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회의 1차전과 2차전 일정과 맞춰 진행되는 대회에 대한 내용은 제26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 문서 참고하십시오.
역대 농심백산수배 일람 | ||||
제1회 농심백산수배 세계바둑 시니어 최강전 | → | 제2회 농심백산수배 세계바둑 시니어 최강전 | → | 제3회 농심백산수배 세계바둑 시니어 최강전 |
1. 개요
2024년 개최되는 농심백산수배의 2회 대회. 이번 대회는 1970년 이전 출생한 한국, 중국, 일본 3국의 시니어 프로기사들이 출전했다.2. 출전 선수
제2회 농심백산수배 세계바둑 시니어 최강전 출전 선수 | |||||
한국 기원 | 중국 기원 | 일본 기원 | |||
이름 | 국적 | 이름 | 국적 | 이름 | 국적 |
- | 한국 | 녜웨이핑 | 중국 | - | 일본 |
유창혁 | 한국 | 위빈 | 중국 | 다케미야 마사키 | 일본 |
- | 한국 | 루이나이웨이 | 중국 | | 일본 |
- | 한국 | 차오다위안 | 중국 | | 대만 |
- 대한민국은 지난 대회에 이어 유창혁이 랭킹시드, 조훈현이 와일드카드로 자동 선발됐고, 나머지 두 자리를 놓고 선발전을 진행해 대표를 선발했다. 그 결과 서능욱과 김종수가 한국 대표로 선발되었다.
- 중국은 녜웨이핑과 차오다위안이 지난 대회에 이어 다시 한 번 나오며 위빈과 루이나이웨이가 새로 중국 대표로 백산수배에 출전하게 됐다. 루이나이웨이는 백산수배 대회에 출전하는 첫 여성 기사이기도 하다.
- 일본은 지난 대회에 이어 요다 노리모토와 다케미야 마사키가 그대로 출전하고 고바야시 고이치와 왕밍완이 새로 출전하게 된다.
3. 본선
제2회 농심백산수배 세계바둑 시니어 최강전 | |||
<colbgcolor=#dcdcdc,#1f2023> | 한국 (1승 3패) | 중국 (5승) | 일본 (3패) |
선봉 | 김종수 (1승, 2국 패) | 루이나이웨이 (5승) | 왕밍완 (1국 패) |
차봉 | 서능욱 (4국 패) | - ( - ) | 요다 노리모토 (3국 패) |
중견 | 조훈현 (6국 패) | - ( - ) | 고뱌야시 고이치 (5국 패) |
대장 | 유창혁 ( - ) | - ( - ) | 다케미야 마사키 ( - ) |
- 현재 연승자(모든 대국 종료 시 최종국 승자)
- 승리 기록 후 탈락자
- 무승 탈락자
- 본선은 2차전으로 나눠 제26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의 1차전과 3차전 일정과 병행으로 진행하며 1차전은 중국 연길[1], 2차전은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다. 모든 경기는 오전 10시(CST)(오전 11시(KST))에 시작한다.
3.1. 1차전
- 농심신라면배와 마찬가지로 9월 4일 개막식을 가진 후 5일부터 일정에 들어간다. 지난 대회와는 달리 1차전은 6판의 대국을 진행한다.
- 개막식 대진 추첨 결과 개막전은 한일전으로 열리게 됐다. 농심신라면배와는 반대로 백산수 그림이 있는 족자를 뽑는 팀이 개막전을 두고 신라면 그림이 있는 족자를 뽑는 팀이 휴번이었는데 중국이 신라면 족자를 뽑았다. 각 국가의 선봉으로 대한민국은 김종수, 일본은 대만 출신의 일본기원 소속 기사인 왕밍완을 내세웠으며, 중국은 백산수배에 최초로 출전하는 여자기사인 루이나이웨이가 선봉으로 나선다.
3.1.1. 1국 : 김종수 vs 왕밍완
본선 1국 (2024년 9월 5일) | 왕밍완 | 212수 백 불계승 김종수 1승 | |
김종수 | |||
중계[2] | 바둑TV - 문도원, 최명훈 | K바둑 - 김미리, 박경근 |
한일전으로 열린 백산수배 개막전은 김종수의 승리로 마무리 되었다. 바둑은 치열한 전투 양상으로 전개되었는데 두 기사가 포인트를 놓치면서 엎치락 뒷치락 하는 양상으로 이어졌고 왕밍완이 잡으러 갔으나 백이 살면서 바둑은 김종수에게 많이 기울어져가기 시작했다. 하지만 김종수 선수에게도 하마터면 역전 위기에 몰리기도 했다. 중앙 7점을 잡다가 인공지능 형세상으로는 무려 30집을 날려버려 바둑이 미세해졌고 이후에도 요동쳤으나 왕밍완이 우변 상황에서 좌하귀로 손을 빼는 치명적인 실수가 등장하며 결국 승리의 여신은 김종수의 손을 들어주었다. 김종수는 마지막에는 왕밍완의 흑 대마를 잡는 결과로 이어지며 항복을 받아내 대한민국의 이번 대회 첫 승을 안겨주었다.
