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5-22 00:41:01

진여공공

진(秦) 군주
{{{#!wiki style="margin:0 -10px -5px"
{{{#ece5b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시조 - - -
비자 진후 공백 진중
추존 국군 초대 국군 제2대 국군 제3대 국군
장공 양공 문공 헌공
제4대 국군 제5대 국군 제6대 국군 제7대 국군
출자 무공 덕공 선공
제8대 국군 제9대 국군 제10대 국군 제11대 국군
성공 목공 강공 공공
제12대 국군 제13대 국군 제14대 국군 제15대 국군
환공 경공 애공 혜공
제16대 국군 제17대 국군 제18대 국군 제19대 국군
도공 여공공 조공 회공
제20대 국군 제21대 국군 제22대 국군 제23대 국군
영공 간공 후혜공 출공
제24대 국군 제25대 국군 초대 국왕 제2대 국왕
헌공 효공 혜문왕 무왕
제3대 국왕 제4대 국왕 제5대 국왕 초대 황제
소양왕 효문왕 장양왕 시황제
말대 황제 말대 국왕
이세황제 자영
추존
정공 · 이공
삼황오제 · · ·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삼국시대 · 사마진 · 오호십육국 · 남북조 · ·
오대십국 · · 서하 · · · · ·
중화민국 국가원수 · 중화민국 총통 · 중화인민공화국
}}}}}}}}}}}}
진(秦)나라 17대 국군
여공공
厲共公
영(嬴)
조(趙)
실전
아버지 진도공(秦悼公)
생몰 기간 음력 기원전 ???년 ~ 기원전 443년
재위 기간 음력 기원전 476년 ~ 기원전 443년

1. 개요2. 생애
2.1. 재위 초기
3. 재위 중기4. 재위 말기

[clearfix]

1. 개요

진(秦)나라의 17대 군주. 진 도공(秦悼公)의 아들. 진 조공, 진 회공의 아버지. 시호가 기록에 따라 다르게 기록되어 있다. 《사기》 <진시황 본기>에는 '진 날공공'(秦剌龔公), 《사기정의》(史記正義)에는 '진 이공공'(秦利龔公), 《후한서》 <서강전>(西羌傳)에는 '진 여공'(秦厲公)으로 기록되어 있다.

2. 생애

2.1. 재위 초기

진 여공공 2년(기원전 475년), 촉나라가 여공공에게 조공을 바쳤다.

진 여공공 5년(기원전 472년), 초나라에서 선물을 보냈다.

진 여공공 6년(기원전 471년), 의거족이 조공하고 연저국이 구원을 청했다.

진 여공공 7년(기원전 470년), 하늘에서 혜성이 나타났다. 초나라의 왕자 웅영이 진나라에 투항했다.

진 여공공 10년(기원전 467년), 하늘에서 혜성이 나타났다.

3. 재위 중기

진 여공공 14년(기원전 463년), 진(晉)나라, 초나라가 선물을 보냈다.

진 여공공 16년(기원전 461년), 병사를 보내 황하 주위의 성을 보수했다. 그리고 서융의 대협을 쳐서 그곳을 취했다. 그리고 방후성을 수복했다.

진 여공공 20년(기원전 457년), 여공공은 친히 면저를 치러갔다.

진 여공공 21년(기원전 456년), 면양에 현을 설치하고 진(晉)나라가 무성을 취했다.

진 여공공 24년(기원전 453년), 지백이 조, 위, 한씨의 협공에 죽고 진(晉)나라는 세 가문이 사실상 분할하여 나눠 통치한다. 이것이 바로 전국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분기점이다.

진 여공공 25년(기원전 452년), 지백의 친척인 지개가 진(秦)나라로 망명했다.

진 여공공 26년(기원전 451년), 좌서장이 남정에 성을 쌓았다.

진 여공공 28년(기원전 449년), 월나라 왕이 진 여공공의 딸과 혼인했다.[1]

진 여공공 29년(기원전 448년), 지백의 친척 지관도 진(秦)나라로 망명했다.

4. 재위 말기

진 여공공 32년(기원전 445년), 초나라와 진(秦)나라가 회맹했다.

진 여공공 33년(기원전 444년), 의거를 정벌해 왕을 사로잡았다.

진 여공공 34년(기원전 443년), 일식이 일어나 하늘이 어두워졌다.[2] 그래서 별이 보일 지경이었다고 한다. 같은 해 진 여공공이 죽었다. 그리고 아들이 뒤를 이으니 그가 바로 진 조공이다.


[1] 정황상 구천이 아니라 구천의 아들인듯 하다.[2] 아주 오랜 세월 동안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일식을 매우 불길하게 여겼는데, 낮에 하늘이 어두워지는 현상을 두고 과학이 발달하지 못한 당시에 누가 그렇게 생각하지 않겠으며 하물며 당시 중국에선 천인감응설, 즉 하늘과 인간 세상의 일이 서로 연관된다고 믿는 사상이 유포되던 시절이니 더이상 말할 필요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