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4 19:47:35

타나토스급

웹툰 나이트런에 등장하는 괴수.

1. 개요2. 상세3. E-33 제
3.1. 레젠드 오브 타나토스
3.1.1. 작중 행적3.1.2. 여담
4. E-34 제
4.1. 작중 행적
5. 관련 문서

1. 개요

괴수 최대 크기의 구축함. 크기는 수 km ~ 8km급.[1]

2. 상세

괴수 전함 중 최대크기라는 말에 걸맞게 미사일 중에서도 타나토스를 잡을만한건 대 행성핵탄두, 그것도 24세대[2] 정도 밖에 없다. 아무리 알키오네가 블랙홀 엔진의 출력을 거의 감당하지 못한다지만 그대로 명색이 블랙홀 엔진함인데도 출력이 후달려서 정면에서는 이길 수 없다고 언급되며, 실제 기도전쟁에서도 타나토스 2기와 마난급 2기, 15형 2기의 조합에 차펠린과 알키오네가 이끄는 함대는 전멸 직전에 몰렸다.[3] 게다가 이런 무식한 스펙을 갖췄음에도 자밀 기관으로 레이더를 마비 시키고 광학미채를 통한 은밀작전까지 가능하다.

레전드 오브 타나토스의 예를 보면 동력원은 노심이다.

E - 33이 창조했고, '엘리스의 무적함' 이라는 별명을 지녔기에 오직 엘리스 타입만이 생산 가능한 괴수로 보여진다. 실제로 작중 타나토스를 생산한 여왕괴수는 엘리스 타입인 E - 33와 E-34뿐이다.

3. E-33 제

파일:나이트런 - 괴수 - E-33 - 타나토스.png

E-33이 사탄전에서 생산한 개체. 총 3기가 확인되었다. E-34의 타나토스보다 각진 기계적인 디자인이 특징.

3.1. 레젠드 오브 타나토스

파일:레전드 오브 타나토스.png
 
엘리스의 무적함
아직도 우리를 떨게하는 최강의 타나토스급

타나토스의 원형이자 최강으로 언급되는 네임드 괴수. 화이트볼을 비롯한 AAA급 이상 영식과 동렬로 언급되는 '레젠드급' 괴수. 인류사상 최강의 AL아직도 떨게한다고 언급될 정도의 위용을 지녔다.

확인된 무장은 4문의 메인 주포와 대 행성 소멸 미사일, 그리고 4마리의 호위기 분대. 자세한 내용은 후술.
파일:레전드 오브 타나토스 - 뇌각 유닛.png파일:레전드 오브 타나토스 - 뇌각 유닛 - 변형 1.png
메인 주포와 합체한 뇌각 유닛 본체와 변형 모습

본체가 파괴될 시 입부분에서 뇌각 유닛과 메인 주포를 혼합 유닛으로 분리 시킬 수 있다. 전투를 위해 상위괴수처럼 변형 할 수 있으며, 4문의 주포를 쏘고나 대 행성 소멸 미사일을 사용 할 수 있다. 또한 본체의 노심에 플러그를 꽂아 에너지를 공급받아 파괴된 본체의 노심을 폭주 시켜 그 일대를 날려 버릴 수 도 있다.
파일:레전드 오브 타나토스 - 뇌각 유닛 - 변형 - 주포.png
뇌각 유닛의 주포 발사 방식이 좀 특이한데, 각각의 포신으로부터가 아닌 포신 사이에서 빔이 나가는 방식이다. 주요 기관인 뇌각인 만큼 장갑과 실드 역시 매우 단단해 분체를 산산조각내는 포격을 직격 당하고도 장갑에 금이나는게 고작이었다.
파일:레전드 오브 타나토스 - 호위기.png
4마리의 호위기 분대가 존재하지만 상위괴수인지, 양산형인지는 불명. 뇌각 유닛과는 다르게 포격을 당하는 장면이 안나왔고, 랄프의 '하늘베기' 휘말려 전멸한 듯한 연출이라 자세한 스펙은 알 수 없다.

3.1.1. 작중 행적

사탄전에서 여왕이 죽자 세력을 수습해[4] '밖'으로 향해 은둔했으며, 오랜 시간이 지나 문 공략을 위해 AL 함대가 집결하자 관측형 서브 프로그램의 통솔 아래 이를 막기 위해 다시 모습을 드러낸다. 그간 결코 다른 종의 괴수들과 연합하지 않던게 무색하게도 다른 괴수를 통솔해 대함대를 구성해 AL을 위협하였으나, 마난급이 이끄는 기습 함대와 선발 함대가 전멸당하자 기습할 타이밍을 놓쳐버렸고, 오히려 그 틈을 타 AL 함대가 워프로 선공을 시도한다.
파일:레전드 오브 타나토스 - 격추.png

그러나 AL 함대가 도착했을 때는 이미 크로스아이가 괴수 함대를 전멸시킨 뒤였다. 레전드 오브 타나토스 또한 모글레이에 격추당한 상황.
파일:레전드 오브 타나토스 - 뇌각 유닛.png파일:레전드 오브 타나토스 - 뇌각 유닛 - 변형 1.png
뇌각 유닛 본체와 변형 모습
 
그런데 어찌저찌 본체는 무사했는지 뇌각 유닛과 메인 주포를 분리하고, 본체를 영식에 가까운 형상으로 변형시킨다. 크로스아이를 힐난하면서[5] AL 함대에게 공격을 시도하나[6] 이미 혼자 남은 상황이라 일방적으로 포격당하고 만다.
파일:레전드 오브 타나토스 - 최후.png
그럼에도 불구하고 격추는 커녕 손상 하나 없었지만,[7] 그 사이에 랄프카심의 접근을 허용하고 말았고 이내 0번검과 하늘베기의 연격에 속수무책으로 격추당하고 만다.

