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3 23:29:47

중도개혁통합신당

열린우리당
(개별 합류)[1]
중도개혁통합신당 중도통합민주당
국민중심당
(개별 합류)[2]
<nopad> 파일:중도개혁통합신당 로고.svg
중도개혁통합신당
<colcolor=#B04880> 영문 명칭 <colbgcolor=#fff>New Party for Centrist Reform and Alliance(NPCRA)
한문 명칭 中道改革統合新黨
등록번호 제118호
등록일 2007년 5월 9일
해산일 2007년 6월 29일 (중도통합민주당으로 신설합당)
선행조직

[[열린우리당|
열린우리당
]]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 의원회관 124호
대표 김한길
원내대표 최용규
사무총장 이근식
정책위의장 변재일
국회의원
20석 / 299석 (6.69%)
당 색
보라색 (#B04880)
공식 사이트 tonghap.kr
1. 개요2. 역사3. 역대 지도부
3.1. 당대표3.2. 원내대표
4. 기타5. 둘러보기

1. 개요

파일:중도개혁통합신당_창당.jpg

2007년 5월 7일에 창당한 대한민국정당이다. 2007년 6월 27일민주당중도통합민주당으로 신설 합당하여 해산되었다.

2. 역사

2007년 2월 6일, 열린우리당 소속이던 김한길계 의원 22여명[3]이 열린우리당을 집단 탈당하였다. 이들은 무소속인 상태에서 3개월 정도 '중도개혁통합신당추진모임'이라는 교섭단체를 만들어 활동하였다.

5월 7일, 김한길계 의원 20명[4]이 모여 김한길을 당대표로 하는 중도개혁통합신당을 창당하였다.[5]

이후 5월 30일, 민주당과 통합 협상에 나섰다. # 결국 창당한 지 두 달도 되지 않은 6월 27일, 민주당과 신설 합당하여 중도통합민주당으로 출범했다. 그러나 중도통합민주당은 이보다도 짧은 48일간 존속했다(...).[6]

3. 역대 지도부

3.1. 당대표

파일:중도개혁통합신당 심볼.svg 파일:중도개혁통합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대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김한길
}}}}}}}}}}}}}}}

3.2. 원내대표

파일:중도개혁통합신당 심볼.svg 파일:중도개혁통합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원내대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최용규
}}}}}}}}}}}}}}}

4. 기타

파일:중도개혁통합신당 로고 시안.png
  • 원래 상징 시안은 로고 문양 개수가 7개였고, 색상도 빨간색 계열이었다.
  • 로고 하단 '중도개혁통합신당'이라는 문구는 HY울릉도 글꼴을 변형해 사용하였다. 마지막의 '당' 글자의 받침 이응(ㅇ)이 다르다. 하지만 뒷판에는 그냥 변형 없이 HY울릉도 글꼴을 사용했다. #

5. 둘러보기

민주당계 정당
국민의 정부 ~ 참여정부
(1998 ~ 2008)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국민의 정부 이전
새정치국민회의
새천년민주당
개혁국민정당
열린우리당 새천년민주당
열린우리당 열린우리당 민주당
중도개혁통합신당
중도통합민주당
대통합민주신당 중도통합민주당
대통합민주신당 민주당
참주인연합 대통합민주신당
통합민주당
참여정부 이후
동일시기 타정당: 진보정당 보수정당(국민) 보수정당(참여)
}}}}}}}}} ||

대한민국의 제3지대 정당
참여정부 ~ 이명박 정부
(2003 ~ 2013)

{{{#!wiki style="margin: 0 -10px 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9px;"
참여정부 이전
새천년민주당 민주국민당 국민통합21 하나로국민연합 자유민주연합
정당등록취소 자유민주연합
열린우리당에서 분당 민주당 화합과 도약을 위한 국민연대 창조한국당 정당등록취소 국민중심당 자유민주연합
중도개혁통합신당 자유선진당 정당 해산
중도통합민주당 자유선진당
민주당
통합민주당으로 합당 정당 해산
평화민주당 국민행복당 녹색통일당 제3신당 국민생각 국민중심연합 자유선진당
국민행복당 정통민주당 자유선진당
정당등록취소
자유선진당
선진통일당
새누리당에 합당
이명박 정부 이후
}}}}}}}}} ||

[1] 김한길계[2] 신국환[3] 강봉균, 김낙순, 김한길, 노웅래, 노현송, 박상돈, 변재일, 서재관, 양형일, 우윤근, 우제창, 우제항, 이강래, 이근식, 이종걸, 장경수, 전병헌, 제종길, 조배숙, 조일현, 주승용, 최규식, 최용규.[4] 강봉균, 김낙순, 김한길, 노현송, 박상돈, 변재일, 서재관, 신국환, 양형일, 염동연, 우제창, 우제항, 유필우, 이근식, 장경수, 조배숙, 조일현, 주승용, 최규식, 최용규[5] 같은 날 탈당했던 노웅래, 우윤근, 이강래, 이종걸, 전병헌, 제종길은 이 당에 합류하지 않았고, 대신 신국환, 염동연, 유필우가 합류했다.[6] 공식적으로는 민주당으로 환원된 것까지 포함하여 약 8개월가량 존속했다.[7] 비슷한 시기에 창당하였으나, 이듬해인 2008년 해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