아코스타 뉴욕 남부지검 검사는 자신이 정보기관 요원이었다고 밝혔습니다. 모사드가 성매매를 무기이자 정보 수집 도구로 사용하는 것은 모사드가 할 수 없는 일일까요?
존 미어샤이머 교수: 아, 절대 아닙니다. 제프리 엡스타인은 활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인물이었습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확실한 증거는 없지만, 정황 증거는 압도적입니다.
그리고 트럼프가 이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들을 때, 그가 지나치게 항의하는 모습을 보게 된다는 점도 지적하고 싶습니다. 그는 너무 방어적이어서 그가 드러내고 싶어 하지 않는 무언가가 여기서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거의 확신하게 됩니다. 그리고 우리는 확실히 알지 못합니다. 그것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이스라엘과 관련이 있다는 느낌이 분명히 듭니다.
영상, 전문
존 미어샤이머 교수: 연관성을 보여주는 확실한 증거는 없지만, 맥스 블루멘탈이 얼마 전 진행한 쇼에서 말했듯이 제프리 엡스타인이 모사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을 가능성이 크지만, 아마도 CIA와도 연관되어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는 정황 증거가 많이 있습니다.
(중략)
나폴리타노 판사: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 노동부 장관이자 엡스타인과의 유죄 인정 협상을 담당했던 알렉산더 아코스타 뉴욕 남부지검 검사는 자신이 정보기관 요원이었다고 밝혔습니다. 모사드가 성매매를 무기이자 정보 수집 도구로 사용하는 것은 모사드가 할 수 없는 일일까요?
존 미어샤이머 교수: 아, 절대 아닙니다. 제프리 엡스타인은 활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인물이었습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확실한 증거는 없지만, 정황 증거는 압도적입니다.
그리고 트럼프가 이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들을 때, 그가 지나치게 항의하는 모습을 보게 된다는 점도 지적하고 싶습니다. 그는 너무 방어적이어서 그가 드러내고 싶어 하지 않는 무언가가 여기서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거의 확신하게 됩니다. 그리고 우리는 확실히 알지 못합니다. 그것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이스라엘과 관련이 있다는 느낌이 분명히 듭니다.
영상, 전문
2.1. 성범죄 사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프리 엡스타인 성범죄 사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프리 엡스타인 성범죄 사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2. 수감 및 사망
아동 성범죄자는 교정 시설에서 다른 수감자들로부터 위해를 당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뉴욕 메트로폴리탄 교정 센터에 수감되었을 때 다른 수감자들의 매점 계좌에 거액의 돈을 입금했다고 한다. #CBS 뉴스는 그의 사망 당일 감방에서 비명 소리가 들렸다고 보도했고 10일과 11일 트위터에선 #제프리엡스타인살인, #ClintonCrimeFamily(클린턴 마피아), #ClintonBodyCount(클린턴의 시체 수), #TrumpEpstein(트럼프와 엡스타인), #TrumpBodyCount(트럼프 관련 사망자 수) 등의 해시태그가 순위에 올랐다.
2.2.1. 타살 논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4시간 감시를 받는 사람이 죽었다고?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나. 엡스타인은 빌 클린턴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었고, (그 결과) 그는 죽었다"는 보수 성향 코미디언의 글을 리트윗하며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3]을 배후로 지목했다. 반대로 클레어 매캐스킬 전 민주당 상원 의원은 "높은 곳에서 악취가 진동한다. 어떻게 조력 없이 교도소에서 목을 매 죽을 수 있나. 불가능하다. 만약…."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을 배후로 지목했다.[4] # 엡스타인 스캔들에 정재계 초거물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자살이 아닌 살해된 것이란 음모론이 미국을 뜨겁게 달궜다. # 이전부터 퍼졌던 피자게이트 음모론과도 연관되었다.정작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도 일론 머스크의 폭로에 의하면 성접대받은 인원이다. 일론 머스크까지 가지 않아도 십수 년간 트럼프와 엡스타인이 친근하게 찍힌 사진이 여럿 존재한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트럼프가 엡스타인에게 음란한 그림이 그려진 편지를 보냈다고 2025년 7월 보도했고, 이에 트럼프는 전례 없는 규모의 소송을 제기했다.#
뉴욕시 검시관 바바라 샘슨은 그가 목을 매달아 자살한 것으로 판정을 내렸으나 엡스타인의 변호사들은 부검 결과로 나온 척추골의 골절이 자살이 아닌 타살로 인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의 사망 당일 엡스타인의 감방 앞 카메라가 촬영되지 않았고 담당 간수들이 규정을 위반하고 갑자기 자리를 비운 것이 밝혀지고 법원 서류에서 성 접대 리스트의 존재가 공개된 후 바로 다음 날에 사망했다는 점에서 그가 타살당했다는 미국 언론들의 주장과 국민들의 불신을 지우긴 힘들 것으로 보인다. # 일단 교도소 및 FBI쪽 주장은 24시간마다의 정기적 리붓이고, 이전에도 앱스틴이 자살 시도를 하였으며, 부검 결과에도 타살 흔적이 없기에 자살로 잠정 추정하고 있다.
뉴욕 맨해튼에 있던 고급 대저택은 2021년 3월에 약 5,100만 달러(한화 580억)에 팔렸다. 저택 사진
엡스타인의 죽음에 대한 석연치 않은 정황이 계속 발굴되고 있다. 워싱턴 포스트에 의하면 부검 결과를 살펴본 결과 목뼈 골절과 관련하여 타살 증거로 해석될 수도 있는 흔적이 발견되었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프리 엡스타인 성범죄 사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프리 엡스타인 성범죄 사건#도널드 트럼프 연루 논란|도널드 트럼프 연루 논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025년 7월 8일, 전월부터 도날드 트럼프 연루 의혹이 불거지자 팸 본디 법무장관은 엡스타인과 관련된 의혹이 사실이 아니라며 소위 엡스타인 파일을 공개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는데, 이는 자기 책상 위에 있다던 지난 3월의 발언을 뒤집는 것인 데다가 이때 함께 감옥 CCTV '원본' 영상이라며 제시한 파일에 편집 흔적이 역력해 논란에 불을 지폈다. 트럼프 1기 시점에 사망했던 엡스타인에 대한 논란이 트럼프 2기에 다시 불거진 것이다. 상세 내용은 위 문서 참고.
[1] 현재 한국에서는 엡스타인으로 많이 알려져 있고, 영미권 화자들 사이에서도 아인슈타인(Einstein)을 '아인스타인'(/ˈaɪnˌstaɪn/)으로 발음하는 것처럼, 독일계 인명의 'ei'를 /aɪ/로 발음한다는 인식이 있어서 엡스타인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 다만, 본인의 발음에 따르면 엡스틴(/ˈɛpstiːn/)이 맞다. 영어가 발음이 불안정하기로 유명한 언어다 보니, 영어 이름의 발음은 본인의 의향을 최우선으로 반영하기 때문이다.[2] 메트로폴리탄 교정 센터(Metropolitan Correctional Center)[3] 임기 중에 지퍼게이트(또는 르윈스키 스캔들)라는 성 스캔들을 일으킨 바 있다.[4] 특히 트럼프는 대통령 시절에 포르노 배우인 스토미 대니얼스와의 성 스캔들과 관련된 사건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