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 세계무역센터 구성 건물 목록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One WTC (1WTC) | 2WTC | |
3WTC | 4WTC | ||
5WTC | 7WTC |
<colcolor=#FFFFFF> 제7세계무역센터 7 World Trade Center | 7WTC | |
<colbgcolor=#00A495> 소재지 | 미국 뉴욕주 뉴욕시 맨해튼 그리니치 250 |
착공 | 2002년 |
완공 | 2006년 5월 23일 |
층수 | 지상층 53개층, 지하 2층 |
높이 | 226 m[1] |
소유주 | 실버슈타인 컴퍼니 |
[clearfix]
1. 개요
미국 뉴욕 주 뉴욕 시 맨해튼에 위치한 마천루. 세계무역센터의 제 7동이자 붕괴 이후 가장 일찍 재건한 건물이다.[2] 2006년에 완공되었으며 신세계무역센터 중 가장 먼저 착공하여 가장 먼저 완공한 건물이다.지상 52층에 높이가 226m로 대한민국의 트레이드타워와 높이가 비슷하다.[3]
2. 연혁
2002년 신세계무역센터 재건 초기 방안 당시 가장 먼저 착공한 위엄을 보여주는 건물이다. 이는 이 건물이 그라운드 제로 내에 위치해 있지 않았던 탓에 부지 재활용 문제에서 비교적 자유로웠기 때문으로 풀이된다.2004년 10월에 건설 중인 7WTC.
이후 약 4년 간의 공정을 거쳐 2006년 5월 23일에 신세계무역센터 중 가장 빨리, 가장 먼저 완공 및 개장했다. 두 번째로 개장한 건 2013년 11월에 개장한 72층짜리 4WTC로 7WTC와 7년이나 차이가 난다.
3. 입주 기업
7 WTC는 2006년 8월까지 10%가 임대되었다. 비어 있는 위층 중 일부는 자선 점심 식사, 패션쇼, 검은 넥타이 갈라와 같은 행사에 사용되었다. Silverstein Properties는 새 건물의 공간을 이러한 행사에 사람들이 건물을 보도록 유도하는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2006년 9월 8일부터 10월 7일까지 사진작가 조나단 하이먼의 작품이 7 세계 무역 센터 45층에서 세계 무역 센터 기념 재단이 주최하는 무료 전시회 "An American Landscape"에 전시되었다. 이 전시회는 9·11 테러 이후 미국인들의 반응을 담은 63점의 사진으로 구성되었다.2006년 9월, Moody's는 7 WTC의 15개 층에 대한 20년 임대 계약을 체결했다. 무디스가 임대하기 전에는 8층만 사용되었다. 첫 2년 동안 7 세계 무역 센터에서 임대 계약을 체결한 다른 임차인으로는 ABN AMRO,Ameriprise Financial Inc.,DRW Trading Group,출판사 Mansueto Ventures 및 뉴욕 과학 아카데미. Silverstein Properties 는 또한 7 세계 무역 센터 에 사무실 과 Silver Suites 이그제큐티브 오피스 스위트를 가지고 있었다. 1 WTC, 150 Greenwich Street, 175 Greenwich Street 및 200 Greenwich Street에서 일하는 건축 및 엔지니어링 회사도 건물에 사무실을 설립했다. 2007년 4월까지 건물 사무실 공간의 3분의 2가 임대되었다. ABN AMRO가 Royal Bank of Scotland에 인수된 후 외환 서비스 제공업체인 FXDD는 2009년 Royal Bank of Scotland의 공간 일부를 전대했다.
