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 != null
문서의 [[https://namu.wiki/acl/쿠팡플레이 시리즈|{{{#!html <span style="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을 확인하세요.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fff> 일자 | 경기 | 구장 | |||
<rowcolor=#11264c> 2022년 | ||||||
7월 13일 | 팀 K리그 | 3 | 6 | 서울월드컵경기장 (서울) | ||
7월 16일 | 토트넘 홋스퍼 | 1 | 1 | 수원월드컵경기장 (수원) | ||
<rowcolor=#11264c> 2023년 | ||||||
7월 27일 | 팀 K리그 | 3 | 2 | 서울월드컵경기장 (서울) | ||
7월 30일 | 맨체스터 시티 | 1 | 2 | |||
8월 3일 | 파리 생제르맹 | 3 | 0 |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부산) | ||
<rowcolor=#11264c> 2024년 | ||||||
7월 31일 | 팀 K리그 | 3 | 4 | 서울월드컵경기장 (서울) | ||
8월 3일 | 바이에른 뮌헨 | 2 | 1 | |||
<rowcolor=#11264c> 2025년 | ||||||
7월 30일 | 팀 K리그 | 1 | 0 | 수원월드컵경기장 (수원) | ||
8월 3일 | 토트넘 홋스퍼 | 1 | 1 | 서울월드컵경기장 (서울) |
<colcolor=#ffffff> 쿠팡플레이 시리즈 Coupang Play Series | |
| |
창설 연도 | 2022년 |
지역 |
|
1. 개요
|
이전 로고 (2022~2023) |
2022년부터 창설된 쿠팡플레이에서 유럽의 유명 축구 구단을 한국으로 초청해 K리그1 소속 팀[1]과의 맞대결 혹은 유럽 구단 간의 맞대결을 주선하는 프리 시즌 시리즈.
2022년 첫 시리즈 이후 매 년 정기적으로 개최되고 있으며 과거 존재했던 K리그 올스타전을 사실상 대체하고 있다. 또한 복수의 유럽 구단을 초청하여 두 팀이 또 한 번의 경기를 가지는 식으로 프리시즌 초청전의 성격도 동시에 띄고 있는 이벤트다.
2. 역대 참가 구단
역대 참가 구단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fff> 순서 | 참가 구단 | 최초 참가 | 최근 참가 | 참가 횟수 | |
1 | | <colbgcolor=#00bdff> | 2022년 | 2025년 | 4회 | |
2 | | | 2022년 | 2025년 | 3회 | |
3 | | | 2022년 | 1회 | ||
4 | | | 2023년 | 1회 | ||
5 | | | 2023년 | 1회 | ||
6 | | | 2023년 | 1회 | ||
7 | | | 2023년 | 1회 | ||
8 | | | 2024년 | 1회 | ||
9 | | | 2025년 | 1회 |
3. 시리즈 연혁
3.1. 2022년
2022년 쿠팡플레이 시리즈 참가 구단 | |||
참가 구단 | 국적 | 소속 연맹 | 소속 리그 |
팀 K리그 |
| - | - |
토트넘 홋스퍼 FC |
| UEFA | 프리미어 리그 |
세비야 FC |
| 라리가 |
2022년 쿠팡플레이 시리즈 경기 결과 | |||||
일시 | 장소 | 경기 결과 | 관중 | ||
2022-07-13 20:00 | 서울월드컵경기장 (대한민국 서울) | 팀 K리그
| 3:6 |
토트넘 홋스퍼 FC | 64,100명 |
2022-07-16 20:00 | 수원월드컵경기장 (대한민국 수원) | 토트넘 홋스퍼 FC
| 1:1 |
세비야 FC | 43,998명 |
초청 첫 번째 시리즈 초청팀은 손흥민의 토트넘 홋스퍼가 초청되었고 유로파 리그 최다 우승을 자랑하는 스페인의 강호 세비야도 방한했다. 세비야가 국내에서는 다소 비인기 구단임에도 토트넘과의 경기는 만원 관중을 기록하며 첫 시리즈인데 크게 흥행을 하였다.
