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8 01:27:43

케이큐카마타역

인접한 폐역 케이큐카마타 - [ruby(시모쵸(下町), ruby=1901~1923)] - [ruby(데무라(出村), ruby=1901~1949)] - 조시키
[ruby(京, ruby=けい)][ruby(急, ruby=きゅ)][ruby(蒲, ruby=うか)][ruby(田, ruby=また)]駅
Keikyū Kamata Station

파일:KQ_Wlogo.svg
케이큐 전철
케이큐카마타역
센가쿠지 방면
우메야시키
← 0.8 km
파일:Keikyu-KK.svg
케이큐 본선
(KK11)
우라가 방면
조시키
1.4 km →
[[센가쿠지역|
아사쿠사선·케이세이선 경유
◀ 시바야마 철도선 직통
◀ 스카이엑세스선 직통
]]
시종착·본선직통 파일:Keikyu-KK.svg
공항선
(KK11)
[[하네다 공항 제1·제2터미널역|
하네다 공항 T1·T2 방면
]]코지야
0.9 km →
공항선 열차 본선 방면 양방향 직통
눌러서 직결안내 자세히 보기 ▼
{{{#!folding 미개통 노선 보기
야구치노와타시 방면
카마타
← ? km
카마카마선
(미개통)
시종착
}}} ||
주소
도쿄도 오타구 카마타4초메 50-10
東京都大田区蒲田四丁目50-10
역 운영기관
케이큐 본선 케이큐 전철
공항선
개업일
1901년 2월 1일
파일:KQKamata_stn.png
서쪽 출구
파일:KQKamata-pf.jpg
3층 승강장
파일:KQKamata_APline.png
분기해 나가는 공항선 교각

1. 개요2. 고가화3. 역 및 승강장
3.1. 3층3.2. 2층
4. 인접 정차역
4.1. 본선 계통4.2. 공항선 직통 계통
5. 여담6. 둘러보기

1. 개요

일본 도쿄도 오타구에 있는 케이큐 전철의 역이다. 케이큐 본선상에 있으며, 공항선이 분기하는 역이다. 이 역에서 본선과 공항선이 분기하는 방식이 상당히 괴이한데, 그것은 밑의 항목을 참조하면 좋다. JR 동일본도큐카마타역과는 1km도 안 떨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로 이어져 있지 않다.[1] 때문에 도큐에서는 하네다 공항 연결을 위해 카마타역과 이 역을 이을 계획을 하고 있다. 자세한 것은 카마타역 문서의 해당 문단 참조.

2018년 8월부터 북두의 권과 콜라보 캠페인을 진행하여 기간한정으로 역 간판이 케이큐카마타타타타-앗역(京急かぁまたたたたーっ駅)이 되었다(...).

역 주변에는 오타구청과 오타구 산업플라자가 있다. 그 외에는 JR과 도큐의 카마타역 쪽에 시설이 많다.

이 역에서 특급 또는 쾌특을 타고 남쪽으로 가면 카나가와현이다.

2. 고가화

파일:attachment/케이큐카마타역/KQ-KAMATA.png
2012년 10월 공항선 고가화 공사를 완료했다. 그 구조가 워낙에 커서 '카마타요새(蒲田要塞)'라는 별명도 생겼다. 카마타역 고가화 전에는 4차로 도로 위에 그냥 건널목을 박아버렸는데, 케이큐 특유의 배차가 맞물려 열리지 않는 건널목으로 유명했다. 이 건널목이 있던 도로는 무려 도쿄와 요코하마를 잇는 간선 도로인 15번 국도 제1케이힌(第一京浜) 인데 이 도로를 하루종일 5분 간격으로 공항선 열차가 지나가면서 교통 흐름을 끊고 있었기 때문에 건널목의 입체화가 시급했던 상황이었다.