법률 회사 WilmerHale은 2011년 4월 건물에서 200,000 평방 피트 (19,000m2)와 계약을 체결했다. 이 건물은 MSCI가 최상층에 125,000 평방 피트 (11,600 평방 피트 (11,600 m2)를 점유하기로 합의 한 후 그해 9 월에 완전히 임대되었다. 당시 다른 임차인으로는 FXDD, WilmerHale 및 WestLB 은행이 있다. 그 후 실버스타인은 2012년 4억 5,280만 달러의 리버티 채권 발행과 1억 2,500만 달러의 상업용 모기지 담보 대출로 건물을 재융자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당시 건물의 가치는 9억 4천만 달러로 평가되었는데, 대부분 사람이 꽉 찼기 때문이었다. FXDD는 2015년에 엔지니어링 회사인 Permasteelisa에 공간을 전대했고, 2016년에는 인공 지능 회사인 IPsoft에 공간을 전대했다. 이 건물은 2017년까지 94.8%가 점유되었다. 그때까지 공간의 약 4분의 3은 무디스(Moody's), 스코틀랜드 왕립 은행(Royal Bank of Scotland), 윌머헤일(WilmerHale)을 포함한 4개의 임차인이 점유하고 있었다.
웨딩 플래닝 회사인 졸라(Zola)와 건물 소유의 건축 회사인 스키드모어(Skidmore), 오윙스 앤 메릴(Skidmore, Owings & Merrill)은 모두 2019년 초에 7 WTC에 공간을 임대했다. 2019년 7월에는 럭셔리 음료 브랜드인 모엣 헤네시(Moët Hennessy)와 미디어 회사인 아큐웨더(AccuWeather)가 그 뒤를 이었다. 2022년 4월 Mansueto Ventures와 다른 3개 회사가 7 WTC의 공간을 임대한 후 건물은 97%가 점유되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Silverstein Properties는 Goldman Sachs로부터 4억 5,800만 달러의 대출로 부동산을 재융자했다.
4. 특징
지상 52층에 226m로 평행사변형 모양의 마천루로, WTC의 설계사무소와 미니어처 전시관등이 있다.현재까지 신세계무역센터에서 가장 낮은 건물이긴 한데, 5WTC(220m/43층)가 건설되면 가장 낮은 지위는 5WTC가 가질 것으로 보인다.
4.1. 변전소와의 공존
밑부분에는 특이하게 Con Edison사의 변전소가 위치하는데, 이는 테러 이전의 제7세계무역센터도 동일했다. 9.11 테러 당시 7WTC가 붕괴되면서 이 변전소도 같이 붕괴했다(...).이렇게 변전소와 마천루가 공존하게 된 건 1983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4] 당시 세계무역센터 사업 중 가장 마지막 건물인 7번 건물[5]을 착공하려 했으나, 해당 부지에는 이미 콘 에디슨 변전소가 위치해 있었던 것.
당초 실버슈타인은[6] 해당 부지를 매입할 계획을 가지고 있었지만, 콘 에디슨 변전소와의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결국 콘 에디슨 변전소는 그대로 둔 채, 그 위에 마천루를 '덮는' 방식으로 합의하게 되었다.
그렇게 해서 건설된 게 47층짜리 7WTC. 그러나, 2001년 9.11 테러로 쌍둥이 빌딩이 연이어 붕괴되면서 그 잔해가 이 건물까지 덮쳤고,[7] 이후 화재 등으로 인해 오후 5시에 결국 붕괴했다
이후 똑같은 방식으로 재건한 건물이다.
[1] 741 ft[2] 이 건물이 완공되었을 때, 1동는 착공한 지 얼마 안 된 상태였다.[3] 이 건물은 지상 55층에 229m. 층수로 3개층 차이가 있지만 높이는 의외로 3m밖에 차이가 안 나는데, 7WTC쪽의 층고가 비교적 낮기 때문이다.[4] 알박기는 아니다. 콘 에디슨 변전소가 세워진 년도는 1962년이었기 때문.[5] 187m에 47층짜리 건물이었다.[6] 본래 이 시절의 세계무역센터는 7WTC 빼고는 항만청 소속이었다. 2001년에 전부 실버슈타인에 매각했지만 매각 직후 테러가 일어났다.[7] 7WTC에 직격탄을 준 건 1WTC의 붕괴였다. 7WTC 자체가 내부보다 외부에 기둥이 많이 있었기 때문에 잔해가 치명타를 준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