3.2. 2023년
2023년 쿠팡플레이 시리즈 참가 구단 | |||
참가 구단 | 국적 | 소속 연맹 | 소속 리그 |
팀 K리그 |
| - | - |
맨체스터 시티 FC |
| UEFA | 프리미어 리그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 라리가 | |
파리 생제르맹 FC |
| 리그 1 | |
전북 현대 모터스 |
| AFC | K리그1 |
2023년 쿠팡플레이 시리즈 경기 결과 | |||||
일시 | 장소 | 경기 결과 | 관중 | ||
2023-07-27 20:00 | 서울월드컵경기장 (대한민국 서울) | 팀 K리그
| 3:2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58,903명 |
2023-07-30 21:00 | 맨체스터 시티 FC
| 1:2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64,185명 | |
2023-08-03 17:00 |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대한민국 부산) | 파리 생제르맹 FC
| 3:0 |
전북 현대 모터스 | 43,250명 |
중계진 및 축하 무대 | |||||||||||||||
시축자 | 창빈 (7월 27일) | ||||||||||||||
축하 공연 | (여자)아이들 | ||||||||||||||
캐스터 | 배성재, 정용검 (8월 3일) | 해설 | 한준희 | ||||||||||||
오픈 트레이닝 | 윤장현, 김용남, 황덕연 | ||||||||||||||
리포터 | 신아영, 윤태진, 이하영, 김희주 | 게스트 | 이천수 (7월 27일) 김아영, 엄지윤, 송소희 (7월 30일) 파비앙 코르비노 (8월 3일) |
전년도의 흥행 성공에 힘입어 두 번째 시리즈는 규모가 더 크게 진행되었다. 무려 직전 시즌 트레블을 달성한 맨체스터 시티와 스페인과 프랑스의 명문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 파리 생제르맹이 무려 3팀을 초청받았다.[2]
3.3. 2024년
2024년 쿠팡플레이 시리즈 참가 구단 | |||
참가 구단 | 국가 | 소속 연맹 | 소속 리그 |
팀 K리그 |
| - | - |
FC 바이에른 뮌헨 |
| UEFA | 분데스리가 |
토트넘 홋스퍼 FC |
| 프리미어 리그 |
2024년 쿠팡플레이 시리즈 경기 결과 | |||||
일시 | 장소 | 경기 결과 | 관중 | ||
2024-07-31 20:00 | 서울월드컵경기장 (대한민국 서울) | 팀 K리그
| 3:4 |
토트넘 홋스퍼 FC | 63,395명 |
2024-08-03 20:00 | FC 바이에른 뮌헨
| 2:1 |
토트넘 홋스퍼 FC | 63,496명 |
중계진 및 축하 무대 | ||
요일 | 7월 31일 | 8월 3일 |
시축자 | 신영록, 유연수 | NewJeans |
축하 공연 | TWICE | |
캐스터 | 윤장현 | |
해설 | 이근호, 한준희 | |
오픈 트레이닝 | 김용남 / 임형철, 황덕연, 조원희, 플로리안 크라프 | |
리포터 | 신아영, 진세민 | |
게스트 | 정성호, 권혁수, 지효 | 김아영, 윤가이, 지예은 |
세 번째 시리즈로 김민재가 뛰고 있는 바이에른 뮌헨과 손흥민이 뛰고 있는 토트넘 홋스퍼의 맞대결이 먼저 확정되었고 이후 팀 K리그와 토트넘 홋스퍼의 2년 만의 재대결이 확정되었다.