3.1.2. 2국 : 김종수(1승) vs 루이나이웨이
본선 2국 (2024년 9월 6일) | 김종수 | 222수 백 불계승 루이나이웨이 1승 | |
루이나이웨이 | |||
중계 | 바둑TV - 문도원, 최명훈 | K바둑 - 김미리, 박경근 |
김종수가 루이나이웨이에게 완패를 당하면서 연승에 아쉽게 실패하며 물러났다. 2국은 루이나이웨이의 완승국이었다. 초반 상변에서부터 바둑이 서서히 루이나이웨이에게 기울어지면서 바둑이 이어졌다. 루이나이웨이는 한 번 우세를 잡은 이후부터는 시종일관 우세한 형세를 유지하는 완벽한 내용의 바둑을 펼친 끝에 김종수에게 항복을 받아내어 중국은 이번 대회 첫 승을 신고했다.
3.1.3. 3국 : 루이나이웨이(1승) vs 요다 노리모토
본선 3국 (2024년 9월 7일) | 루이나이웨이 | 185수 흑 불계승 루이나이웨이 2연승 | |
요다 노리모토 | |||
중계 | 바둑TV - 최유진, 목진석 |
루이나이웨이의 두 번째 상대이자 일본의 두 번째 주자로 요다 노리모토가 등판했다. 지난 대회에서는 일본의 마지막 대장으로 등판했으나 이번엔 이른 시점에 출전하게 됐다.
루이나이웨이가 요다 노리모토도 잡아내며 연승에 성공했다. 3국도 역시 루이나이웨이가 마지막까지 우세한 내용으로 바둑을 펼친 완승국이었다. 요다 노리모토 답지 않게 느슨한 모습이 이어졌고 승부처에서도 실착이 나오며 바둑이 루이나이웨이 쪽으로 서서히 기울어진채 이어졌고 전날 김종수와의 대국에 이어서 이날 대국에서도 완벽한 내용의 바둑을 보여주어 승리를 거뒀다.
3.1.4. 4국 : 루이나이웨이(2승) vs 서능욱
본선 4국 (2024년 9월 8일) | 서능욱 | 218수 백 불계승 루이나이웨이 3연승 | |
루이나이웨이 | |||
중계 | 바둑TV - 최유진, 목진석 | K바둑 - 김미리, 박경근 |
대한민국의 두 번째 주자로 대표적인 속기파로 '손오공'이라는 별명으로 유명한 서능욱이 출격했다. 루이나이웨이와는 무려 13년 여 만에 맞대결이다.
전투 바둑을 즐겨하는 기풍의 두 기사 답게 치열한 전투로 바둑의 양상이 전개되었다. 좌하귀에서 부터 치열한 전투를 통해 루이나이웨이가 우세를 잡다가 중엉에서 서능욱이 우위를 잡고 바둑이 이어졌다. 바둑의 승패는 좌상귀에서 갈렸는데 좌상귀에서 서능욱이 무리하게 공격하다가 손해를 많이 봐 역전을 허용했다. 루이나이웨이는 우변 전투에서도 승리하면서 서능욱에게 항복을 받아냈다. 항복을 받아낸 과정에서 서능욱이 우하를 잡으러 가다가 결국 집차가 80집을 넘어가면서 끝이 났고 결국 복기 없이 반상의 돌을 치웠다. 서능욱의 대마를 잡아낸 루이나이웨이는 이 승리로 백산수배 대회에서 3연승에 성공한 첫 주인공이 되어 연승 상금 500만원을 확보하게 됐다.
3.1.5. 5국 : 루이나이웨이(3승) vs 고바야시 고이치
본선 5국 (2024년 9월 9일) | 고바야시 고이치 | 218수 백 불계승 루이나이웨이 4연승 | |
루이나이웨이 | |||
중계 | 바둑TV - 최유진, 목진석 |
루이나이웨이는 이번 백산수배에서 녹슬지 않은 기량을 과시하며 세계 여자 바둑의 전설 다운 모습을 이어갔다. 5국도 역시 루이나이웨이의 완승이었다. 루이나이웨이는 좌변에서 우위를 잡은 후부터는 안정적인 내용을 이어갔다. 지난 대국들과 마찬가지로 우위를 잡은 후에는 완급조절을 통해서 마지막까지 유리한 형세를 지켜내어 결국 고바야시 고이치에게 항복을 받아내고 4연승에 성공 이제 누적 연승상금이 1천만원이 됐다. 반면 일본은 왕밍완이 김종수에게 패배를 당하고 루이나이웨이의 기세에 요다 노리모토, 고바야시 고이치가 무릎을 꿇으면서 이제 다케미야 마사키 단 한 명만 남게 됐다.
