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식기|'''생식기 {{{#!wiki style="font-family: Times New Roman, serif; display: inline;"]] | |||
{{{#!wiki style="min-height: calc(1.5em + 5px);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사람 및 동물 | ||
남성(수컷)의 성기 | <colbgcolor=#fff,#191919> 분류 | <colbgcolor=#fff,#191919>음경(귀두 · 포피 · 해면체 · 진주양음경구진) · 음낭(고환 · 정낭 · 정소 · 부정소) · 전립선 | |
같이 보기 | 정자 · 정액 · 쿠퍼액 | ||
여성(암컷)의 성기 | 분류 | 음문(음렬 · 대음순 · 소음순 · 음핵 · 스킨선) · 질 · 나팔관 · 자궁 · 난소 · 난황샘 · 난형성강 · 산란관 · G스팟 · 자궁경부 | |
같이 보기 | 난자(알) · 애액 · 냉 · 월경 | ||
관련 문서 | 총배설강 · 요도 | ||
동물의 번식(성관계) | 배란 → 사정 → 수정(체외수정) → 임신(태반 · 임신선) → (산란 · 출산 · 부화) | ||
식물 및 균류 | |||
식물의 성기 | 꽃 · 꽃잎 · 수술(꽃밥 · 수술대 · 장정기) · 암술(심피 · 암술머리 · 암술대 · 씨방 · 밑씨 · 꽃받침 · 장란기) · 홀씨주머니(포자낭) | ||
식물의 번식 | 포자 · 수분 · 꽃가루 · 열매 · 구과 · 씨앗 | ||
균류의 번식 | 포자 · 버섯(자실체 · 버섯모) | }}}}}}}}} |
1. 개요
남성이 성적으로 흥분했을 때 요도를 통해 분비되는 알칼리성의 점액.학술적인 공식명칭은 요도구선액. 쿠퍼액(Cowper's fluid)의 어원은 영국의 해부학자인 윌리엄 쿠퍼(William Cowper)의 이름을 딴 것으로, 이 사람이 쿠퍼액이 분비되는 부분인 요도구선(Bulbourethral gland)을 발견했기 때문에 그의 이름이 붙었다. 이 요도구선도 이 사람의 이름을 따서 쿠퍼선(Cowper's gland)이라고 한다. 결론적으로 쿠퍼선은 카우퍼선, 요도구선이랑 같은 명칭이다. 영어에서는 속칭으로는 precum(프리컴)이라 부르기도 한다. 이것은 사정 행위, 또는 정액을 'cum'(컴)이라는 속어로 부르는 것에서 따온 것으로, 사정하기 전에 나온다는 점이서 precum이란 이름이 붙었다. 일본어로는 我慢汁(가만지루)라고 하는데 '참음'이라는 뜻의 我慢과 '즙'이라는 뜻의 汁가 합한 단어다. 즉, 참아서 나오는 즙이라는 뜻이 된다.[1]
네이버, 다음, 구글 등 포털 검색에서는 그간 성인 키워드에 속하지 않았다가 어느 시점부터 성인 인증을 거쳐야 하게 되었다.
2. 설명
정액이 요도를 통해 부드럽게 나올 수 있도록 도와준다. 화학적으로 보면 여성의 애액과 비슷한 성분이지만 양이 적기에 윤활제 역할은 잘하지 못한다. 성적인 흥분이 강해지면 분비량이 늘어나며, 자위행위 경험이 많으면 분비량도 증가한다는 낭설이 있는데, 이는 명백한 거짓이다. 여성의 애액이 자위 경험과 횟수에 관계없이 성적 흥분도나 사람의 체질에 따라 분비량이 다르듯, 남성의 쿠퍼액도 마찬가지이다. 오히려 여성의 애액처럼 자위를 많이 하면 그 양이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쿠퍼액의 구성 요소 대부분은 요도구선액으로, 전립선에서 음경 끝에 있는 요도구로 이어지는 요도 안에서 분비되는 약알칼리성 액체다. 이게 분비되는 이유는 요도가 정액뿐만이 아니라 소변도 같이 나가는 통로이기 때문인데, 소변은 일반적으로 pH 5.5~6.5의 약산성을 띠는 경우가 많은 데 반해 정자는 산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즉 요도구선액 없이 바로 정액을 발사하면 요도를 지나는 도중에 정자가 죽어서 임신 성공률이 낮아지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사정 전에 흥분이 고조되기 시작하면 요도구선액을 분비, 요도를 약알칼리성으로 바꾸어 정자의 흐름을 원활하게 해주는 것이다. 이 흥분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요도구선액이 나오는 시간도 길어지기 때문에 요도 바깥으로 넘치게 된다. 이렇게 넘쳐 나오는 것이 쿠퍼액의 정체다. 또한 사정 때도 정액이 나오면서 요도구선액과 섞이기 때문에 정액의 구성 요소 중 극히 일부는 쿠퍼액이며, 산성을 띠는 질 분비액 또한 중화하는 역할도 한다.
점성이 있다. 정말 점성이 강한 사람의 경우에는 양손 손가락에 찍어서 두 팔을 다 벌려도 액이 서로 끊어지지 않는다. 물론 사람마다 다 다르고, 같은 사람이라도 건강 상태에 따라서 또 달라질 수 있다.