크로스아이와의 대화에서 '계약'이라는 단어를 수차레 언급해서 떡밥을 남겼다.

파괴된 본체의 일부분은 크로스아이가 가져가 생체 위성 요새 시체덩어리 성의 재료로 쓴다.

3.1.2. 여담

  • 잭 노튼이 붙인 멸칭은 '분홍색 고래'.
  • 현재까지 등장한 괴수들 중 흉터가 존재하는 단 둘뿐인 괴수이며, 코드네임을 지닌 괴수 중에서는 흉터를 지닌 유일한 괴수다.[8]

4. E-34 제

파일:나이트런 - 괴수 - E-34 - 타나토스.png
전고
파일:나이트런 - 괴수 - E-34 - 타나토스 - 포구.png파일:나이트런 - 괴수 - E-34 - 타나토스 - 주포.png파일:나이트런 - 괴수 - E-34 - 타나토스 - 후미.png
타나토스의 주포후미
파일:나이트런 - 괴수 - E-34 - 타나토스 - 코어.png
코어

E-34가 기도전쟁에서 생산한 개체. 작중에서는 3기가 확인되었다.

E-33의 타나토스보다 생물로서의 특징을 살린 유선형의 디자인이 특징. 확인된 무장은 거대한 포구[9]로부터 나오는 주포. 이 주포가 있는 포구는 대빔 아머가 없고, 최심부에는 장갑이 없다. 그리고, 이 최심부와 코어는 일직선 상에 위치해 있다. 그래서 알키오네처럼 포구로 냅다 돌진해 최심부에 주포를 쏘면 일격에 격추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이빨같이 나 있는 주각이 덥쳐 오며, 이를 피할려면 사실상 전함으로 서커스 곡예를 해야 해서 이러한 공격은 쉽지 않다. 작중에서도 베테랑 조종사인 몰과 scr 드라이브를 보유한 알키오네 였기에 가능한 기예로 나온다.

4.1. 작중 행적

1기는 아린 성계 외곽에서 워프마커를 방위하는 AUA 1함대를 상대로 기습을 감행하다[10] 때마침 워프아웃한 알키오네에게 실드를 뚫리고 포구 안으로 침입을 허용해 격추당하고 만다.
파일:나이트런 - 오로라 시스템.png파일:나이트런 - 차펠린 - 활약 1.png
파일:나이트런 - 차펠린 - 활약 2.png
파일:나이트런 - 차펠린 - 활약 3.png
차펠린과 알키오네가 도킹으로 오로라 시스템을 사용해 공격하는 모습

이후 신연합 함대의 푸른꽃 상륙전에서 2기가 등장. 15형 2기와 마난급 2기를 대동해 차펠린과 알키오네를 압박했으나, 둘이 도킹해 오로라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으로[11] 푸른꽃으로 추락시켜 격추되었다.

5. 관련 문서




[1] 확실하게 8km라 언급이 나온 것은 레젠드 오브 타나토스 뿐이지만, E-34의 타나토스도 비교를 하면 얼추 비슷한 크기로 책정이 된다.[2] 기도전쟁 기준이라 신형 무장이 늘어난 현 시점에는 어떨지는 불명.[3] 조타수의 기적같은 컨트롤로 양쪽의 포구를 교차시키는 것으로 겨우겨우 버티고 있었다고 언급된다.[4] 2km급 마난급 2기를 포함한 상당한 수의 괴수 함대를 이끌고 있었다.[5] 처음엔 2진법 데이터 통신으로 교신을 시도하나 크로스아이는 일방적으로 차단했고, 이에 일반 텔레파시로 공용어로 말을 함으로서 당시 같은 공역에 있던 AL측도 이를 듣게 된다.[6] 멀쩡했던 주포와 대행성 소멸 미사일을 동원했으며, 아직 동력이 살아있던 본체의 노심에 플러그를 꽂아 에너지를 공급받았다.[7] 괴수 함대의 선발대를 이끌던 지휘개체가 비슷한 상황에서 곧바로 격추당했던 것과 대조적인 장면.[8] 다른 하나는 문 132화에 등장한 상위괴수.[9] 입처럼 보이는 곳.[10] 자밀기관으로 레이더를 마비시킨 뒤, 광학미채로 지근거리 후방까지 접근을 시도했다.[11] 당시 차펠린은 출력이 떨어진 상황이였고, 알키오네는 출력을 선체가 감당하지 못하는 상황이였다. 이때 두 함의 규격이 PPP제의 동일 규격이라는 점에 착안해 즉석 도킹을 시도한 것. 다만 세부규격에는 차이가 있어 도킹을 오래 지속하지는 못했다.