3.4. 2025년
2025년 쿠팡플레이 시리즈 참가 구단 | |||
참가 구단 | 국가 | 소속 연맹 | 소속 리그 |
팀 K리그 |
| - | - |
토트넘 홋스퍼 FC |
| UEFA | 프리미어 리그 |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
2025년 쿠팡플레이 시리즈 경기 결과 | |||||
일시 | 장소 | 경기 결과 | 관중 | ||
2025-07-30 20:00 | 수원월드컵경기장 (대한민국 수원) | 팀 K리그
| 1:0 |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 27,422명 |
2025-08-03 20:00 | 서울월드컵경기장 (대한민국 서울) | 토트넘 홋스퍼 FC
| 1:1 |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 64,773명 |
중계진 및 축하 무대 | ||
요일 | 7월 30일 | 8월 3일 |
시축자 | IVE | 박서준 |
축하 공연 | 2NE1 | |
캐스터 | 배성재 | |
해설 | 이근호, 한준희 | 장지현 |
오픈 트레이닝 | 윤장현, 황덕연 (7월 29일) | 양동석, 임형철, 최홍만 (8월 2일) |
리포터 | 진세민 | 오하영 |
게스트 | 감스트 | 이수지, 김아랑 |
리뷰쇼 | 황덕연 | 양동석, 임형철 |
진세민 | 오하영 |
네 번째 시리즈로, 올해도 작년과 같이 토트넘 홋스퍼 FC의 2년 연속 방한이 확정되었다. 이후 뉴캐슬 유나이티드 FC의 방한이 결정되며 UEFA 유로파 리그 우승팀과 EFL컵 우승팀이 함께 대한민국을 방문하게 되었다. 공교롭게도 뉴캐슬 섭외 이후 박승수가 여름 이적 시장에서 뉴캐슬로 이적함에 따라 작년에 이어 2년 연속으로 코리안 더비가 성사되었다.
토트넘 홋스퍼 VS 뉴캐슬 유나이티드 경기를 앞둔 기자회견에서 손흥민이 팀을 떠날 것이라고 발표하면서 이 경기가 손흥민의 토트넘 홋스퍼에서의 고별전이 되었다. 그로 인해 당초 흥행에 실패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6만 4,773명의 관중을 모으며 시리즈 최고 관중을 기록했다.
4. 사건 사고
4.1. 토트넘 팬들의 불법촬영 논란
바이에른과 토트넘의 경기 관람을 위하여 경기장에는 비단 바이에른과 토트넘 팬뿐만 아니라 아스날을 비롯한 여러 해외 축구 팬과 K리그의 팬들도 경기장을 찾았다. 그런데 경기를 직관한 토트넘의 팬들이 토트넘의 라이벌 팀인 아스날 유니폼을 토트넘과 K리그 경기에 입고 온 사람들을 몰래 촬영한 이후 팬 카페나 오픈 채팅방 등에서 얼굴과 인상착의가 공개되어 있는 초상권 침해에 해당하는 사진을 업로드하고, '보일 때마다 음료수 뿌리고 싶다', '뒤통수 때리고 싶다'와도 같은 인신 공격성 발언을 하였다. #결국 불법촬영 피해 사실을 알게 된 피해자 측에서는 가해자인 일부 토트넘 팬들을 고소하기로 결정하였고 피해자 측에서는 변호사의 자문을 받아 증거를 확보하고 곧 경찰에 고소장을 접수할 예정이라 밝혔다. 그리고 최대 불법 촬영 피해자인 아스날 팬 카페 측에서도 불법 촬영 피해자들에 대한 제보와 지원을 받는다는 글이 올라왔다. 그후, 가해를 행한 팬들은 팬 카페에 사과문을 작성하는 등 불법 촬영에 행위에 대한 반성을 하였다.
5. 여담
- 한국에서 경기를 한 덕분에 내한한 선수들이 SNL 코리아와 그 파생 코너에 출연하기도 했다.SNL 코리아 리부트 파생 코너에 출연한 손흥민, 히샬리송, 돈리, 김민재, 뮐러, 키미히, 리부트 시즌4에 출연한 더 브라위너, 리부트 시즌4에 출연한 그리즈만, 데 파울, 아스필리쿠에타[3], 파생 프로그램에 출연한 손흥민과 데얀 쿨루셉스키, 벤 데이비스, 라이언 세세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