케이큐의 전신인 케이힌 전기철도 시절, 공항선의 구 노선 역들이 개업할 당시(1902년)에는 이 건널목 주변의 차량 통행량이 많지 않았다. 도큐에 흡수∙합병되었다가 1948년 분리되어 지금의 케이큐가 창립된 뒤에도 케이큐 측에서 이 건널목을 내버려두었는데, 역 인근 지역들의 발전에 따라 차량 통행량이 많아져 건널목을 없애고 고가화를 한 것이다. [2] 참고로 케이큐는 시나가와역키타시나가와역 사이에 열리지 않는 건널목을 이미 가지고 있다. 키타시나가와역시나가와역 항목에 나와 있는 바와 같이, 그 건널목 문제도 앞으로 해결할 계획이 있다.

3. 역 및 승강장

전체 2면 6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가화되면서 플랫폼 중간에서 공항선이 분기한다.[3] 일명 카마타도바시(蒲田飛ばし)[4] 때문에 통과 반대 궐기대회까지 열 정도로 논란이 많았던 에어포트 쾌특은 이 역에 정차하지 않는다. 홈도어가 설치되어있다.

파일:external/dic.nicovideo.jp/619666.png

또한 2면 6선 구조로, 2번선, 5번선을 대피 겸 종착 용도로 쓰는 구조이기에 "당역 종착 열차가 통과합니다. 위험하오니 안전선 뒤로 물러나주시기 바랍니다."라는 안내방송도 들린다.

공항선에서 오는 우라가역 방향 열차는 이 역에서 스위치백을 하며, 동시에 기관사와 차장이 교대한다.

3.1. 3층

우메야시키


3 1
2
조시키
1 파일:Keikyu-KK.svg 공항선 하행 오토리이 · 텐쿠바시 · 하네다 공항(제3터미널 · 제1·제2터미널) 방면 시나가와 방면에서 오는 열차
파일:Keikyu-KK.svg 본선 하행 케이큐카와사키 · 요코하마 · 카미오오카 · 카나자와핫케이 · 호리노우치 · 우라가 방면
(직통 즈시·하야마 · 케이큐쿠리하마 방면)
공항선에서 오는 열차
2·3 케이큐카와사키 · 요코하마 · 카미오오카 · 카나자와핫케이 · 호리노우치 · 우라가 방면
(직통 즈시·하야마 · 케이큐쿠리하마 · 미사키구치 방면)

3.2. 2층

우메야시키



6 4
5
조시키
4 파일:Keikyu-KK.svg 공항선 하행 오토리이 · 텐쿠바시 · 하네다 공항(제3터미널 · 제1·제2터미널) 방면 요코하마 방면에서 오는 열차
파일:Keikyu-KK.svg 본선 상행 시나가와 · 신바시 · 니혼바시 · 아사쿠사 · 오시아게 · 인바니혼이다이 · 나리타 공항 방면
(파일:도에이 아사쿠사선 로고.svg도에이 아사쿠사선·파일:KS-blue.svg케이세이 오시아게선·파일:KS-blue.svg케이세이 본선·파일:KS-NAL.svg케이세이 나리타 공항선·파일:Hoku-HS.svg호쿠소선)
공항선에서 오는 열차
5·6 시나가와 · 신바시 · 니혼바시 · 아사쿠사 · 오시아게 · 아오토 · 인바니혼이다이 방면
(파일:도에이 아사쿠사선 로고.svg도에이 아사쿠사선·파일:KS-blue.svg케이세이 오시아게선·파일:KS-blue.svg케이세이 본선·파일:Hoku-HS.svg호쿠소선)

4. 인접 정차역

공항선과의 직통 형태가 복잡한 관계로 본선 내부 운행과 공항선 직통 계통을 따로 표기한다.