3.1.6. 6국 : 루이나이웨이(4승) vs 조훈현
본선 6국 (2024년 9월 10일) | 조훈현 | 202수 백 불계승 루이나이웨이 5연승 | |
루이나이웨이 | |||
중계 | 바둑TV - 최유진, 목진석 | K바둑 - 김미리, 박경근[3] |
대한민국의 세 번째 주자로 조훈현이 나섰다. 두 기사는 그동안 통산 10번의 맞대결이 있었고(조훈현 기준 7승 3패) 그 중 두 번은 타이틀전에서 맞대결을 벌였다. 루이나이웨이가 한국기원에서 활동했던 시절 2000년 국수전에서 루이나이웨이가 조훈현을 꺾고 국내 최초로 여자기사의 종합기전 우승을 달성했었고, 조훈현은 그 다음 해 국수전에서 설욕에 성공했던 스토리도 있다. 조훈현은 루이나이웨이와는 무려 14년 만의 맞대결을 하게 됐고 동시에 루이나이웨이가 중국으로 돌아간 후에는 처음으로 만나게 되는 대결이다.
14년 만에 맞대결, 그 결과는 루이나이웨이의 난전 끝의 승리였다. 치열한 공방전 속에서 우하에서 중앙까지 이어진 치열한 전투에서 루이나이웨이가 우세한 흐름으로 갔지만 실수가 나오며 엎치락뒤치락한 바둑으로 이어졌다가 조훈현이 우세를 잡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좌상에서 실착으로 모양이 안좋아지며 결국 바둑의 형세가 다시 루이나이웨이의 우세로 바뀌었다. 결국 이후에는 루이나이웨이가 마지막까지 큰 우세로 가져가며 항복을 받아냈다. 이로써 이도백하에서 열린 제2회 백산수배 1차전은 중국의 선봉 루이나이웨이의 파죽의 5연승으로 마무리 되었고 루이나이웨이는 상하이에서 열릴 2차전에서 일본의 대장 다케미야 마사키를 상대로 6연승에 도전하게 됐다. 반면 한국은 마지막 대장인 유창혁만 남게되었다. 즉, 한국은 역전 우승을 하려면 유창혁이 4연승을 해야 하는 절체절명의 상황이 됐다.
3.2. 2차전
- 2차전은 2025년 2월 중국 상하이에서 농심신라면배 3차전과 병행하여 진행한다. 2차전에서는 우승국이 결정 될 때까지 대국을 하며 최대 5판이 열리게 된다.
- 1차전 진행 결과 중국은 선봉 루이나이웨이의 5연승으로 인해 4명(루이나이웨이(7국에서 6연승 도전), 차오다위안, 위빈, 녜웨이핑)이 전원 생존했으며, 한국(유창혁), 일본(다케미야 마사키(7국 출전))은 각 1명만 살아남았다.
3.2.1. 7국 : 루이나이웨이(5승) vs 다케미야 마사키
본선 7국 (2025년 2월 -일) | 선수명 | - 수 - 승 승리 선수 1승 | |
선수명 | |||
중계 | 바둑TV - 미정, 미정 |
3.2.2. 8국 : 미정 vs 유창혁
본선 8국 (2025년 2월 -일) | 선수명 | - 수 - 승 승리 선수 1승 | |
선수명 | |||
중계 | 바둑TV - 미정, 미정 | K바둑 - 미정, 미정 |
3.2.3. 9국 : 미정 vs 미정
본선 9국 (2025년 2월 -일) | 선수명 | - 수 - 승 승리 선수 1승 | |
선수명 | |||
중계 | 바둑TV - 미정, 미정 | K바둑 - 미정, 미정 |
3.2.4. 10국 : 미정 vs 미정
본선 10국 (2025년 2월 -일) | 선수명 | - 수 - 승 승리 선수 1승 | |
선수명 | |||
중계 | 바둑TV - 미정, 미정 | K바둑 - 미정, 미정 |
3.2.5. 11국 : 미정 vs 미정
본선 11국 (2025년 2월 -일) | 선수명 | - 수 - 승 승리 선수 1승 | |
선수명 | |||
중계 | 바둑TV - 미정, 미정 | K바둑 - 미정, 미정 |
[1] 이도백하에 있는 농심 백산수 공장에서 열린다.[2] 바둑TV는 전경기 중계, K바둑은 한국 기사가 출전시 중계한다.[3] 이후 박경근 해설은 같은 날 오후에 있었던 박정환과 최정의 명인전 승자조 8강 중계에서도 방송해설을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