'성적 흥분 상태에서 분비된다'라는 말 때문에 '성적 흥분' = '발기'로 생각해 발기 상태에서만 분비되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성적으로 긴장된 상태기만 하면 꼭 발기되지 않아도 분비된다. # 성적인 것과 별개로 별 생각 없이 공부나 일을 했을 경우 나중에 화장실 볼일을 보러 갔더니 이미 요도구에 쿠퍼액이 말라 있는 것을 보고 알 수 있다.
자위 행위 후 이것이 계속 나오면 매우 불편할 수 있다. 속옷에 이 액체가 묻으면 나중에 굳으면서 성기와 속옷이 붙어서 뗄 때 은근히 아프다. 그래서 속옷 관리를 잘 해야한다.
에로게에선 H신 도중 남자의 쿠퍼액이 여성의 애액보다 먼저 나오면 왠지 남자가 "졌다"라는 분위기로 흘러간다. 후커로 돌리면 앞 달리기[2]가 된다.
3. 쿠퍼액만으로 임신이 가능한가?
이것에 대한 구체적인 의학적 연구는 많지 않지만 결론적으로 가능성은 극히 낮다. 한 예비 연구[3]에서 소규모 샘플을 실험한 결과, 87.1%의 쿠퍼액 샘플(pre-ejaculate sample)에서 정자가 없었으며, 정자가 발견된 쿠퍼액 샘플은 12.9%이다. 이 중에서도 본 연구에서 '임상적 임신 가능성' 기준으로 설정한 정자 수인 100만/mL[4] 이상으로 나온 경우가 10%, 0~100만 개/mL 사이가 2.9% 였다.위 연구에서 자연 임신 가능성과 강력한 상관관계가 있는 '총 운동성 정자(TMSC)'의 경우, 모든 쿠퍼액 샘플이 활동성 정자가 300만 개에 도달하지 않았다.[5] 다만 이는 샘플에서의 쿠퍼액의 양 자체가 일반적인 사정량에 비해 매우 적기 때문이기도 한데,[6] 결국 쿠퍼액의 정자 농도 자체도 낮거나 검출되지 않지만, 양까지 고려하면 실제 임신 가능성은 매우 낮을 것이라 추정한다. 위 연구의 결론도 다수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검출된 샘플도 쿠퍼액 양 자체가 적었고 다수가 농도도 일반 사정에 비해 낮아 결국 정자 자체가 임상적으로 임신에 필요한 수준에는 충분치 않다는 것이다.
단, 기존의 피임 방식에 관한 연구[7]에서는 질외사정을 시도한 사람들 중 20%정도가 원치 않은 임신을 했고, 체외사정을 완벽하게 수행하더라도 4%정도는 임신을 했다는 통계가 있으니, 단순히 위 정보를 토대로 체외사정을 안전한 피임법인 것처럼 생각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애당초 질외사정의 실패로 인한 임신은, 쿠퍼액으로 인한 임신과는 절대 동치가 아니고 의식한 혹은 의식하지 못한 사정 통제 실패 등을 포함한 별개의 건이다.
4. 관련 문서
[1] 그 밖에 '先走り汁(사키바시리지루)'라고도 한다. 先走り(사키바시리)는 '먼저 나오다'란 의미인데 정액보다 먼저 나오는 액체란 의미다. 참고로 '先走り汁(사키바시리지루)'는 줄여서 그냥 '先走り(사키바시리)'라고도 사용되는데, 국내 쪽이든 일본 쪽이든 사전에 先走り(사키바시리)라고 쳐봤자 '쿠퍼액'으로서의 의미는 나오지 않는다.[2] 상술한 我慢汁(가만지루)가 더 자주 쓰이는 속어고 先走り(사키바시리)도 간혹 쓰인다. 단어의 의미는 앞질러 간다는 것이다. 정액보다 먼저 나오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3] 출처[4] 유의해야 할 게, 사실상 이 위라면 임신이 된다가 아니라, '임신 가능성이 0이라고 할 순 없다' 라고 해석할만한 수준의 정자 농도 수준이다. 그것도 쿠퍼액보다 양이 훨씬 많이 배출되는 정액 기준으로. 정액에 포함된 정상 정자 농도는 약 6,000~7,000만 개/mL 수준이고, 정자 농도가 2000만 개/mL(WHO 기준은 1500만/mL) 아래면 난임/불임 가능성이 높아지는 희소정자증이고, 500만 개/mL는 중증 희소정자증, 자연임신이 거의 불가능한 무정자증이 100만 개/mL 기준이다. #[5] 본 연구는 통상적인 불임 연구에서 임신 확률이 극히 낮아지는 '정자 500만 개'보다 더 엄격한 기준으로 '300만 개' 충족 여부를 알아봤으나 해당되는 샘플은 나오지 않았다.[6] 통상 사정과 사정 전 나오는 쿠퍼액의 양의 차이는, 개인차가 있지만 통상 수 십 배 이상, 케이스에 따라 백 배 이상 차이나기도 한다.[7]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