4.1. 본선 계통

파일:Keikyu-KK.svg 본선
인바니혼이다이·나리타 공항 방면
시나가와
← 8.0 km
쾌특[5]
快特
미사키구치 방면
케이큐카와사키
3.8 km →
인바니혼이다이·나리타 공항 방면
헤이와지마
← 2.3 km
특급
特急
우라가·미사키구치 방면
케이큐카와사키
3.8 km →
케이세이타카사고 출발
헤이와지마
2.3 km →
급행
急行
즈시·하야마 방면
케이큐카와사키
3.8 km →
센가쿠지 방면
우메야시키
← 0.8 km
보통
普通
우라가·즈시·하야마·케이큐쿠리하마 방면
조시키
1.4 km →

4.2. 공항선 직통 계통

  • 공항선 직통 운행 계통(표에서 좌-상, 우-상)만 표기되어 있다. 본선 내부(좌-우)를 운행하는 편성은 위 문단을 참고.
  • 행선지의 화살표 표시는 해당 방향으로만 운행함을 의미한다.
파일:Keikyu-KK.svg 본선 - 파일:Keikyu-KK.svg 공항선
하네다 공항 제1·제2터미널 방면
하네다 공항 제3터미널
↗ 4.5 km ↖
인바니혼이다이·나리타 공항 방면
시나가와
← 8.0 km
쾌특
快特
미우라카이간 방면
케이큐카와사키
← 3.8 km
하네다 공항 제1·제2터미널 방면
코지야
↗ 0.9 km ↖
인바니혼이다이·나리타 공항 방면
헤이와지마
← 2.3 km
특급
特急
우라가(←)·즈시·하야마·케이큐쿠리하마 방면
케이큐카와사키
3.8 km →
하네다 공항 제1·제2터미널 방면
코지야
↗ 0.9 km ↖
인바니혼이다이·나리타 공항·시바야마치요다 방면
헤이와지마
← 2.3 km
급행
急行
즈시·하야마 방면
케이큐카와사키
3.8 km →
하네다 공항 제1·제2터미널 방면
코지야
↙ 0.9 km ↖
시나가와 방면
우메야시키
← 0.8 km
보통
普通
우라가 방면
조시키
1.4 km →

5. 여담

2025년 4월 기준으로 국토교통성의 승인을 받아, 2030년대에는 도큐 타마가와선이 이 역까지 연장될 예정이다. 이로써 케이큐와 도큐 간의 환승역이 생기게 됨과 동시에[6], 도쿄 도심을 경유하지 않고도 여기서 갈아타 부도심 신주쿠 방면으로 가는 길이 열리게 된다. 자세한 점은 카마타역(도쿄) 항목을 참조. 심지어 듀얼게이지를 깔아 하네다공항에서 시부야까지 직통하려는 계획도 있다.[7]

접근 멜로디로는 스즈키 마사유키의 夢で逢えたら를 사용한다. 해당 가수의 고향이 이 역 소재지이기 때문이다.

6. 둘러보기

파일:Keikyu-KK.svg 케이큐 본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파일:Keikyu-KK.svg 케이큐 공항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1] 서울 2호선 신촌역경의선 신촌역 간 거리와 거의 비슷하다.[2] 1988년의 케이큐 본선 주행영상이나 2010년에 게시된 공항선 주행 영상을 보아도, 케이큐카마타역에서 공항선이 분기해나가는 그 지점의 건널목 외에도 상당히 많은 건널목이 있었다.[3] 아래 사진에서 위로 삐쭉 솟은 게 그것.[4] 도바시(飛ばし)라는 단어는 "필수정차역을 통과한다" 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이 단어의 유래는 나고야역 문서 혹은 나고야토바시 문서 참고.[5] 고가역사로 만들기 전에는 본선의 쾌특도 통과했었다.[6] 케이큐는 센가쿠지역이 종점이므로 도큐와 케이큐 간은 도쿄메트로 도에이 지하철 등 직통노선들을 통한 간접환승으로만 연계가 가능하며, 그조차 닌교초역까지 가서야 가능하다.[7] 만약 듀얼게이지까지 성사된다면 하네다 공항 액세스선을 만드는 JR도 하네다공항과 이케부쿠로, 신주쿠를 잇는 니시야마노테 루트를 빠르게 건설할 가능성도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